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전 '현실과 발언'이 미술을 바꿨다…'그림과 말'展

기사등록 2020/07/01 15:48:10

최종수정 2020/07/13 09:58:36

김정헌 임옥상 박불똥등 '동인 16명' 뭉쳐 그룹전

학고재 전관서 전시…‘진행형 프로젝트 룸’ 설치

전시기간 동인들 역동적인 작업 만나볼수 있어

[서울=뉴시스] 줄서기 포즈를 취한 초창기 ‘현발’ 회원들. 1982년.왼쪽부터 김정헌, 성완경, 노원희, 이태호, 김건희, 최민, 윤범모, 김용태, 임옥상, 강요배.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photo@newis.com
[서울=뉴시스] 줄서기 포즈를 취한 초창기 ‘현발’ 회원들. 1982년.왼쪽부터 김정헌, 성완경, 노원희, 이태호, 김건희, 최민, 윤범모, 김용태, 임옥상, 강요배.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서울=뉴시스] ‘그림과 말’참여작가, 강요배, 김건희, 김정헌, 노원희, 민정기, 박불똥, 박재동, 성완경, 손장섭, 신경호, 심정수.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그림과 말’참여작가, 강요배, 김건희, 김정헌, 노원희, 민정기, 박불똥, 박재동, 성완경, 손장섭, 신경호, 심정수.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email protected]

"처음 ‘그림과 말’이 만들어진 것은 1982년이다. '현•발'이 창립전을 1980년도에 치렀다. 두 번째 전시회(1981년)는 ‘도시와 시각’전으로 서울을 비롯한 광주와 대구까지 순회전을 가진 바 있었다. 그 다음 해 1982년도는 아마도 내가 총무를 맡았을 때 연중 기획전을 다 같이 머리를 맞대고 짜낸 전시회가 ‘행복의 모습’전이다. 그러면서 이 전시 기획 회의에서 회지를 만들자는 이야기가 나와 ‘그림과 말’이라는 제호를 붙이고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 아마 ‘그림과 말’이라는 제호는 지금은 고인이 된 최민의 어느 에세이에 붙였던 제목일 거다."(현발 창립회원 화가 김정헌)

그로부터 40년후. 2020년 7월, ‘현실과 발언’ 동인 16명이 다시 뭉쳤다.

강요배, 김건희, 김정헌, 노원희, 민정기, 박불똥, 박재동, 성완경, 손장섭, 신경호, 심정수, 안규철, 이태호, 임옥상, 정동석, 주재환.

이젠 이름만 대면 알만한 국내 대표 '민중 화가'로 구축된 동인들은 60대, 70대, 80대 노년기로 접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상에 날을 세우고 있는 이들의 행보는 여전히 주목받고 있다. 특히 예전이나 지금이나 '불타오르는 삐딱한 예술혼'이 살아있는 박불똥이 눈길을 끈다. 그는 "현발 40주년 타령에 개중에는 눈을 흘기거나 손가락질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악동 예술가' 면모를 보였다.

1982년 '현발' 회원들이 '줄서기 포즈를 취한 초창기 모습을 재현한 사진에 올 누드로 파격적인 모습을 공개했다. 그는 "코로나 이전에는 얼굴만 빼고 다 가리고 살았는데 그걸 뒤집어보고 싶었다"며 다 벗고 사진을 찍었다. 얼굴에 파란 마스크를 쓰고 중요부위를 노란 바나나로 가린채. 40년 세월의 흔적은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된 것뿐 여전히 꽂꽂한 모습이다.

1980년대 자유로운 발언을 통제당한 시절. 이들 '현실과 발언'의 창립으로 화가들도 ‘발언’을 하기 시작했다.

‘화가는 현실을 외면해도 되는가’라는 질문을 붙잡고 예술의 ‘구태’를 반성하며 뜻을 같이했다.

'현발' 동인들은 ‘화폭 자체의 힘에 매몰되는 그림’이 아니라 ‘현실의 공기를 견딜 수 있는 그림’을 지향했다.

"나중엔 그림보다 말이 더 많아져 급기야 ‘이야기’로 발전했다"는 화가 김정헌은 "강요배는 지금도 나를 보면 “뭔 그림에 말이 많냐”며 곧잘 시비를 걸어온다"고 너스레다.

