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정부 "생활방역 전환, 의학적 필요성·수용 가능성 두루 살펴 결정"

기사등록 2020/04/16 11:43:35

"2차 생활방역위, 19일 이후 대응방향 논의"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적 지침 필요해"

"국민의견수렴 5천여명 참여…지침에 반영"

[서울=뉴시스]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이 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2020.04.0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이 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2020.04.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연희 구무서 기자 = 정부가 오는 19일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시점을 앞두고 생활방역위원회(생활방역위)를 중심으로 향후 대응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논의에 돌입했다. 특히 의학적 필요성과 사회의 수용 가능성을 살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 같이 말했다.

생활방역이란 일상생활 속에서 경제나 사회활동을 영위하면서도 코로나19의 감염 예방 및 차단 활동을 병행하는 새로운 일상에서의 방역체계다. 중대본은 새로운 일상과 관습과 제도를 어떻게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또 안전한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 등을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다.

중대본은 현재 방역 의학전문가와 인문사회학계, 시민사회 등이 참여하는 생활방역위를 운영하고 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이윤성 원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은 생활방역위는 지난 10일 첫 회의에 이어 16일 오전 11시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에서 2차 회의가 진행 중이다.

1차 회의에서는 생활방역으로 전환 가능성과 시기, 조건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면 2차 회의에서는 오는 19일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시기를 앞두고 향후 대응방향에 초점을 두고 논의할 예정이다.

김 1총괄조정관은 "생활방역위원회에서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의학적 필요성과 우리 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수용 가능성을 두루 살펴 생활 속에서 방역을 실천하기 위한 지침을 논의하고 있다"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정과 더불어 이후에 우리 사회가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중대본은 국민들에게 생활방역 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철저하게 동참해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

김 1총괄조정관은 "생활방역 지침은 코로나19와의 기나긴 싸움에서 우리가 함께 실천해야 하는 새로운 생활습관, 새로운 일상의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한 것"이라며 "다만 생활방역체계는 지역사회 전파가 대규모 감소하는 경우 가능한 것이므로 현재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보다 철저히 실천해 달라"고 당부했다.

중대본은 지난 12일부터 오는 28일까지 생활방역 관련 국민들의 궁금한 점을 해소하고 다양한 제도적 ·사회적 제안을 듣고 반영하는 차원에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19 공식홈페이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김 1총괄조정관은 "지난 15일 오후 1시 기준으로 총 5135명이 응답해 생활방역수칙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면서 "향후 대국민 생활방역 행동지침을 마련하는데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정부 "생활방역 전환, 의학적 필요성·수용 가능성 두루 살펴 결정"

기사등록 2020/04/16 11:43:35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