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협, '도서 공급률 이대로 좋은가' 좌담회 개최
"대형 서점·출판사 '강자'…지역서점·중소형 출판사 '약자'"
[서울=뉴시스] 이현주 기자 = 출판, 서점, 유통계가 첨예하게 대립 중인 도서 공급률 해법 찾기에 고심하고 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는 7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대한출판문화협회 4층 대강당에서 유통 현안 좌담회 '도서 공급률 이대로 좋은가'를 개최했다.
도서 공급률은 출판사가 서점에 공급하는 책값을 정가 대비로 표시한 비율이다. 도서 공급률이 높을수록 서점의 이윤은 감소한다. 그간 서점마다 책을 받는 공급률에 차이가 있어서 불공정한 경쟁이 된다는 지적들이 있어왔다.
송성호 출협 상무이사를 좌장으로 정원옥 출판독서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 발제를 맡았다. 또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소장, 황순록 한국출판협동조합 전무, 박옥균 1인출판협동조합 이사장, 김기중 한국서점인협의회 대표, 조진석 책방이음 대표, 윤준원 김영사 팀장 등이 패널로 참가했다.
발제를 맡은 정원옥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출판사는 최소 65%의 공급률을 '생존 마진'으로 요구한다. 반면 도매상으로부터 책을 받아서 팔아야 하는 지역서점들은 60%가 '생존 마진'이라는 입장이다.
문화유통북스가 발간하는 '출판시장 통계보고서'를 보면 평균 공급률은 2014년 개정 도서정가제 이후 매년 상승했다. 하지만 2017년을 기점으로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평균 공급률은 62.7%로 전년 대비 0.3% 하락했다.
정 연구위원은 "온·오프라인 대형 서점은 대량의 도서를 구매하기 때문에 대형출판사들에 낮은 공급률을 요구할 수 있다"며 "대형출판사 역시 인터넷서점과 대형서점에는 전체 평균보다 낮은 공급률로, 지방서점에는 전체 평균보다 높은 공급률을 요구한다. 지방서점은 공급률 제도에서 가장 불리한 약자의 위치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행 공급률 제도에서 공급률을 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출판 생태계 강자는 온·오프라인 대형 서점과 출고순위 1~10위의 출판사, 그리고 베스트셀러를 출고하는 출판사 정도"라며 "정해진 공급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약자는 2000부 미만의 도서를 출고하는 중소형출판사와 지역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급률 조정은 법제화를 통해 해결할 수도 있지만 출판산업계는 생태계 내 다양한 불공정 문제를 자율 협약을 통해 해결해온 오랜 전통이 있다"며 "공급률을 정하는 위치에 있는 생태계 강자들이 솔선수범해 공급률을 조정하는 자율적 협의체를 만든다면 법으로 강제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규모의 출판사와 서점들이 생태계 내에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준원 김영사 팀장은 "유통 생태계는 채널 간 적정 마진 속에서 유지 가능하다. 따라서 유통 채널 간 공급률 차이는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유통 채널 노력으로 발생한 비용 절감 및 바잉 파워에 따른 조정은 필요하다"고 짚었다.
윤 팀장은 "출판계의 성장과 상생을 위해서는 판매, 재고, 마케팅 정보 상호 공유 등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며 "상생을 위한 상호 배려가 있는 거래 관계 유지와 판매 활성화를 위한 할인 정책 등도 필요하다. 이를 위한 최소 공급률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황순록 한국출판협동조합 전무는 "출판사 공급률은 온라인서점·대형매장 55~65%, 중형서점 직거래 65~70%, 도매점 60~65% 등이며 도매점에서 지역서점 공급율 위탁은 65~75%, 대형서점-지역서점 공급율은 66~80% 등 차등 문제가 계속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전무는 "도매점 입장에서는 매출액 대비 납품, 오픈마켓 비중 증가로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며 "출판사 및 서점의 규모에 따른 공급율 차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소규모 출판사와 지역서점도 상생 가능한 표준 공급율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옥균 1인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은 "유통사의 부도는 계속 이어져왔지만 책을 공급한 출판사들의 손해는 복구되지 않았다. 특히 소형출판사들은 피해를 고스란히 당해왔다"며 약자에게 불리한 시장 상황을 지적했다.
박 이사장은 "공급률이 오른다고 가격이 오르진 않는다. 도서 가격을 올리는 원인은 온라인 서점의 독과점과 낮은 공급률"이라며 "'공정 공급률'은 최소한의 차별을 없애자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결 방안으로 ▲다양한 유통채널 ▲오프라인 유통 체계 개선 ▲공급 결제 방식 검토 ▲지속 가능한 논의의 틀 갖추기 ▲사회적 합의 등을 제시했다.
김기중 한국서점인협의회 대표는 "많이 사면 더 싸게 줘야 한다는 것은 자본주의 논리에는 타당해 보이지만 지금 책 시장은 수요, 공급만으로 이야기하기에는 시장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온라인 비중이 오프라인보다 극도로 높고 대형 서점의 비중도 너무 높다. 과점 또는 독점이라고도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독서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현 시국에서 전반적인 출판시장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서점계와 출판계가 서로 상생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며 "공급률은 거래 물량 등 다양한 변수로 체결하는 것이 맞지만 지금은 힘의 불균형으로 단체 차원의 조율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공급률 정가제, 상생도서공급률제가 생기면 알게 모르게 싸게 받던 공급률이 없어져 도매상의 공급률이 올라 지역 서점의 공급률도 오를 수 있기에 염려는 되지만 그것이 유통 난맥을 푸는 첫걸음이기에 오히려 반겨야 할 일"이라며 "대형 서점과 대형 출판만 살아남을 수는 없다. 출판의 생태계는 함께 살 때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는 7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대한출판문화협회 4층 대강당에서 유통 현안 좌담회 '도서 공급률 이대로 좋은가'를 개최했다.
