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다시 오를 것, NSW주-빅토리아주 산불 만날 수도"
![[베언즈데일=AP/뉴시스] 호주 남부 베언즈데일의 산에서 불길이 솟구치고 있다. CNN은 2일(현지시간) 큰 불이 강풍을 타고 16㎞까지 솟구쳐 오르며 이동하는 '화염 토네이도'로 호주 산불 사태가 더욱 위협적으로 변했다고 보도했다. 2020.1.3.](https://img1.newsis.com/2020/01/02/NISI20200102_0015944391_web.jpg?rnd=20200102194731)
[베언즈데일=AP/뉴시스] 호주 남부 베언즈데일의 산에서 불길이 솟구치고 있다. CNN은 2일(현지시간) 큰 불이 강풍을 타고 16㎞까지 솟구쳐 오르며 이동하는 '화염 토네이도'로 호주 산불 사태가 더욱 위협적으로 변했다고 보도했다. 2020.1.3.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호주 남동부의 '재앙급' 산불이 동부 지역에 내린 폭우로 잠시 숨을 돌렸다. 다만 호주 당국은 이번 주중 기온이 더 오를 것으로 내다보며 더 큰 '메가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6일 호주 현지언론과 BBC방송 등에 따르면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 등 동부 화재 지역에 전날 큰 비가 내리면서 기온이 다소 떨어졌다. 이 비는 재난 수준의 산불이 확산하는 것을 잠시 막았다.
특히 산불 피해가 가장 큰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에는 '양동이로 들이붓는 듯한 비'가 내렸다고 언론은 전했다.
그러나 호주 당국은 오는 9일까지 기온이 더 오를 것이라며 NSW주와 빅토리아주의 화재가 만나 더 큰 '메가 화재'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글래디스 베레지킬리언 NSW 주지사는 "안주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경각심을 높였다.
지난해 9월 시작된 호주 산불은 지금까지 24명의 사망자를 내는 등 재난 수준의 화재로 번졌다. 최근엔 역대 최악의 폭염까지 겹치면서 호주 국민들은 더 힘든 날들을 견뎌야 했다고 언론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NSW주와 빅토리아주는 지난 2일과 5일 각각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NSW주는 400만㏊(4만㎢, 빅토리아주도 6000㏊(60㎢)가 넘는 녹지가 잿더미로 변했다. 남부 멜버른의 현재 가시거리는 1㎞ 미만이다.
학교와 공공기관들도 속속 문을 닫았다. 5일 캔버라에 있는 호주국립미술관은 예술품과 관람객, 직원들의 위험을 줄이겠다며 휴관했고, 호주국립대도 휴교했다.
CNBC에 따르면 호주 시드니대 생태학자들은 산불로 지금까지 야생동물 5억 마리가 죽었을 것으로 추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6일 호주 현지언론과 BBC방송 등에 따르면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 등 동부 화재 지역에 전날 큰 비가 내리면서 기온이 다소 떨어졌다. 이 비는 재난 수준의 산불이 확산하는 것을 잠시 막았다.
특히 산불 피해가 가장 큰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에는 '양동이로 들이붓는 듯한 비'가 내렸다고 언론은 전했다.
그러나 호주 당국은 오는 9일까지 기온이 더 오를 것이라며 NSW주와 빅토리아주의 화재가 만나 더 큰 '메가 화재'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글래디스 베레지킬리언 NSW 주지사는 "안주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경각심을 높였다.
지난해 9월 시작된 호주 산불은 지금까지 24명의 사망자를 내는 등 재난 수준의 화재로 번졌다. 최근엔 역대 최악의 폭염까지 겹치면서 호주 국민들은 더 힘든 날들을 견뎌야 했다고 언론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NSW주와 빅토리아주는 지난 2일과 5일 각각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NSW주는 400만㏊(4만㎢, 빅토리아주도 6000㏊(60㎢)가 넘는 녹지가 잿더미로 변했다. 남부 멜버른의 현재 가시거리는 1㎞ 미만이다.
이시간 핫뉴스
학교와 공공기관들도 속속 문을 닫았다. 5일 캔버라에 있는 호주국립미술관은 예술품과 관람객, 직원들의 위험을 줄이겠다며 휴관했고, 호주국립대도 휴교했다.
CNBC에 따르면 호주 시드니대 생태학자들은 산불로 지금까지 야생동물 5억 마리가 죽었을 것으로 추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