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연구소, 코로나 시작된 2월 대비 취업자 수 분석
정부, 전년 동월대비 취업자 8월 27만·9월 39만 감소 발표
코로나 누적 반영 안 돼…계절 조정 전월比 증감 수치 반영
"글로벌 금융위기의 3배 수준, IMF 외환위기의 절반 수준"
[세종=뉴시스] 위용성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국내에서 본격화한 2월 이후 최근까지 사라진 일자리가 총 74만개, 이 기간 늘어난 무직자는 87만 명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로나19발 '고용 쇼크'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 본격적인 확산 이후 매월 취업자 수 감소 추이를 분석한 결과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은 20일 황수옥 연구위원의 '코로나 위기와 9월 고용동향'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확산 이후 고용 동향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이후부터 통계청의 고용동향 지표를 활용, 계절 조정된 '전월 대비' 증감 수치를 계산했다.
통계청의 고용동향은 계절적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전년 동월 대비' 지표를 쓰고 있다. 하지만 이는 1년 전과 비교하는 것이라 코로나19 이후 누적된 고용충격의 모습은 관찰이 불가능하다.
반면 보고서에서 계산한 월별 전월 대비 취업자 감소폭을 보면, 3월은 68만 명 감소했고 4월에는 34만 명 감소해 충격이 컸다. 이후 확산세가 잦아든 5월(+15만 명)부터는 회복세로 돌아서 6월(+8만 명), 7월(+7만 명), 8월(+11만 명) 등 증가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이후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9월에는 다시 14만 명 감소했다.
이를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하기 전인 2월 기준으로 삼아 계산하면 9월까지 7개월에 걸쳐 일자리 총 74만개가 사라진 것으로 계산된다. 2월 2752만 명이던 취업자(계절조정)가 8월(2692만 명)까지 회복세를 이어가는 듯 했으나 8·15 광화문 집회 이후 재확산에 따라 9월(2679만 명) 다시 감소로 돌아선 것이다.
코로나19발 '고용 쇼크'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 본격적인 확산 이후 매월 취업자 수 감소 추이를 분석한 결과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은 20일 황수옥 연구위원의 '코로나 위기와 9월 고용동향'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확산 이후 고용 동향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이후부터 통계청의 고용동향 지표를 활용, 계절 조정된 '전월 대비' 증감 수치를 계산했다.
통계청의 고용동향은 계절적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전년 동월 대비' 지표를 쓰고 있다. 하지만 이는 1년 전과 비교하는 것이라 코로나19 이후 누적된 고용충격의 모습은 관찰이 불가능하다.
반면 보고서에서 계산한 월별 전월 대비 취업자 감소폭을 보면, 3월은 68만 명 감소했고 4월에는 34만 명 감소해 충격이 컸다. 이후 확산세가 잦아든 5월(+15만 명)부터는 회복세로 돌아서 6월(+8만 명), 7월(+7만 명), 8월(+11만 명) 등 증가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이후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9월에는 다시 14만 명 감소했다.
이를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하기 전인 2월 기준으로 삼아 계산하면 9월까지 7개월에 걸쳐 일자리 총 74만개가 사라진 것으로 계산된다. 2월 2752만 명이던 취업자(계절조정)가 8월(2692만 명)까지 회복세를 이어가는 듯 했으나 8·15 광화문 집회 이후 재확산에 따라 9월(2679만 명) 다시 감소로 돌아선 것이다.
하지만 통계청이 지난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는 지난달 취업자 수가 2701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9만2000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재확산이 시작된 8월은 27만4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의 이 같은 발표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을 제대로 통계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보다 '전월 대비' 또는 기준이 되는 '특정 월'과 비교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황 연구의원은 "고용지표는 계절 요인의 영향도 받지만 그밖에 경기변동, 불규칙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된다"며 "코로나 위기가 고용에 미친 영향을 추정할 때는 계절조정 자료를 사용하면서 2월 대비 이후 고용지표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추적하는 게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감소폭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의 3배 수준에 달한다. 금융위기 당시 취업자는 2008년 11월부터 이듬해인 2009년 5월까지 6개월간 총 25만 명 감소했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시절과 비교하면 절반 정도 수준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월부터 7월까지 7개월간 총 152만 명이 감소한 것으로 계산했다.
또 코로나19 이후 직업을 갖지 못하고 있는 무직자는 87만 명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통계상 실업자 외에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비경제활동인구를 합친 무직자 추이를 봐야한다고 밝히고 있다. 경제활동인구에는 구직을 아예 단념한 이들이나 뚜렷한 사유 없이 쉬고 있는 이들 등이 포함된다.
보고서가 2월을 기준으로 무직자 증감을 분석한 결과 3월까지 69만 명, 4월까지 105만 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노인일자리 재개 등 정책 요인에 힘입어 증가폭도 5월 92만 명, 6월 86만 명, 7월 81만 명, 8월 72만 명 등으로 다소 하락했다. 하지만 역시 재확산 이후인 9월(+87만 명)에는 증가폭도 다시 커졌다.
같은 방식으로 계산했을 때 코로나19 이후 일시휴직자는 총 17만 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시휴직자는 주당 취업시간이 0시간인 이들로 실업자가 아닌 취업자로 분류되지만 실질적으로 일터에 나가지 못하는 이들이다.
코로나19 이후 사업장이 영업을 중단하거나 휴직을 권고한 경우 등에 따라 이 일시휴직자는 지난 3월 한 달 동안 98만9000명이나 폭증한 바 있다. 이들은 6개월 넘게 복직하지 못할 경우 실업자로 분류될 수 있는 이들이다. 하지만 5월 이후 이 일시휴직자 증가 흐름도 잦아들어 현재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 고용충격을 보면, 1차 대유행 시기인 4월 가장 집중적인 타격을 받았던 사회서비스업(-31만 명)은 9월(-8만 명)까지 회복세를 보였다. 반면 개인서비스업은 4월(–3만1000명)보다 9월(–25만 명)에 8배 이상 폭증하며 악화 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서비스업에는 숙박·음식점업이나 예술·스포츠·여가업 등이 들어간다.
도·소매업, 운수·창고업 등 유통서비스업의 경우 4월(-6만5000명)보다 9월(-18만8000명) 피해가 더 큰 상황이다.
황 연구위원은 "코로나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초기에는 여성, 고령자, 임시일용직, 개인서비스업과 사회서비스업, 단순노무직과 서비스직 등 취약계층에 집중됐지만, 임금노동자와 단순노무직, 사회서비스업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에 비해 비임금노동자와 개인서비스업, 유통서비스업은 계속 악화되거나 악화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