도서 공급률은 출판사가 서점에 공급하는 책값을 정가 대비로 표시한 비율이다. 도서 공급률이 높을수록 서점의 이윤은 감소한다. 그간 서점마다 책을 받는 공급률에 차이가 있어서 불공정한 경쟁이 된다는 지적들이 있어왔다.
송성호 출협 상무이사를 좌장으로 정원옥 출판독서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 발제를 맡았다. 또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소장, 황순록 한국출판협동조합 전무, 박옥균 1인출판협동조합 이사장, 김기중 한국서점인협의회 대표, 조진석 책방이음 대표, 윤준원 김영사 팀장 등이 패널로 참가했다.
발제를 맡은 정원옥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출판사는 최소 65%의 공급률을 '생존 마진'으로 요구한다. 반면 도매상으로부터 책을 받아서 팔아야 하는 지역서점들은 60%가 '생존 마진'이라는 입장이다.
문화유통북스가 발간하는 '출판시장 통계보고서'를 보면 평균 공급률은 2014년 개정 도서정가제 이후 매년 상승했다. 하지만 2017년을 기점으로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평균 공급률은 62.7%로 전년 대비 0.3% 하락했다.
정 연구위원은 "온·오프라인 대형 서점은 대량의 도서를 구매하기 때문에 대형출판사들에 낮은 공급률을 요구할 수 있다"며 "대형출판사 역시 인터넷서점과 대형서점에는 전체 평균보다 낮은 공급률로, 지방서점에는 전체 평균보다 높은 공급률을 요구한다. 지방서점은 공급률 제도에서 가장 불리한 약자의 위치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행 공급률 제도에서 공급률을 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출판 생태계 강자는 온·오프라인 대형 서점과 출고순위 1~10위의 출판사, 그리고 베스트셀러를 출고하는 출판사 정도"라며 "정해진 공급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약자는 2000부 미만의 도서를 출고하는 중소형출판사와 지역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급률 조정은 법제화를 통해 해결할 수도 있지만 출판산업계는 생태계 내 다양한 불공정 문제를 자율 협약을 통해 해결해온 오랜 전통이 있다"며 "공급률을 정하는 위치에 있는 생태계 강자들이 솔선수범해 공급률을 조정하는 자율적 협의체를 만든다면 법으로 강제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규모의 출판사와 서점들이 생태계 내에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준원 김영사 팀장은 "유통 생태계는 채널 간 적정 마진 속에서 유지 가능하다. 따라서 유통 채널 간 공급률 차이는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유통 채널 노력으로 발생한 비용 절감 및 바잉 파워에 따른 조정은 필요하다"고 짚었다.
윤 팀장은 "출판계의 성장과 상생을 위해서는 판매, 재고, 마케팅 정보 상호 공유 등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며 "상생을 위한 상호 배려가 있는 거래 관계 유지와 판매 활성화를 위한 할인 정책 등도 필요하다. 이를 위한 최소 공급률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황순록 한국출판협동조합 전무는 "출판사 공급률은 온라인서점·대형매장 55~65%, 중형서점 직거래 65~70%, 도매점 60~65% 등이며 도매점에서 지역서점 공급율 위탁은 65~75%, 대형서점-지역서점 공급율은 66~80% 등 차등 문제가 계속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전무는 "도매점 입장에서는 매출액 대비 납품, 오픈마켓 비중 증가로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며 "출판사 및 서점의 규모에 따른 공급율 차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소규모 출판사와 지역서점도 상생 가능한 표준 공급율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옥균 1인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은 "유통사의 부도는 계속 이어져왔지만 책을 공급한 출판사들의 손해는 복구되지 않았다. 특히 소형출판사들은 피해를 고스란히 당해왔다"며 약자에게 불리한 시장 상황을 지적했다.
박 이사장은 "공급률이 오른다고 가격이 오르진 않는다. 도서 가격을 올리는 원인은 온라인 서점의 독과점과 낮은 공급률"이라며 "'공정 공급률'은 최소한의 차별을 없애자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결 방안으로 ▲다양한 유통채널 ▲오프라인 유통 체계 개선 ▲공급 결제 방식 검토 ▲지속 가능한 논의의 틀 갖추기 ▲사회적 합의 등을 제시했다.
김기중 한국서점인협의회 대표는 "많이 사면 더 싸게 줘야 한다는 것은 자본주의 논리에는 타당해 보이지만 지금 책 시장은 수요, 공급만으로 이야기하기에는 시장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온라인 비중이 오프라인보다 극도로 높고 대형 서점의 비중도 너무 높다. 과점 또는 독점이라고도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독서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현 시국에서 전반적인 출판시장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서점계와 출판계가 서로 상생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며 "공급률은 거래 물량 등 다양한 변수로 체결하는 것이 맞지만 지금은 힘의 불균형으로 단체 차원의 조율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공급률 정가제, 상생도서공급률제가 생기면 알게 모르게 싸게 받던 공급률이 없어져 도매상의 공급률이 올라 지역 서점의 공급률도 오를 수 있기에 염려는 되지만 그것이 유통 난맥을 푸는 첫걸음이기에 오히려 반겨야 할 일"이라며 "대형 서점과 대형 출판만 살아남을 수는 없다. 출판의 생태계는 함께 살 때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