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환법 시위사태로 홍콩내 불안감↑…대만 이민 신청↑

기사등록 2019/08/20 11:38:36

1~7월 대만 이민신청자,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

입법회 점거시위 참가자 중 30여명이 대만 망명 신청

【홍콩=AP/뉴시스】 18일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 시민들이 모여들고 있다. 폭우 속에서도 시민들은 차분하게 우산을 들고 시위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2019.8.19.
【홍콩=AP/뉴시스】 18일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 시민들이 모여들고 있다. 폭우 속에서도 시민들은 차분하게 우산을 들고 시위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2019.8.19.
【서울=뉴시스】이재우 기자 = 수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범죄인 인도법(逃犯條例·송환법) 사태로 홍콩의 민주주의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자금과 인력 유출이 시작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현지시간) 송환법 시위가 장기화되면서 같은 문화권인 대만으로 이민을 신청한 홍콩 시민이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만 이민청 통계를 자체 분석해 지난 1~7월 대만으로 이민을 신청한 홍콩 시민의 숫자는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고도 했다.

대만 빈과일보는 지난달 홍콩 입법회 점거시위에 참여한 시위대 중 30여명이 대만으로 망명을 신청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 2015년 중국이 지정한 금서를 판매한 혐의로 강제 구금됐던 홍콩 출판업자 람웡키(林榮基)도 지난 4월말 대만으로 이주했다.

대만 이주를 희망한다는 홍콩시민 스티븐 첸(37)은 통신에 "홍콩은 백색테러 시대에 있고 경찰의 지배를 받고 있기 때문에 대만으로 이주하고 싶다"고 말했다. 통신은 홍콩 시민들이 대만의 보다 안전한 정치 환경은 물론 저렴한 주거 비용, 많은 사업 기회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중국은 영국으로부터 홍콩을 이양 받으면서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2047년까지 홍콩의 행정·입법·사법 자치권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홍콩은 1997년 반환 이후 급격한 중국화에 직면해 있다. 특히 친(親)중국 성향 홍콩 행정부가 사법제도의 불투명성 등을 이유로 범죄인 인도협약을 맺지 않고 있는 중국 등에도 범죄인을 인도할 수 있는 '송환법'을 추진하면서 일국양제가 흔들리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아울러 중국인들이 홍콩에 진출하면서 주거 비용과 물가 등이 급등해 홍콩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된 상태다. 이는 홍콩 청년층이 송환법 시위에 적극 참여하는 이유 중 하나로도 꼽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1~7월 대만 이민청에 이민 또는 체류를 신청한 홍콩 시민은 총 202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 늘었다. 특히 송환법 반대 시위가 본격화한 6~7월에는 이민 또는 체류 신청이 681건으로 같은기간 45.5% 급증했다. 대만 이민청은 홍콩 시민들의 신청을 대부분 승인했다.

【디트로이트=AP/뉴시스】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미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디트로이트 경제인 클럽 모임에서 연설하고 있다. 펜스 부통령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을 위해선 중국 정부가 약속을 지켜야 한다”면서 “그 출발점은 중국이 지난 1984년 중·영 공동 선언을 통해 홍콩의 법을 존중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1984년 영국과 홍콩 반환협정 체결 당시 홍콩이 중국식 사회주의가 아닌 자본주의 시스템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다며 홍콩 반환 50주년이 되는 2047년까지 홍콩에 행정·입법·사법 자치권을 부여하는 '일국양제'를 보장한다고 약속한 바 있다. 2019.08.20.
【디트로이트=AP/뉴시스】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미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디트로이트 경제인 클럽 모임에서 연설하고 있다. 펜스 부통령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을 위해선 중국 정부가 약속을 지켜야 한다”면서 “그 출발점은 중국이 지난 1984년 중·영 공동 선언을 통해 홍콩의 법을 존중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1984년 영국과 홍콩 반환협정 체결 당시 홍콩이 중국식 사회주의가 아닌 자본주의 시스템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다며 홍콩 반환 50주년이 되는 2047년까지 홍콩에 행정·입법·사법 자치권을 부여하는 '일국양제'를 보장한다고 약속한 바 있다. 2019.08.20.
월스트리트저널(WSJ)도 18일 송환법 사태로 '일국양제' 체제인 홍콩이 중국과 관계에서 자치권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 커졌고, 홍콩의 글로벌 금융허브로서 안정성에 대해 불안감이 불거지면서 일부 금융주체들이 자금을 해외로 돈을 옮기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경제컨설팅업체 란타우그룹 파트너인 세라 페어허스트는 WSJ에 "송환법 시위에 대한 우려 때문에 지난주 20만 홍콩달러(약 3100만원)를 파운드로 환전했다"면서 "상황이 어떻게 진행될지 알수 없지만 내 돈이 묶이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홍콩 거주 12년차인 페어허스트는 자신의 사무실 근처에서 경찰이 최루탄을 사용하는 영상을 보고 불안해졌다고 전했다.

홍콩내 개인과 중소기업들의 해외 자금 이전을 돕는 트랜스퍼와이즈는 송환법 시위가 시작된 이후 홍콩에서 외부로 자금 유출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확한 액수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지난 17일 기준 이달 현재 유출된 자금이 유입된 자금보다 2.64배 가량 많다면서 대부분 영국과 미국, 싱가포르, 호주, 유로존의 은행 계좌로 이전됐다고도 부연했다.
 
싱가포르 컨설팅업체인 퓨처뮤브스 대표인 데바다스 크리슈나다스는 "부유한 개인과 대기업 등 일부 고객들이 개인 자금과 투자 자본을 홍콩 밖으로 옮기고 있다"면서 "(이유는) 금융허브로서 지위에 대한 장기적인 우려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장 빨리 빠져나가는 것은 자본"이라면서 "직원과 사무실을 옮기는데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도 했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송환법 시위사태로 홍콩내 불안감↑…대만 이민 신청↑

기사등록 2019/08/20 11:38:36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