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뱅·신한·우리, 예금 0.10~0.30%p↑
나머지 은행도 금리 인상안 저울질
"인상폭 크지 않지만 수신 다소 늘어"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도 하나둘씩 오르고 있다. 인상 소식을 접한 고객들이 한 푼이라도 더 이자를 받기 위해 은행에 돈을 맡기는 분위기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다음달 1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연 0.10~0.30%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상품별 우대금리는 변동 없이 그대로다.
정기예금 6개월 이상 1년 미만은 0.40%에서 0.65%, 1년 이상 2년 미만은 0.50%에서 0.75%로 각 0.25%포인트씩 뛴다. 정기적금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은 0.50%에서 0.80%, 1년 이상 2년 미만은 0.70%에서 1.00%로 각 0.30%포인트 상승한다.
NH농협은행도 예금 상품별로 0.05~0.25%포인트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르면 다음달 1일부터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뱅크는 지난 28일부터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0.20%포인트 인상했다. 가입기간 1년 기준 1.20%였던 금리는 1.40%로 올라갔다.
신한은행은 전날부터 정기예금 금리를 0.25~0.30%포인트 올렸다. 대표 상품 1년 기준 0.60%에서 0.85%로 올라간다. 가입기간 2년 이상이면 0.30%포인트 뛴다.
KB국민·하나은행도 조만간 예금 금리를 올릴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일별 수신(예·적금) 잔액이 소폭 늘었다는 게 은행권 설명이다. 다만 금리 인상 이후 신규 가입해야 변경된 금리가 적용된다.
최근 예금 금리를 인상한 은행 관계자는 "금리를 올린 다음 정기예금 잔액이 2% 정도 늘어났지만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에서는 이번 금리 인상폭이 그리 크지 않아 갈 곳 없는 자금이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대형 공모주 청약 일정이 없어 목돈 움직임이 없는 상태이기도 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됐고 은행들이 금리를 올린 것도 그 정도 수준이라 갑자기 고객이 확 몰릴 정도는 아니다"라며 "워낙에 저금리인 데다 이전처럼 예금 자체가 인기있는 상품은 아니라서 수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건 오히려 공모주 청약 등 이슈"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다음달 1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연 0.10~0.30%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상품별 우대금리는 변동 없이 그대로다.
정기예금 6개월 이상 1년 미만은 0.40%에서 0.65%, 1년 이상 2년 미만은 0.50%에서 0.75%로 각 0.25%포인트씩 뛴다. 정기적금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은 0.50%에서 0.80%, 1년 이상 2년 미만은 0.70%에서 1.00%로 각 0.30%포인트 상승한다.
NH농협은행도 예금 상품별로 0.05~0.25%포인트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르면 다음달 1일부터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뱅크는 지난 28일부터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0.20%포인트 인상했다. 가입기간 1년 기준 1.20%였던 금리는 1.40%로 올라갔다.
신한은행은 전날부터 정기예금 금리를 0.25~0.30%포인트 올렸다. 대표 상품 1년 기준 0.60%에서 0.85%로 올라간다. 가입기간 2년 이상이면 0.30%포인트 뛴다.
KB국민·하나은행도 조만간 예금 금리를 올릴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일별 수신(예·적금) 잔액이 소폭 늘었다는 게 은행권 설명이다. 다만 금리 인상 이후 신규 가입해야 변경된 금리가 적용된다.
최근 예금 금리를 인상한 은행 관계자는 "금리를 올린 다음 정기예금 잔액이 2% 정도 늘어났지만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에서는 이번 금리 인상폭이 그리 크지 않아 갈 곳 없는 자금이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대형 공모주 청약 일정이 없어 목돈 움직임이 없는 상태이기도 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됐고 은행들이 금리를 올린 것도 그 정도 수준이라 갑자기 고객이 확 몰릴 정도는 아니다"라며 "워낙에 저금리인 데다 이전처럼 예금 자체가 인기있는 상품은 아니라서 수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건 오히려 공모주 청약 등 이슈"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