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6차 공항개발종합계획 확정 고시
무안국제공항, 서남권 중심공항으로 활용
"군공항 이전 시기, 지역여론 고려해 결정"
'군항·민간공항 동시 이전' 놓고 찬반 갈등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광주 민간공항 이전을 군(軍) 공항 이전과 연계해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항개발 정부계획안이 최종 확정됐다.광주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 이전해 무안공항을 한반도 서남권 중심공항으로 육성하겠다는 게 정부의 기본방침이다.
단, 통합 이전은 군공항 이전 추진 상황과 지역 여론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토록 전제조건을 내걸고 있어 군공항 이전에 대한 더딘 협상과 군항·민항 동시 이전을 둘러싼 찬반 갈등이 '한 묶음 이전'의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24일 향후 5년 간(2021~2025년)의 공항정책 추진방향을 담은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항공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시장 불확실성에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환경·안전 등 미래 공항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계획으로, 광주·전남에서는 지역 최대 현안 중 하나인 무안·광주공항 통합 이전과 일반 소형공항인 흑산공항 개발사업이 포함됐다.
특히, 국내선 위주 광주공항과 국제공항인 무안공항에 대해서는 무안공항을 가덕도, 대구·경북(TK) 신공항, 새만금 신공항, 청주공항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국토 서남권 중심공항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이전을 대전제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무안공항 관리동 신축과 주차장 확충, 터미널 리모델링 등 통합에 대비한 시설 확충과 2025년 호남선 KTX 무안 경유 개통 등 교통 접근성 개선, 항공수요 증가에 대비한 적정시설 확보 등을 선결과제로 제시했다.정부 계획대로라면 광주 민간공항은 앞으로 4년 안에 무안공항으로 통합 이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국제선 민간공항이 무안으로 통합될 경우 포스트 또는 위드 코로나 시대 국·내외 관광·물류산업 활성화는 물론 서남권 관문으로서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통합 이후 무안공항 최대 여객 수요는 2025년 372만, 2030년 419만, 2040년 479만, 2050년 523만으로 늘고, 화물 수요는 2025년 2만7000t, 2030년 2만9780t, 2040년 3만4910t, 2050년 3만9670t으로 예상되고 있다.
단, 통합 이전은 군공항 이전 추진 상황과 지역 여론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토록 전제조건을 내걸고 있어 군공항 이전에 대한 더딘 협상과 군항·민항 동시 이전을 둘러싼 찬반 갈등이 '한 묶음 이전'의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24일 향후 5년 간(2021~2025년)의 공항정책 추진방향을 담은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항공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시장 불확실성에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환경·안전 등 미래 공항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계획으로, 광주·전남에서는 지역 최대 현안 중 하나인 무안·광주공항 통합 이전과 일반 소형공항인 흑산공항 개발사업이 포함됐다.
특히, 국내선 위주 광주공항과 국제공항인 무안공항에 대해서는 무안공항을 가덕도, 대구·경북(TK) 신공항, 새만금 신공항, 청주공항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국토 서남권 중심공항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이전을 대전제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무안공항 관리동 신축과 주차장 확충, 터미널 리모델링 등 통합에 대비한 시설 확충과 2025년 호남선 KTX 무안 경유 개통 등 교통 접근성 개선, 항공수요 증가에 대비한 적정시설 확보 등을 선결과제로 제시했다.정부 계획대로라면 광주 민간공항은 앞으로 4년 안에 무안공항으로 통합 이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국제선 민간공항이 무안으로 통합될 경우 포스트 또는 위드 코로나 시대 국·내외 관광·물류산업 활성화는 물론 서남권 관문으로서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통합 이후 무안공항 최대 여객 수요는 2025년 372만, 2030년 419만, 2040년 479만, 2050년 523만으로 늘고, 화물 수요는 2025년 2만7000t, 2030년 2만9780t, 2040년 3만4910t, 2050년 3만9670t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과 더불어 걸림돌도 만만찮다.
57년 만에 이전을 추진 중인 송정리 군공항과 연계해 통합 이전하고, 지역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전 시기를 결정하라는 국토부의 2가지 전제조건이 녹록치 않은 과제인 데다 단시일 내 조기 해결될 가능성도 희박해서다.
'민간공항 이전은 군공항 이전과 맞물려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 여론이지만, 군공항은 민항과 달리 주민 설득이라는 까다로운 통과 의례와 천문학적 건설비를 전제로 하고 있어 군·민항 통합 이전까지는 험로가 불가피하다.
지역 단위 쳇바퀴 논의에서 벗어나 총리실, 국토부, 국방부까지 논의테이블에 앉았지만 '선(先) 민간공항, 후(後) 군공항' 또는 '군공항 이전 로드맵 확정 후 민간공항'에 대한 시원스런 해법은 아직까지 내놓지 못하고 있다.
민심도 갈려 시민사회단체와 주민대책위원회, 지방의회 등을 중심으로 찬반 성명전(戰)도 뜨겁다.
일각에선 "무안·광주공항 통합 이전을 위해선 군공항 이전에 대한 주민 공감대와 수용성을 높이는 게 급선무이자 난제"라며 "범정부, 나아가 대선 후보들을 중심으로 공약화가 중요하고, 특별법 등 법률화 작업도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편 국토부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공항시설법 제3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공항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57년 만에 이전을 추진 중인 송정리 군공항과 연계해 통합 이전하고, 지역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전 시기를 결정하라는 국토부의 2가지 전제조건이 녹록치 않은 과제인 데다 단시일 내 조기 해결될 가능성도 희박해서다.
'민간공항 이전은 군공항 이전과 맞물려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 여론이지만, 군공항은 민항과 달리 주민 설득이라는 까다로운 통과 의례와 천문학적 건설비를 전제로 하고 있어 군·민항 통합 이전까지는 험로가 불가피하다.
지역 단위 쳇바퀴 논의에서 벗어나 총리실, 국토부, 국방부까지 논의테이블에 앉았지만 '선(先) 민간공항, 후(後) 군공항' 또는 '군공항 이전 로드맵 확정 후 민간공항'에 대한 시원스런 해법은 아직까지 내놓지 못하고 있다.
민심도 갈려 시민사회단체와 주민대책위원회, 지방의회 등을 중심으로 찬반 성명전(戰)도 뜨겁다.
일각에선 "무안·광주공항 통합 이전을 위해선 군공항 이전에 대한 주민 공감대와 수용성을 높이는 게 급선무이자 난제"라며 "범정부, 나아가 대선 후보들을 중심으로 공약화가 중요하고, 특별법 등 법률화 작업도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편 국토부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공항시설법 제3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공항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