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8시부터 53~54세 사전예약…부하 1000만건
2시간가량 클라우드 서버 증설…"예상보다 많은 접속"
현재시간 추출 코딩 오류…"사전 파악 못해 송구하다"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예약 홈페이지에는 30만명가량이 동시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3~54세 접종 사전예약이 시작된 19일 오후 8시 이후엔 600만명 이상이 몰렸다는 게 접종 당국의 설명이다.
정우진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시스템관리팀장은 20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동시 접속해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은 30만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며 "(클라우드 서버를 증설한) 어제(19일) 같은 경우 600만명에 대한 동시 처리를 하는 수준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지난 19일 오후 8시부터 진행된 53~54세 예방접종 사전예약은 지난 두 번에 이어 또 '먹통' 현상이 발생했다. 일부는 접속 대기에만 수십 분이 걸리고, 홈페이지 접속이 아예 안 되는 경우도 있었다.
50대 접종 사전예약에서 접속 지연 현상이 일어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당국에 따르면 지난 12일 55~59세 대상 첫 번째 예약 당일인 12일 예약 대기자 수는 100~120만명, 두 번째 예약일인 14일에는 300~320만명이 몰렸다.
53~54세 사전예약이 시작한 19일 오후 8시 이후엔 실제 대상자보다 훨씬 많은 600만여명이 접속한 것으로 확인됐다. 개통 직후 발생한 부하 요청 건수는 1000만여건에 이른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이처럼 사전예약에 다수가 몰리자 추진단은 오후 8시40분부터 예약을 중단하고, 오후 10시까지 클라우드 서버를 긴급 증설했다. 클라우드 서버는 접속자 수를 분산하는 서버로, 추진단은 접속 쏠림으로 발생하는 예약 지연 문제를 줄이기 위해 이를 고안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버 증설 이후에도 접속 지연 등의 문제가 계속 발생했다. 정상화된 건 예약이 재개된 오후 10시에서 2~3시간이 지난 후였다.
정 팀장은 "자정에 클라우드 서버로 기능 일부를 이관했다. 초기 접속자 수를 최대한 분산시킬 방법을 주말 동안 찾았고, 최대한 대응하고자 하는 조치"라며 "오후 8시 개통 직후 당초 클라우드에 들어가 있는 서버 용량을 4대를 통해 운영할 예정으로 했다가 당초 예상 대비 너무 많은 접속자가 쏠림 현상으로 교착 상태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가급적 접속 초기에 예약이 많이 몰리는 시간대인 개통 직후에는 예약을 피해 접속하면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량으로 쏠린 경우에는 아무래도 서버나 네트워크 부하 발생, 그 상한을 넘어서게 되면 서버 자체가 전반적으로 다운되는 현상을 최대한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조치"라고 말했다.
정 팀장은 "예약 대기자 수가 기존 예약을 받으려고 하는 대상자 대비 너무 많은 인원 수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다만, 어떤 이유에서 대기자 수가 많았는지는 추가적인 분석 또는 자문을 진행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 등과 같은 민간 플랫폼을 접종 예약 때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선 "민간 플랫폼을 통해 접수를 받더라도 사전예약 관련 정보를 얼마나 빨리 동기화할 수 있을지 등의 이슈가 있어 실제로 서버 접속 부하 문제가 해소되는 건 근본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며 "수시로 변하는 사전예약 일정 등이 촉박함에 따라 자체 개발보다 타사를 통해 개발요청하는 것이 시간 소요가 더 돼 고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정보 보호 원칙에 따라 과도한 개인정보를 네이버나 카카오에 제공해야 하는 이슈도 있다. 그런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과 협업하면서 대응 중이다. 지난번 발생한 미흡한 부분들을 지속 발굴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빠르고 안전하게, 그리고 서버 안정화에 초점을 맞춰서 진행하고 있다"며 "예방접종시스템은 보안시설로 지정돼 민간인에게 적극 공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정우진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시스템관리팀장은 20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동시 접속해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은 30만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며 "(클라우드 서버를 증설한) 어제(19일) 같은 경우 600만명에 대한 동시 처리를 하는 수준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지난 19일 오후 8시부터 진행된 53~54세 예방접종 사전예약은 지난 두 번에 이어 또 '먹통' 현상이 발생했다. 일부는 접속 대기에만 수십 분이 걸리고, 홈페이지 접속이 아예 안 되는 경우도 있었다.
