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美 국무·국방 장관 "동맹은 힘 배가하는 원천…한·일과 모든 분야서 협력"

기사등록 2021/03/15 14:27:11

첫 순방길 나서며 워싱턴포스트에 공동 기고

"동맹 소홀, 전략적 오류…관계 강화·활성화에 집중"

"동맹 강화, 미 국가안보-미 국민에 이익"

"한·미·일, 안보·번영 공유…지정학적으로도 중요"

"중국, 국제질서 위협…한·일과 공동 대응"

"美, 외교 주도-강력한 군사력 유지할 것"

[워싱턴=AP/뉴시스]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이 지난달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1.03.15.
[워싱턴=AP/뉴시스]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이 지난달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1.03.15.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14일(현지시간) 한·일 순방길에 나선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이날 "동맹은 세계에서 (우리의) 힘을 배가시킬 것"이라며 "핵심 동맹국인 한·일 순방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에 그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링컨·오스틴 장관은 워싱턴포스트(WP) 공동 기고문에서 "한·일 순방을 앞두고 우리 동맹이 왜 (미국의) 국가안보에 중요한지, 미국 국민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고자 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한국과 일본을 첫 해외 순방지로 선택한 이유와 목적, 미국의 이익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이들은 "우리의 동맹은 미군이 말하는 이른바 '힘을 배가시키는' 존재"라면서 "우리가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게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구상에서 미국처럼 동맹 네트워크를 가진 나라는 없다. 이런 관계를 소홀히하는 것은 큰 전략적 오류"라며 "(관계를) 맞추고 재건하며 그들이 최대한 강하고 효율적일 수 있도록 우리의 시간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피력했다.

또한 "(미국과의) 양자 관계만이 가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동맹국들 간의 관계를 다시 활성화하는 것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한·일과의 협력은 우리와 전 세계의 안보·번영에 중요한 광범위한 문제를 다룬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국무부와 국방부 수뇌부들은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같은 공동 위협에 어떻게 대응할지 함께 전략을 짜고 있다"며 "우리는 민주주의 가치를 지지하기 위해 함께 서 있고 그들이 도전 받는 것들에 대해서도 강력히 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후 변화, 사이버 안보, 의료 보안, 전염병 대응 등 새로운 글로벌 안보 문제 등 모든 스펙트럼에서 협력하고 정부·민간 부문 노동자와 기업에 이익이 되는 경제 관계도 강화하려 한다"며 "이 모든 일은 미국 국민의 안전과 복지, 경제 안보와 직결된다"고 덧붙였다.

한국과 일본을 첫 해외 순방지로 선택한 것은 지정학적 이유도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인도·태평양 지역은 점점 더 지정학적 중심지가 되고 있다"며 "수십억 명의 인구와 미국의 5개 동맹국의 본거지이고 전 세계 무역의 많은 부분이 이 곳 해로(海路)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인도·태평양 지역을 인권과 민주주의, 법치주의에 기반한 자유롭고 개방된 지역이 되도록 하는 것은 우리에게 큰 이익"이라며 "이것은 한국과 미국, 일본이 공유하는 목표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워싱턴D.C.=AP/뉴시스]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 1월19일(현지시간) 지명자 신분으로 의회 인사 청문회에서 참석해 답변하고 있다. 2021.03.15.
[워싱턴D.C.=AP/뉴시스]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 1월19일(현지시간) 지명자 신분으로 의회 인사 청문회에서 참석해 답변하고 있다. 2021.03.15.
중국에 대한 견제 목적도 분명히 밝혔다.

이들은 "모든 국가가 이 비전을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곳은 갈등을 줄이고 국가 간 협력을 가능케 하는 규칙과 가치, 제도 등 국제질서에 도전하려 한다"면서 "특히 중국은 강제적으로 이 길로 나아가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동맹국들과의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재차 상기시킨다"며 "중국의 침략과 위협에 맞서야 할 때 (동맹국들과) 힘을 합하면 우리는 더욱 강해진다"고 역설했다.

더 나아가 중국에 "신장·티베트 인권 유린, 홍콩 자치 약화, 대만 민주주의 약화, 국제법을 위반한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우리가 단호하게 행동하거나 주도하지 않으면 그 역할을 중국이 하게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바이든 대통령이 말했듯 미국은 외교를 주도할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라며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대를 유지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 힘의 핵심 원천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동맹과의 관계를 재건하고 이 시대의 위협과 기회를 해결하기 위해 목적에 부합하도록 할 것"이라며 "그것은 이번 주 아시아, 그리고 앞으로 몇 주, 몇 달 동안 전 세계에 전달하려는 우리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했다.

블링컨 장관과 오스틴 장관은 15일~18일 일본에 이어 한국을 방문하고 각각 외교·국방 2+2 장관 회담을 갖는다. 취임 이후 첫 해외 순방이기도 하다. 바이든 미 행정부는 몇 주 내에 대북 정책 검토를 마무리할 예정으로, 이번 순방에서도 이에 대한 막판 조율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美 국무·국방 장관 "동맹은 힘 배가하는 원천…한·일과 모든 분야서 협력"

기사등록 2021/03/15 14:27:11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