 
[서울=뉴시스] 서울 삼청로 학고재 갤러리가 1일 개막한 '그림과 말 2020'전에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정은경 질병관리 본부장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을 그린 작품이 전시됐다. 이 전시는 1982년 창립한 현실과 발언 동인 16명의 회화 설치 사진등 106점을 선보였다. 202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서울 삼청로 학고재 갤러리가 1일 개막한 '그림과 말 2020'전에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정은경 질병관리 본부장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을 그린 작품이 전시됐다. 이 전시는 1982년 창립한 현실과 발언 동인 16명의 회화 설치 사진등 106점을 선보였다. 2020.7.01. [email protected]

 
그렇다면 이 창작자들이 마주하고 있는 2000년대의 현실은 어떤 모습일까.

'현실과 발언' 동인으로 활동했던 작가들이 선택한 1980년대 청년기 현실에 대한 발언을 응축한 작품들과, 2020년 현실을 향한 발언을 담은 작품들을 통해, 여전히 유효한 ‘그림과 말’에 대한 발언의 장을 펼치는 전시가 마련됐다.

당시 회지 제호였던 '그림과 말'을 타이틀을 그대로 쓴 '그림과 말 2020'展이 열린다.

1일 서울 삼청로 학고재 전관에서 펼친 '그림과 말'전은 동인들의 젊은 시절 열기를 다시 느껴볼수 있게 선보인다.

 "지난 그림들을 다시 본다. 전 작품을 꿰뚫는 주제의식은 기운생동이다. 내 그림 속의 분노, 저항, 항거 모두 기운생동의 다른 표현이다. 나는 그것으로 기운생동하였다...예술 또한 족쇄였고, 굴레였고, 속박이었고, 감옥이었다. 나의 작업은 미술, 예술이 아니다. 예술로부터의 해방이다"(화가 임옥상)

이들의 역동적인 발언이 전시기간 동안 펼쳐질 수 있도록 전시공간 가운데 한 곳을 ‘진행형 프로젝트 룸’을 설치, 관객들과 마주할 예정이다.

어떤날은 여러명이 전시장에 출몰할수 있고, 어떤 날 프로젝트룸은 ‘공동작업’이 발산하는 에너지를 만끽할 수도 있다. 또 어떤 날에는 단 한명의 동인도 만나지 못할 수 있다.

[서울=뉴시스] 학고재갤러리 ‘2020 그림과 말’전.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학고재갤러리 ‘2020 그림과 말’전.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email protected]

작가 박불똥은 현장에 화실을 꾸렸다. 현발 동인들 초상화를 그리는 프로젝트다. 동조하는 동인이 없는 날에는 자화상을 그릴 수도 있고, 관객을 그릴 수도 있다.

작가 이태호는 꾸준히 해오던 거리 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포스터를 벽면에 붙이는데 다른 동인들의 작업 방식에 따라 포스터 부착 방식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작가 겸 평론가 성완경은 프로젝트 룸에 붙일 사진 작업을 고르다 결국 오픈 날짜까지 완료하지 못했다. "출품작을 고민하던 끝에 결국 전시 기간이 끝나버리고 마는", 그야말로 '성완경' 다운 퍼포먼스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서울=뉴시스] 학고재갤러리 ‘2020 그림과 말’전.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학고재갤러리 ‘2020 그림과 말’전.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email protected]

작가 임옥상은 전시 기간 한달 간 "내달려라, 그림!(Don't Stop, Drawing)"이라는 주제의 관객 참여형 작업을 펼친다. 스스로 즐겨 다루는 흙 위에 드로잉을 하고 그것을 컴퓨터로 옮겨 애니메이션을 만들 예정이다. 작가 안규철은 '종강'을 키워드로 종강 수업과 시집등을 필사하는 프로젝트를 구상중이다.

[서울=뉴시스]학고재갤러리 ‘2020 그림과 말’전.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학고재갤러리 ‘2020 그림과 말’전. 사진=학고재 제공. 2020.7.01. [email protected]

부대행사로 오는 11일 이태호 진행으로 '1980의 발언과 2020의 발언' 1차 토론회가 열린다. 이어 25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술'을 주제로 2차 토론회도 개최한다. 학고재 전시장에는 이들의 회화, 판화, 설치, 사진 등 106점이 걸렸다. 전시는 31일까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40년전 '현실과 발언'이 미술을 바꿨다…'그림과 말'展

기사등록 2020/07/01 15:48:10 최초수정 2020/07/13 09:58:36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