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1회 > 평화·국민 각각 21회 順…평화경제 6회 언급
지난해 2회 거론했던 '일본'…올해는 12회 사용으로 급증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의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관통한 키워드는 크게 경제·평화·일본 3가지로 압축해 볼 수 있다. 일본의 무역보복 조치로 인한 한일 갈등 국면에서 나온 이번 광복절 메시지의 특성을 고스란히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거행된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총 7102자를 남겼다. 줄 수로는 389줄, 200자 원고지 기준으로는 58매 분량에 해당한다.
원고지 기준으로는 취임 후 가졌던 3차례의 경축사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73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5535자(200자 원고지 46매), 2017년 72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7415자(200자 원고지 56매)를 각각 남겼다.
올해 경축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우리(62회) ▲나라(32회) ▲경제(31회) ▲평화(21회) ▲국민(21회) ▲협력(20회) ▲번영(19회) ▲한반도(19회) ▲동아시아(15회) ▲국가(12회)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과 정부를 수식할 때 많이 쓰인 '우리'라는 단어와 일반적인 국가를 지칭할 때 사용된 '나라'라는 일반 명사를 제외하면 '경제'가 단연 많이 쓰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총 31차례 '경제'를 언급했다.
국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가 '경제'라는 점에 착안해 이번 경축사 작성 시점부터 비중 있게 다룬 것으로 알려졌다. 추상적인 평화라는 개념을 국민들이 체감하기 쉽도록 하기위해 경제에 비유하면서 도드라지게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남북 분단 상황과 일본발(發) 경제위기를 동시에 극복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평화경제' 구상을 자세히 제시하면서 조금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경축사에서 경제를 18회 언급했었다. 지난해와 비교해 13차례나 더 사용한 셈이다.
평화와 경제의 합성어인 평화경제는 별도로 총 6회 사용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기 위한 목표로 ▲책임있는 경제강국 ▲대륙과 해양을 아우르는 교량국가 건설 ▲평화경제 구축 3가지를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로 번영을 이루는 평화경제를 구축하고 통일로 광복을 완성하고자 한다"며 "평화경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위에 북한이 핵이 아닌 경제와 번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화와 협력을 계속해나가는 데서 시작한다"라고 말했다.
그 다음으로 문 대통령의 경축사를 많이 채운 단어는 '국민'과 '평화'였다. 각각 총 21회 언급됐다. 지난해 각각 20회 언급됐던 두 단어는 올해 1회씩 더 많이 사용됐다.
일본이 많이 거론된 것도 경축사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총 12회 언급됐다. 2017년도에 7회, 지난해엔 2회만 사용했었다.
직접적인 대일(對日) 비판 메시지는 자제하면서도, 내부적으로 일본 경제를 극복하고 외부적으로는 여전히 외교적 대화를 원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내는 과정에서 많이 사용됐다.
[email protected]
문 대통령은 이날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거행된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총 7102자를 남겼다. 줄 수로는 389줄, 200자 원고지 기준으로는 58매 분량에 해당한다.
원고지 기준으로는 취임 후 가졌던 3차례의 경축사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73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5535자(200자 원고지 46매), 2017년 72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7415자(200자 원고지 56매)를 각각 남겼다.
올해 경축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우리(62회) ▲나라(32회) ▲경제(31회) ▲평화(21회) ▲국민(21회) ▲협력(20회) ▲번영(19회) ▲한반도(19회) ▲동아시아(15회) ▲국가(12회)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과 정부를 수식할 때 많이 쓰인 '우리'라는 단어와 일반적인 국가를 지칭할 때 사용된 '나라'라는 일반 명사를 제외하면 '경제'가 단연 많이 쓰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총 31차례 '경제'를 언급했다.
국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가 '경제'라는 점에 착안해 이번 경축사 작성 시점부터 비중 있게 다룬 것으로 알려졌다. 추상적인 평화라는 개념을 국민들이 체감하기 쉽도록 하기위해 경제에 비유하면서 도드라지게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남북 분단 상황과 일본발(發) 경제위기를 동시에 극복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평화경제' 구상을 자세히 제시하면서 조금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경축사에서 경제를 18회 언급했었다. 지난해와 비교해 13차례나 더 사용한 셈이다.
평화와 경제의 합성어인 평화경제는 별도로 총 6회 사용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기 위한 목표로 ▲책임있는 경제강국 ▲대륙과 해양을 아우르는 교량국가 건설 ▲평화경제 구축 3가지를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로 번영을 이루는 평화경제를 구축하고 통일로 광복을 완성하고자 한다"며 "평화경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위에 북한이 핵이 아닌 경제와 번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화와 협력을 계속해나가는 데서 시작한다"라고 말했다.
그 다음으로 문 대통령의 경축사를 많이 채운 단어는 '국민'과 '평화'였다. 각각 총 21회 언급됐다. 지난해 각각 20회 언급됐던 두 단어는 올해 1회씩 더 많이 사용됐다.
일본이 많이 거론된 것도 경축사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총 12회 언급됐다. 2017년도에 7회, 지난해엔 2회만 사용했었다.
직접적인 대일(對日) 비판 메시지는 자제하면서도, 내부적으로 일본 경제를 극복하고 외부적으로는 여전히 외교적 대화를 원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내는 과정에서 많이 사용됐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