50대 접종 사전예약에서 접속 지연 현상이 일어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당국에 따르면 지난 12일 55~59세 대상 첫 번째 예약 당일인 12일 예약 대기자 수는 100~120만명, 두 번째 예약일인 14일에는 300~320만명이 몰렸다.
53~54세 사전예약이 시작한 19일 오후 8시 이후엔 실제 대상자보다 훨씬 많은 600만여명이 접속한 것으로 확인됐다. 개통 직후 발생한 부하 요청 건수는 1000만여건에 이른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이처럼 사전예약에 다수가 몰리자 추진단은 오후 8시40분부터 예약을 중단하고, 오후 10시까지 클라우드 서버를 긴급 증설했다. 클라우드 서버는 접속자 수를 분산하는 서버로, 추진단은 접속 쏠림으로 발생하는 예약 지연 문제를 줄이기 위해 이를 고안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버 증설 이후에도 접속 지연 등의 문제가 계속 발생했다. 정상화된 건 예약이 재개된 오후 10시에서 2~3시간이 지난 후였다.
정 팀장은 "자정에 클라우드 서버로 기능 일부를 이관했다. 초기 접속자 수를 최대한 분산시킬 방법을 주말 동안 찾았고, 최대한 대응하고자 하는 조치"라며 "오후 8시 개통 직후 당초 클라우드에 들어가 있는 서버 용량을 4대를 통해 운영할 예정으로 했다가 당초 예상 대비 너무 많은 접속자가 쏠림 현상으로 교착 상태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가급적 접속 초기에 예약이 많이 몰리는 시간대인 개통 직후에는 예약을 피해 접속하면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량으로 쏠린 경우에는 아무래도 서버나 네트워크 부하 발생, 그 상한을 넘어서게 되면 서버 자체가 전반적으로 다운되는 현상을 최대한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조치"라고 말했다.
정 팀장은 "예약 대기자 수가 기존 예약을 받으려고 하는 대상자 대비 너무 많은 인원 수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다만, 어떤 이유에서 대기자 수가 많았는지는 추가적인 분석 또는 자문을 진행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 등과 같은 민간 플랫폼을 접종 예약 때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선 "민간 플랫폼을 통해 접수를 받더라도 사전예약 관련 정보를 얼마나 빨리 동기화할 수 있을지 등의 이슈가 있어 실제로 서버 접속 부하 문제가 해소되는 건 근본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며 "수시로 변하는 사전예약 일정 등이 촉박함에 따라 자체 개발보다 타사를 통해 개발요청하는 것이 시간 소요가 더 돼 고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정보 보호 원칙에 따라 과도한 개인정보를 네이버나 카카오에 제공해야 하는 이슈도 있다. 그런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과 협업하면서 대응 중이다. 지난번 발생한 미흡한 부분들을 지속 발굴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빠르고 안전하게, 그리고 서버 안정화에 초점을 맞춰서 진행하고 있다"며 "예방접종시스템은 보안시설로 지정돼 민간인에게 적극 공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면서 먹통 현상을 줄었지만, 이날 오전 3시부턴 일부 접종 대상자에게서 예약 대상이 아니라는 안내가 나오면서 예약에 차질이 빚어졌다. 현재시간을 추출하는 '코딩' 오류로 인한 문제였지만, 이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정 팀장은 "당초 예약된 일정이 대상자와 방법이 자주 바뀌다 보니 실제로 변경해야 하는 소스 코드들이 많은데, 그런 부분을 세심하게 챙기지 못해 송구하다"며 "이번 오류들은 빠르게 인지하지 못한 케이스라서 세심하게 조금 더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계속 찾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정 팀장은 "당초 예약된 일정이 대상자와 방법이 자주 바뀌다 보니 실제로 변경해야 하는 소스 코드들이 많은데, 그런 부분을 세심하게 챙기지 못해 송구하다"며 "이번 오류들은 빠르게 인지하지 못한 케이스라서 세심하게 조금 더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계속 찾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