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영국 대표 작가 서머싯 몸(1874~1965)의 '케이크와 맥주'가 민음사세계문학전집 394번으로 나왔다.
이 작품은 1930년 발표 당시 문단의 내막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등장인물이 작가의 지인이나 유명 인사와 흡사해 세간에 큰 파장을 일으켰던 풍자 소설이다.
작품 속 거장으로 등장하는 주인공 에드워드 드리필드의 실제 모델로는 토머스 하디가 지목되기도 했다. 잉글랜드 남부의 가난한 집안 출신이라든가, 펍에 대한 애호, 아이의 죽음과 관련한 장면으로 인해 금서 조치된 이력이 이 작품 속 드리필드와 여러 면에서 겹치기 때문이다.
'케이크와 맥주'라는 제목이 시사하듯 이 작품의 주요한 테마는 삶의 유희와 쾌락이다. 서머싯 몸은 평소 쾌락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고 해서 쾌락이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하며, 삶의 쾌락이 관념과 도덕에 치우쳐 경시되는 위험성을 경계했다.
이 소설은 서머식 몸의 최고작 ‘인간의 굴레에서’(1915)에서 못 다한 이야기를 풀어냈다. ‘인간의 굴레에서’가 정념에 의한 인간의 내적 예속을 다뤘다면 이 작품에서는 한 작가 생애를 통해 인간을 구속하는 외적 요인, 사회적 굴레에 초점을 맞춘다.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기(1837-1901) 후반이다. 이 시기는 영국 사회에 정치·경제·사회적 변화가 이뤄진 때다. 소설 속 귀족 가문 출신으로 자신의 고귀한 태생을 잊지 않아 공장 일꾼 출신인 그린코트 소령의 아내를 무시하는 숙모나, 석탄 상인 조지 캠프의 기부를 달가워하지 않는 블랙스터블의 상류층 사람들의 모습은 시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당시 보수적이고 관습적 인물들의 일면을 보여 준다.
작품에서 쾌락과 유희를 대변하는 인물은 드리필드의 첫 번째 아내인 로지다. 로지는 빅토리아기의 덕목인 정조와 체면을 비웃기라도 하듯 '케이크와 맥주'에 충실한 삶을 산다. 로지는 슬픔이나 증오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마음에 담지 않으며, 주변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드리필드의 뮤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이 작품은 1930년 발표 당시 문단의 내막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등장인물이 작가의 지인이나 유명 인사와 흡사해 세간에 큰 파장을 일으켰던 풍자 소설이다.
작품 속 거장으로 등장하는 주인공 에드워드 드리필드의 실제 모델로는 토머스 하디가 지목되기도 했다. 잉글랜드 남부의 가난한 집안 출신이라든가, 펍에 대한 애호, 아이의 죽음과 관련한 장면으로 인해 금서 조치된 이력이 이 작품 속 드리필드와 여러 면에서 겹치기 때문이다.
'케이크와 맥주'라는 제목이 시사하듯 이 작품의 주요한 테마는 삶의 유희와 쾌락이다. 서머싯 몸은 평소 쾌락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고 해서 쾌락이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하며, 삶의 쾌락이 관념과 도덕에 치우쳐 경시되는 위험성을 경계했다.
이 소설은 서머식 몸의 최고작 ‘인간의 굴레에서’(1915)에서 못 다한 이야기를 풀어냈다. ‘인간의 굴레에서’가 정념에 의한 인간의 내적 예속을 다뤘다면 이 작품에서는 한 작가 생애를 통해 인간을 구속하는 외적 요인, 사회적 굴레에 초점을 맞춘다.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기(1837-1901) 후반이다. 이 시기는 영국 사회에 정치·경제·사회적 변화가 이뤄진 때다. 소설 속 귀족 가문 출신으로 자신의 고귀한 태생을 잊지 않아 공장 일꾼 출신인 그린코트 소령의 아내를 무시하는 숙모나, 석탄 상인 조지 캠프의 기부를 달가워하지 않는 블랙스터블의 상류층 사람들의 모습은 시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당시 보수적이고 관습적 인물들의 일면을 보여 준다.
작품에서 쾌락과 유희를 대변하는 인물은 드리필드의 첫 번째 아내인 로지다. 로지는 빅토리아기의 덕목인 정조와 체면을 비웃기라도 하듯 '케이크와 맥주'에 충실한 삶을 산다. 로지는 슬픔이나 증오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마음에 담지 않으며, 주변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드리필드의 뮤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