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는 단기자금 시장…내일 시장안정화 대책 발표(종합2보)

기사등록 2020/03/23 17:55:42

"증권·채권안정시장펀드 최소 20조 예상"

"6조7000억 규모 P-CBO 프로그램 가동"

단기자금시장 대책에 주목

[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정부가 오는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극심한 불안을 겪고 있는 금융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한 안정화 방안을 내놓는다.

금융위원회는 대통령 주재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증권, 채권시장에 이어 단기자금시장 대책을 포함한 금융시장 안정화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금융당국은 비상경제회의가 끝난 직후 신속한 증시안정펀드 조성을 위해 출자금융사를 대상으로 한 '1차 관계자 회의'도 연다. 이후 오후 1시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브리핑에 나설 예정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책은 채권시장안정펀드와 증권시장안정펀드 조성과 코로나19 피해 대응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 등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일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최소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고, 자금소진 추이를 보며 필요시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증시안정펀드의 경우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금융권에서는 채권시장펀드와 마찬가지로 약 10조원 규모로 조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6조7000억원 규모의 코로나19 피해 대응 P-CBO 발행 계획도 내놨다.

채권시장안정 펀드는 채권시장 경색으로 인해 자금난을 겪는 기업들의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펀드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10조원 규모로 조성, 필요할 때마다 자금을 지원하는 '캐피털 콜(capital call)' 방식으로 5조원을 지원한 바 있다.

당시 은행과 보험을 비롯한 91개 금융기관이 출자했고, 한국은행이 각 금융기관 출자금액의 50%까지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등의 방식으로 유동성을 지원했다.

금융권이 공동으로 자금을 출자해 필요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투입하는 증시안정펀드는 지난 2008년 총 5150억원 규모로 조성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당시보다 시장규모가 커지고, 위기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라 조성 규모가 10조원으로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금융·신한금융·우리금융·하나금융·NH농협금융지주 등 5대 금융지주는 채권안정펀드와 증시안정펀드 조성을 위해 각각 2조원씩 총 10조원을 출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3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은행장들과 만나 출자 규모 등을 포함한 안정화 방안을 확정하고, 비공식 협약을 맺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4일 비상경제회의에서는 단기자금 시장의 신용경색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방안도 확정된다. 최근 기업어음(CP)시장에서 증권사들이 보유한 단기채권 물량이 쏟아지자 채권 가격이 급락하는 현상이 나타난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10조원 이상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와 P-CBO 발행 계획을 내놨지만 시장에서는 현 위기 상황을 볼 때 규모를 확대하는 등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12월이 만기인 국내 회사채는 47조6388억원으로, 이중 6조5495억원이 4월 중 만기가 도래한다.

SK증권은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금융채를 제외한 회사채는 37조1000억원, CP·전단채는 78조8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오는 6월 이전까지 돌아오는 물량은 회사채 2조5000억원, CP·전단채 25조8000억원"이라며 "보수적으로 50%가 상환이 안될 경우만 따져도 채권시장안정 펀드가 대략 15조원 이상 규모는 있어야 시장은 안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제로금리 인하, 대규모 국채 및 MBS(모기지증권) 매입, 긴급 유동성 프로그램 재도입 등 미국 국채시장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특히 연준은 CP매입기구(CPFF)를 가동해 무담보 기업어음(CP) 및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을 사들이고, 일본 중앙은행은 CP와 회사채 매입을 각각 1조엔씩 2조엔을 추가 매입하기로 했다.

이날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도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콜·RP(환매조건부채권)·CP·전단채(전자단기사채) 등 단기자금시장 수급 상황과 원화 유동성 공급 채널이 적절히 작동하는지 등을 검토했다"면서 "자금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단기금리 변동성이 과도할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신속하게 시행하는 등 신용경색을 방지하는데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얼어붙는 단기자금 시장…내일 시장안정화 대책 발표(종합2보)

기사등록 2020/03/23 17:55:42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