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떠안는 서울시 기피시설 피해 해결 등 촉구
"후보들, 기피시설 4곳 현대화 및 해결방안 제시해야"
[고양=뉴시스]송주현 기자 = 이재준 경기 고양시장이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등록한 후보자에게 서울시 기피시설과 개발사업 등에 따른 고양시 피해 대책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22일 고양시에 따르면 이 시장은 서울시가 최근 수색차량기지 고양시 이전, 은평 공영차고지 개발, 광역철도 직결불가 정책 등 고양시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개발정책을 발표한 데 이어 서울시장 후보자들이 ‘대규모 주택공급 공약’까지 들고 나서자 이날 서한을 보내 고양시 피해 대책 등에 대해 공개 질의했다.
이 시장은 “고양시는 서울시와 사실상 공동생활권인 만큼, 고양시민들은 서울시가 만든 정책에 서울시민 이상의 영향을 받는다”며 “정책 고려대상에 인접한 경기도 시·군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질의에서 요구한 내용은 ▲고양시 내 기피시설 대책 ▲수색차량기지 고양시 이전 대신 상암지구-고양시 연계 개발 및 은평차고지 도심숲 조성 ▲대규모 주택개발 시 기피시설 자체 해결 ▲단기간 주택개발에 따른 인접도시 주거난·난개발 등 악영향 검토 ▲서울과 경기도를 단절하는 직결 불가·평면 환승정책 재검토 ▲인접 도시와의 상생방안 마련 등 총 6가지다.
이 시장은 먼저 고양지역 내 운영되는 기피시설 4곳에 대한 조속한 현대화 및 해결방안을 요구했다.
현재 고양시에 소재한 서울시 기피시설은 서울시립승화원, 서울시립벽제묘지, 난지물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폐기물처리시설까지 4곳이며 고양시 안쪽으로 파고든 땅에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까지 추진 중이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40년 넘게 악취, 소음, 교통체증 등 불편을 겪고 있지만 서울시는 보상은 커녕 관리조차 소홀한 상황이다.
이 시장은 서울시가 수색지구 통합개발 시 수색차량기지를 고양시로 이전하겠다는 계획과 관련해서도 “차고지 이전을 전면 취소하는 것은 물론, 상생 차원에서 수색역세권과 고양시를 연계 개발하는 방안, 은평 공영차고지에 숲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고 촉구했다.
현재 고양시와 서울시는 갈등을 빚어 온 기피시설 문제에 대해 2012년 상생발전 공동합의, 2019년 공동협의체 구성 등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2020년 서울시장 부재 이후 추진 동력을 잃고 지지부진한 상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22일 고양시에 따르면 이 시장은 서울시가 최근 수색차량기지 고양시 이전, 은평 공영차고지 개발, 광역철도 직결불가 정책 등 고양시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개발정책을 발표한 데 이어 서울시장 후보자들이 ‘대규모 주택공급 공약’까지 들고 나서자 이날 서한을 보내 고양시 피해 대책 등에 대해 공개 질의했다.
이 시장은 “고양시는 서울시와 사실상 공동생활권인 만큼, 고양시민들은 서울시가 만든 정책에 서울시민 이상의 영향을 받는다”며 “정책 고려대상에 인접한 경기도 시·군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질의에서 요구한 내용은 ▲고양시 내 기피시설 대책 ▲수색차량기지 고양시 이전 대신 상암지구-고양시 연계 개발 및 은평차고지 도심숲 조성 ▲대규모 주택개발 시 기피시설 자체 해결 ▲단기간 주택개발에 따른 인접도시 주거난·난개발 등 악영향 검토 ▲서울과 경기도를 단절하는 직결 불가·평면 환승정책 재검토 ▲인접 도시와의 상생방안 마련 등 총 6가지다.
이 시장은 먼저 고양지역 내 운영되는 기피시설 4곳에 대한 조속한 현대화 및 해결방안을 요구했다.
현재 고양시에 소재한 서울시 기피시설은 서울시립승화원, 서울시립벽제묘지, 난지물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폐기물처리시설까지 4곳이며 고양시 안쪽으로 파고든 땅에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까지 추진 중이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40년 넘게 악취, 소음, 교통체증 등 불편을 겪고 있지만 서울시는 보상은 커녕 관리조차 소홀한 상황이다.
이 시장은 서울시가 수색지구 통합개발 시 수색차량기지를 고양시로 이전하겠다는 계획과 관련해서도 “차고지 이전을 전면 취소하는 것은 물론, 상생 차원에서 수색역세권과 고양시를 연계 개발하는 방안, 은평 공영차고지에 숲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고 촉구했다.
현재 고양시와 서울시는 갈등을 빚어 온 기피시설 문제에 대해 2012년 상생발전 공동합의, 2019년 공동협의체 구성 등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2020년 서울시장 부재 이후 추진 동력을 잃고 지지부진한 상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