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아파트 전체 청약 1순위 마감
매도·매수자간 힘겨루기…"거래 절벽 계속"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올해 들어 수도권에서 분양한 아파트가 모두 1순위 청약에서 마감되는 등 신규 아파트 청약시장이 과열된 반면, 기존 주택시장은 사실상 거래가 끊긴 '거래 절벽'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수도권 지역은 교통과 접근성이 뛰어난 데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이른바 '로또 청약'에 대한 기대감 상승이 청약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특히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현직 직원들의 광명 시흥 신도시 사전 땅 투기 의혹으로, 전국에 총 85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하는 2·4 주택 공급 대책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내 집 마련 수요가 신규 아파트 청약시장에 대거 몰린 것도 한 몫하고 있다.
이와 달리 기존 주택시장은 일정 호가 이하로 팔지 않겠다는 집주인과 집값이 하락하면 매수에 나서겠다는 매수 대기자의 눈치 보기가 치열해지면서 '숨 고르기' 양상이다. 오는 6월 양도소득세 중과 회피를 위한 매물이 거래된 이후 매도·매수자 모두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주택 거래가 급감했다. 공시가격 현실화에 따른 보유세 부담 증가와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도 누적, 금리 인상 예고 등이 맞물린 탓이다.
올해 들어 수도권에서 분양한 아파트가 모두 1순위 청약에서 마감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16일까지 전국에서 청약을 받은 주택형 총 366개 가운데 331개(90.4%)가 1순위에서 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 1·2순위가 1순위로 통합된 2015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게 부동산114의 설명이다.
지역별로 수도권 아파트의 청약 쏠림이 뚜렷하다. 같은 기간 청약 접수가 진행된 수도권의 아파트 172개 주택형이 전부 1순위에서 청약이 마감됐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로 마감된 단지는 '위례자이더시티'로 617.6대 1을 기록했다. 이 단지는 공공 분양 아파트로, 일반 공급 물량이 74가구에 불과했다. 이 중 1가구만 분양한 전용 84.96㎡P2형은 116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고덕강일제일풍경채(150.2대 1) ▲자양하늘채베르(367.4대 1) 등도 1순위에서 마감됐다.
지방에서도 청약 광풍이 일고 있다. 최근까지 분양한 194개 주택형 중 159개(82.0%)가 1순위 청약에서 마감됐다. 올해 세종시 첫 분양 단지인 '세종리첸시아파밀리에'의 경우 동시 분양된 H2블록과 H3블록에서 각각 221.4대 1, 134.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기존 주택시장은 매수자·매도자 간 힘겨루기가 계속되면서 사실상 거래가 끊겼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1458건으로, 전월(5683건)의 25.7%에 그쳤다. 또 지난해 같은 기간(8301건) 대비 17.6%에 불과하다.
거래가 끊긴 서울 아파트값은 정부의 2·4 공급 대책 발표 이후부터 6주 연속 상승 폭이 둔화됐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15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06% 올라 상승률이 전주(0.07%) 대비 소폭 줄었다. 서울은 2·4 대책 발표 직전인 2월 첫째 주 0.10% 상승하며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뒤 6주 연속(0.09%→0.08%→0.08%→0.07%→0.07%→0.06%) 상승 폭이 주춤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분양가 상한제 등으로 공급 절벽이 심화하고, '로또 청약'을 향한 청약 대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당분간 청약 과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기존 주택시장은 보유세 등 각종 세금 부담 강화와 금리 인상 예고 등이 겹치면서 관망세가 짙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청약시장은 과열, 기존 주택 매매는 감소하는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LH 임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 사태로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고, 정부의 당초 계획한 3기 신도시 등 2·4 공급 대책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며 "사전 청약이 진행되더라도 토지 보상 문제 등으로 갈등이 빚어지면 실제 입주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 등이 청약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호가를 내리지 않으려는 집주인과 집값을 내려가길 기다리는 매수자 간 힘겨루기가 계속되면서 기존 주택시장의 거래 절벽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의 강화된 부동산 규제가 여전하고, 보유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도 커지면서 기존 주택의 매매 건수가 크게 늘어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