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후 충북 정치세력, 친권력 지향 보수화 가속

기사등록 2020/06/24 13:53:34

대지주층 몰락, 신흥 소상공인층 부상

인구 증가율, 전국 평균치보다 떨어져

[청주=뉴시스]1~4대 충북 국회의원 당선인 현황. (도표=충북학연구소 제공) photo@newsis.com
[청주=뉴시스]1~4대 충북 국회의원 당선인 현황. (도표=충북학연구소 제공) [email protected]
[청주=뉴시스] 강신욱 기자 = 6·25전쟁이 지역정계를 나누는 큰 분수령이 된 가운데 충북지역은 친권력 지향 쪽으로 보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연구원 부설 충북학연구소가 24일 '6·25전쟁 70년 충북의 기억과 의미'를 주제로 연 2020년 1차 충북학 포럼에서 충북학연구소 김양식 소장은 '6·25전쟁에 따른 충북 지역변화'를 발표했다.

김 소장은 발제문에서 "6·25전쟁 이전 충북의 정치 지형(국회의원 선거)은 친이승만정권에 기울어 있었지만, 무소속 후보의 전체 득표율이 전국(62.9%)보다 높은 65.4%였다. 전쟁 직전까지만 해도 충북지역은 현실비판적인 세력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전쟁이 끝난 1954년 선거에선 무소속 25.0%, 자유당 66.6% 등으로 자유당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전쟁을 경험하면서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친권력지향 쪽으로 보수화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쟁 이후 충북 정치세력은 40대 초반의 신흥 엘리트를 중심으로 이승만 정권과의 유착관계에서 지역정계를 주도했다.

6·25전쟁은 대지주층의 몰락과 신흥 소상공인의 성장도 낳았다.

김 소장은 "일제강점기에 성장한 충북지역 대지주들은 농지개혁과 뒤이은 6·25전쟁 여파로 거의 모두 몰락하고 대부분 고향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주했다"며 "고향에 남아 있어도 지방의원이나 국회의원, 면장과 같은 공무원, 상공인 등으로도 진출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대지주층의 존재 기반이었던 토지와 삶의 방식이었던 전통사회가 붕괴된 데 따른 필연적인 결과였다는 게 김 소장의 분석이다.

대지주층 등 지역경제를 주도했던 인물들이 퇴조하면서 새로운 경제세력으로 신흥 소상공인층이 떠올랐다.

이들 신흥 소상공인층은 귀속사업체(일본인이 남겨 놓은 사업체)를 사들이거나 새롭게 제조업을 경영하면서 1950년대 충북 지역경제를 이끌었다.
[청주=뉴시스]6·25전쟁 전후 충북 인구변동. (도표=충북학연구소 제공) photo@newsis.com
[청주=뉴시스]6·25전쟁 전후 충북 인구변동. (도표=충북학연구소 제공) [email protected]
6·25전쟁은 인구 증가율도 크게 낮췄다.

충북은 1948년과 1949년 인구 증가율이 각각 7.0%와 7.1%였으나, 전쟁 중인 1952년은 1.8%, 전쟁 후 1955년 역시 1952년 대비 4.8%에 불과했다.

1959년 인구 증가율도 10년 전인 1949년을 회복하지 못했다.

김 소장은 "충북지역 인구 증가율이 전국 평균치보다 떨어지는 것은 전쟁의 상흔이 깊은 데다 인구를 흡수할 만한 고용 기회와 도시 발달이 저조하고 농업사회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어서다"라고 분석했다.

이번 충북학 포럼은 김 소장 외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쟁사부 양영조 부장이 '충북지역 6·25전쟁의 특징과 성격'이란 주제로 발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6·25전쟁 후 충북 정치세력, 친권력 지향 보수화 가속

기사등록 2020/06/24 13:53:34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