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누신 "또 다른 법안 필요할 가능성 커"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 한파와 관련해 추가 부양책을 언급했다.
CNN과 뉴욕타임스(NYT), CN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시간주 입실랜티 소재 포드모터스 공장을 둘러보던 중 기자들에게 추가 부양책 필요 여부와 관련해 "그럴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가 사람들을 도울 것으로 본다"라며 "우리는 인위적인 (폐쇄 조치) 동안에 사람들을 위해 돈을 좀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또 한 번의 '나이스 샷'이 있을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추가 부양책에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에 관해선 별다른 답이 나오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신 이에 관한 추가 정보를 적기에 알려주겠다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의 추가 부양책 필요성 거론에 이어 나왔다. 므누신 장관은 이날 더힐 화상회의에서 "또 다른 법안이 필요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발언했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한파 등 경제 타격 대응을 위해 지난 3월 무려 2조달러(약 2472조원) 규모의 부양책을 시행하는 등 막대한 돈을 풀어 왔다.
민주당은 이후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주 정부에 대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추가 부양책을 요구해 왔다. 민주당 주도 하원은 지난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3조달러(약 3706조원) 규모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은 해당 법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피력해 왔다. 재정 부담 우려는 물론,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주가 주로 민주당 주지사가 있는 지역이라는 점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됐다.
한편 미 언론 악시오스에 따르면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게 추가 부양책 규모가 1조달러를 넘어선 안 된다는 뜻을 피력했다고 한다.
악시오스는 "하원 민주당의 3조달러 법안에 대한 상원 공화당원들의 반발이 매우 극심하다"며 "매코널 원내대표는 차기 법안 규모를 반드시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NN과 뉴욕타임스(NYT), CN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시간주 입실랜티 소재 포드모터스 공장을 둘러보던 중 기자들에게 추가 부양책 필요 여부와 관련해 "그럴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가 사람들을 도울 것으로 본다"라며 "우리는 인위적인 (폐쇄 조치) 동안에 사람들을 위해 돈을 좀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또 한 번의 '나이스 샷'이 있을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추가 부양책에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에 관해선 별다른 답이 나오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신 이에 관한 추가 정보를 적기에 알려주겠다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의 추가 부양책 필요성 거론에 이어 나왔다. 므누신 장관은 이날 더힐 화상회의에서 "또 다른 법안이 필요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발언했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한파 등 경제 타격 대응을 위해 지난 3월 무려 2조달러(약 2472조원) 규모의 부양책을 시행하는 등 막대한 돈을 풀어 왔다.
민주당은 이후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주 정부에 대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추가 부양책을 요구해 왔다. 민주당 주도 하원은 지난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3조달러(약 3706조원) 규모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은 해당 법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피력해 왔다. 재정 부담 우려는 물론,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주가 주로 민주당 주지사가 있는 지역이라는 점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됐다.
한편 미 언론 악시오스에 따르면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게 추가 부양책 규모가 1조달러를 넘어선 안 된다는 뜻을 피력했다고 한다.
악시오스는 "하원 민주당의 3조달러 법안에 대한 상원 공화당원들의 반발이 매우 극심하다"며 "매코널 원내대표는 차기 법안 규모를 반드시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