MSD, 몰누피라비르 임상 참여자에 피임 및 성행위 절제 요구
기형아 유발 및 돌연변이 유발 우려로 확산
"임상시험 시 임신부 배제 및 피임 권고는 교과서적인 일"
"동물실험서 돌연변이 유발 없는 것으로 확인"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임상시험 단계에서 임신부나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을 배제하는 건 매우 교과서적이고 일반적인 일이다. 기형아 발생은 우려하지 않아도 될 일이다."(한국MSD 의학부 김요한 상무)
먹는(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를 개발 중인 한국MSD는 온라인상에서 이 약과 관련해 기형아 및 돌연변이 발생 위험, 성관계 금지 등의 논란이 일자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이 약은 내년 1분기부터 국내에 공급될 예정이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MSD(미국 머크), 화이자, 로슈 등 3개사의 경구용 치료제 총 40만4000명분을 선구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MSD와 경구용 치료제 20만 명분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했고, 이달 화이자와 7만 명분의 선구매 약관을 체결한 바 있다. 최근 몰누피라비르가 입원·사망률을 약 50% 감소시킨다는 임상 3상 중간 결과가 발표되며 본격적인 구매 및 허가 절차가 시작됐다.
그러나 일부 온라인에선 몰누피라비르와 관련해 기형아 및 유전자 돌연변이 발생 위험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논란의 발단은 이 약 임상시험 참여자의 자격 기준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됐다. MSD는 임상 참가자를 모집하면서 가임기 여성에게 치료 기간인 5일 및 이후 4일 이상 성행위를 절제하거나 피임으로 임신을 피할 것을 요청했다. 남성엔 치료 기간인 5일과 마지막 복용 후 4일 이상 성행위 절제 및 피임을 요구했다.
이런 내용의 국내외 보도가 나오면서 기형아 부작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로 이어졌다.
김요한 상무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개발하는 신약이 아니라면, 개발 단계의 신약 임상시험에선 임신부 혹은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을 배제하거나 피임을 권고하는 게 일반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아무리 동물실험에서 안전성 확인을 하더라도 인체 임상에서 어떤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이 발생할지 알 수 없어서다"며 "임상 윤리 차원에서 임신부는 배제하거나 일정기간 피임을 요청한다"고 설명했다.
몰누피라비르 외 다른 경구용 치료제나 신약도 이런 절차를 통해 개발되고 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시험 시 성별 고려사항 가이드라인'을 보면 "가임기 여성이 임상시험에 참여하기 전에 생식발생독성시험을 완료해야 한다. 임신과 관련돼 사용되는 약물에 대한 임상시험을 제외하곤 시험계획서에 개발 약물의 태아 노출 가능성 최소화 방법을 명시해야 한다. 연구 기간이 길 경우 임상 참여 기간 동안 피임을 확실히 하고 성관계를 자제하며, 임신테스트 하는 것도 약물의 태아 노출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고 명시돼 있다.
먹는(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를 개발 중인 한국MSD는 온라인상에서 이 약과 관련해 기형아 및 돌연변이 발생 위험, 성관계 금지 등의 논란이 일자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이 약은 내년 1분기부터 국내에 공급될 예정이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MSD(미국 머크), 화이자, 로슈 등 3개사의 경구용 치료제 총 40만4000명분을 선구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MSD와 경구용 치료제 20만 명분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했고, 이달 화이자와 7만 명분의 선구매 약관을 체결한 바 있다. 최근 몰누피라비르가 입원·사망률을 약 50% 감소시킨다는 임상 3상 중간 결과가 발표되며 본격적인 구매 및 허가 절차가 시작됐다.
그러나 일부 온라인에선 몰누피라비르와 관련해 기형아 및 유전자 돌연변이 발생 위험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논란의 발단은 이 약 임상시험 참여자의 자격 기준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됐다. MSD는 임상 참가자를 모집하면서 가임기 여성에게 치료 기간인 5일 및 이후 4일 이상 성행위를 절제하거나 피임으로 임신을 피할 것을 요청했다. 남성엔 치료 기간인 5일과 마지막 복용 후 4일 이상 성행위 절제 및 피임을 요구했다.
이런 내용의 국내외 보도가 나오면서 기형아 부작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로 이어졌다.
