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대포 쏘며 대치…해경 해산명령으로 큰 불상사 없이 종료
![[진도=뉴시스] 변재훈 기자 = 10일 오전 전남 진도군 만호해역에서 해남과 진도 어민들이 어업권을 놓고 충돌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2020.09.10.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0/09/10/NISI20200910_0016663358_web.jpg?rnd=20200910191156)
[진도=뉴시스] 변재훈 기자 = 10일 오전 전남 진도군 만호해역에서 해남과 진도 어민들이 어업권을 놓고 충돌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2020.09.10.
photo@newsis.com


[진도=뉴시스] 박상수 기자 = 전국 최대 규모의 김양식장인 만호해역의 어업권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는 전남 진도와 해남지역 어민들이 해상에서 충돌했다.
진도 만호해역 대책추진위원회는 10일 오전 의신면 수품항에서 만호해역의 어업권 반환을 요구하는 집회를 갖고 해상퍼레이드를 펼쳤다..
수품항을 출발해 구자도 밑 항로를 따라 진도마로해역 1370㏊를 순회하는 해상 퍼레이드에는 어민 400여 명과 150여 척의 선박이 참여했다.
이들 어민들은 "해남군 어민들이 무려 40여 년이란 긴 세월동안 만호해역이 마치 자기들 땅인냥 사용하고 있다"면서 "만호해역은 진도군의 재산권이자 소중한 우리의 해역으로 이제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해남지역 어민들은 40여 년 삶의 터전인 만호해역의 어업권이 상실될 경우 생계를 위협받는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진도 만호해역 대책추진위원회는 10일 오전 의신면 수품항에서 만호해역의 어업권 반환을 요구하는 집회를 갖고 해상퍼레이드를 펼쳤다..
수품항을 출발해 구자도 밑 항로를 따라 진도마로해역 1370㏊를 순회하는 해상 퍼레이드에는 어민 400여 명과 150여 척의 선박이 참여했다.
이들 어민들은 "해남군 어민들이 무려 40여 년이란 긴 세월동안 만호해역이 마치 자기들 땅인냥 사용하고 있다"면서 "만호해역은 진도군의 재산권이자 소중한 우리의 해역으로 이제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해남지역 어민들은 40여 년 삶의 터전인 만호해역의 어업권이 상실될 경우 생계를 위협받는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진도=뉴시스] 변재훈 기자 = 10일 오전 전남 진도군 만호해역에서 해남과 진도 어민들이 어업권을 놓고 충돌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2020.09.10.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0/09/10/NISI20200910_0016663359_web.jpg?rnd=20200910191156)
[진도=뉴시스] 변재훈 기자 = 10일 오전 전남 진도군 만호해역에서 해남과 진도 어민들이 어업권을 놓고 충돌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2020.09.10.photo@newsis.com
급기야 이날 진도어민들의 해상퍼레이드에 맞춰 240여 척의 선박을 동원해 맞불 해상시위를 펼쳤다.
해상에서 맞붙은 진도와 해남지역 어민들은 고성과 함께 물대포를 쏘며 대치했으나 해경의 해산명령으로 오전 11시45분께 별다른 사고없이 종료됐다.
해경은 만호해역에 경비정 10척을 파견하고, 전남도와 지자체 어업지도선 6척, 어업관리단 무궁화 1척 등을 배치해 충돌에 대비했다.
어업권 갈등을 빚고 있는 만호해역은 해남군 송지면과 진도군 고군면에 위치해 있다. 바다경계선을 기준으로 진도수역이 80%, 해남수역은 20%를 차지한다
이 곳은 해남 어민들이 지난 1982년부터 김 양식시설을 설치해 사용했으나 1994년 진도군수가 어장이용 개발계획을 수립해 전남도의 승인을 요청하면서 분쟁으로 번졌다.
수차례에 걸친 조정 끝에 2010년 김 양식장 1370㏊은 해남어민들이 10년 연장해 2020년까지 사용하고, 진도군은 신규로 1370㏊의 어업면허를 부여받는 것으로 종료되는 듯 했다.
문제는 연장된 어업권 유효기간이 올해 6월7일로 끝나면서 해남지역 어민들이 김양식장 시설을 철수해야 할 처지에 놓이면서 또 다시 법정소송과 전남도청 앞 항의집회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시간 핫뉴스
해남지역 어민들은 지난 2011년 전남도가 중재에 나서 1370㏊의 면허를 진도군에 추가로 승인하면서 분쟁은 종식됐다는 입장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arks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