김요한 상무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개발하는 신약이 아니라면, 개발 단계의 신약 임상시험에선 임신부 혹은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을 배제하거나 피임을 권고하는 게 일반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아무리 동물실험에서 안전성 확인을 하더라도 인체 임상에서 어떤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이 발생할지 알 수 없어서다"며 "임상 윤리 차원에서 임신부는 배제하거나 일정기간 피임을 요청한다"고 설명했다.
몰누피라비르 외 다른 경구용 치료제나 신약도 이런 절차를 통해 개발되고 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시험 시 성별 고려사항 가이드라인'을 보면 "가임기 여성이 임상시험에 참여하기 전에 생식발생독성시험을 완료해야 한다. 임신과 관련돼 사용되는 약물에 대한 임상시험을 제외하곤 시험계획서에 개발 약물의 태아 노출 가능성 최소화 방법을 명시해야 한다. 연구 기간이 길 경우 임상 참여 기간 동안 피임을 확실히 하고 성관계를 자제하며, 임신테스트 하는 것도 약물의 태아 노출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고 명시돼 있다.
김 상무는 "이에 따라 몰누피라비르 임상에서도 당연히 임신부나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며 "가임기 여성에게 총 9일 간 피임법 사용을 요청한 건 몰누피라비르의 체내 반감기(약효가 체내에서 지속되는 시간)를 감안해 결정된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직 구체적인 3상 데이터가 나오진 않았으나 기형아 관련한 보고는 없었기에 우려할만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기형아 논란 외에도 온라인에선 "이 약 먹으면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번 논란은 이 약의 작용기전에서 시작된다. 몰누피라비르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여러 RNA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진다. 바이러스의 RNA에 삽입돼 바이러스가 유전자를 복제할 때 사용하는 효소(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를 방해한다. RNA 바이러스에 변이를 일으킬 정도면 DNA에도 작용해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김 상무는 "이미 동물실험에서 DNA에 돌연변이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반박했다.
전임상 시험에는 2건의 설치류 돌연변이 유발성 분석(Big Blue 및 PIG-a)이 포함됐다. 인체에 투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용량을 더 오래 투여했다. 분석 결과 몰누피라비르는 임상에서 노출된 농도로는 동물모델의 DNA에 돌연변이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상무는 "몰누피라비르는 3상 중간 분석 결과 입원·사망률을 약 50% 감소시켰고 델타, 뮤 등 변이에 대해서도 일관된 효과를 보였다"며 "3상에는 전체 환자의 80%에 달하는 델타, 감마, 뮤 변이 확진자가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내에서 작용해 변이에 강점을 보인다. 위드코로나 시대로 갈 때 중요한 치료옵션으로 자리잡을 것이다"며 "특히 입원 없이 치료가 가능해 경증·중등증 코로나19 환자들의 악화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그는 "아직 구체적인 3상 데이터가 나오진 않았으나 기형아 관련한 보고는 없었기에 우려할만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기형아 논란 외에도 온라인에선 "이 약 먹으면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번 논란은 이 약의 작용기전에서 시작된다. 몰누피라비르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여러 RNA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진다. 바이러스의 RNA에 삽입돼 바이러스가 유전자를 복제할 때 사용하는 효소(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를 방해한다. RNA 바이러스에 변이를 일으킬 정도면 DNA에도 작용해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김 상무는 "이미 동물실험에서 DNA에 돌연변이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반박했다.
전임상 시험에는 2건의 설치류 돌연변이 유발성 분석(Big Blue 및 PIG-a)이 포함됐다. 인체에 투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용량을 더 오래 투여했다. 분석 결과 몰누피라비르는 임상에서 노출된 농도로는 동물모델의 DNA에 돌연변이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상무는 "몰누피라비르는 3상 중간 분석 결과 입원·사망률을 약 50% 감소시켰고 델타, 뮤 등 변이에 대해서도 일관된 효과를 보였다"며 "3상에는 전체 환자의 80%에 달하는 델타, 감마, 뮤 변이 확진자가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내에서 작용해 변이에 강점을 보인다. 위드코로나 시대로 갈 때 중요한 치료옵션으로 자리잡을 것이다"며 "특히 입원 없이 치료가 가능해 경증·중등증 코로나19 환자들의 악화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