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2심 징역 3년…국민여론 왜곡 감안
1심, 댓글조작 중대→김경수 공모 판단 실형
김경수, 공모에 초점 맞춰 방어전략 펼칠 듯

【서울=뉴시스】임태훈 기자 = 댓글조작 사건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 김경수(왼쪽)와 드루킹 김동원씨. 2018.08.11. taehoonlim@newsis.com


【서울=뉴시스】옥성구 기자 = '드루킹' 김동원(50)씨 일당의 항소심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댓글조작 행위의 중대성이 재차 인정되면서 이 사건 범행을 공모한 혐의로 기소된 김경수(52) 경남도지사의 항소심 결과가 주목된다.
두 사건은 다른 재판부에서 심리됐지만, 사실상 하나의 사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김 지사의 공모 여부가 인정될 경우 1심과 같은 실형 판단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김 지사는 이같은 치명타를 피하기 위해 향후 재판 과정에서 드루킹과의 '공모 연결고리'를 끊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고법 형사4부(부장판사 조용현)는 14일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드루킹 김씨 항소심에서 징역 3년6개월을 선고한 1심과 달리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매크로 프로그램인 '킹크랩'을 이용한 댓글조작 행위가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 혐의가 맞다고 보면서, 이는 국민의 여론을 왜곡한 중대 범죄라고 판단했다.
드루킹 항소심의 이같은 판단은 1심과 같다.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죄가 시행된 1995년 이래 실형이 확정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지만, 1심은 이 사건이 단순히 댓글조작뿐만 아니라 선거에 개입한 중대 범죄였다는 점 등을 참작해 실형 판단했다.
드루킹 항소심 재판부가 댓글조작의 중대성을 인정하면서 현재 항소심이 진행 중인 김 지사 재판에 관심이 쏠린다. 김 지사가 1심에서 실형을 받게 된 원인은 댓글조작 중대성과 함께 드루킹 일당과 공모했다는 점이다.
김 지사 1심 판결문에 따르면 1심 재판부는 이 사건이 선거에 개입한 중대 범죄라며 피해자를 국민 전체로 판단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가 이같은 범행을 통해 대선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여론을 주도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받았고,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과정을 저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만약 댓글조작 중대성과 공모라는 연결고리가 항소심에서도 그대로 인정될 경우 김 지사는 다시 실형을 선고받을 수도 있다. 우선 드루킹 항소심이 재차 댓글조작 범행을 중대하다고 판단하면서 연결고리 중 하나의 근거가 인정된 셈이 됐다.
이날 드루킹 항소심은 김 지사에 대해 일부 언급했다. 재판부는 드루킹 김씨 양형 사유를 밝히면서 "김 지사에게 직접 이 사건 댓글조작 범행 대가로 경제적공진화모임 회원에 대한 공직 임용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물론 김 지사 항소심도 댓글조작 중대성 여부를 직접 판단한다. 판단에 따라 댓글조작 행위가 중대하지 않다는 다른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하지만 김 지사는 댓글조작을 직접 한 것이 아닌 드루킹 일당과 공모한 혐의를 받기 때문에 김 지사 항소심이 드루킹 항소심의 판단을 참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허익범 특별검사팀도 김 지사 항소심에서 댓글조작 중대성이 인정된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법원 관계자는 "재판부가 다르면 중대성 여부 판단은 직접 하게 된다"면서 "다만 같은 사건이기 때문에 드루킹 항소심의 판단을 참고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결국 김 지사 측은 공모 여부에 초점을 맞춰 적극 방어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 측은 현재 항소심에서 공모가 없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킹크랩 시연회 당시의 로그기록, 전 수행비서의 이동 경로가 담긴 구글 타임라인을 제출하는 등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castlenine@newsis.com
두 사건은 다른 재판부에서 심리됐지만, 사실상 하나의 사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김 지사의 공모 여부가 인정될 경우 1심과 같은 실형 판단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김 지사는 이같은 치명타를 피하기 위해 향후 재판 과정에서 드루킹과의 '공모 연결고리'를 끊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고법 형사4부(부장판사 조용현)는 14일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드루킹 김씨 항소심에서 징역 3년6개월을 선고한 1심과 달리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매크로 프로그램인 '킹크랩'을 이용한 댓글조작 행위가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 혐의가 맞다고 보면서, 이는 국민의 여론을 왜곡한 중대 범죄라고 판단했다.
드루킹 항소심의 이같은 판단은 1심과 같다. 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죄가 시행된 1995년 이래 실형이 확정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지만, 1심은 이 사건이 단순히 댓글조작뿐만 아니라 선거에 개입한 중대 범죄였다는 점 등을 참작해 실형 판단했다.
드루킹 항소심 재판부가 댓글조작의 중대성을 인정하면서 현재 항소심이 진행 중인 김 지사 재판에 관심이 쏠린다. 김 지사가 1심에서 실형을 받게 된 원인은 댓글조작 중대성과 함께 드루킹 일당과 공모했다는 점이다.
김 지사 1심 판결문에 따르면 1심 재판부는 이 사건이 선거에 개입한 중대 범죄라며 피해자를 국민 전체로 판단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가 이같은 범행을 통해 대선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여론을 주도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받았고,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과정을 저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만약 댓글조작 중대성과 공모라는 연결고리가 항소심에서도 그대로 인정될 경우 김 지사는 다시 실형을 선고받을 수도 있다. 우선 드루킹 항소심이 재차 댓글조작 범행을 중대하다고 판단하면서 연결고리 중 하나의 근거가 인정된 셈이 됐다.
이날 드루킹 항소심은 김 지사에 대해 일부 언급했다. 재판부는 드루킹 김씨 양형 사유를 밝히면서 "김 지사에게 직접 이 사건 댓글조작 범행 대가로 경제적공진화모임 회원에 대한 공직 임용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물론 김 지사 항소심도 댓글조작 중대성 여부를 직접 판단한다. 판단에 따라 댓글조작 행위가 중대하지 않다는 다른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하지만 김 지사는 댓글조작을 직접 한 것이 아닌 드루킹 일당과 공모한 혐의를 받기 때문에 김 지사 항소심이 드루킹 항소심의 판단을 참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허익범 특별검사팀도 김 지사 항소심에서 댓글조작 중대성이 인정된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법원 관계자는 "재판부가 다르면 중대성 여부 판단은 직접 하게 된다"면서 "다만 같은 사건이기 때문에 드루킹 항소심의 판단을 참고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시간 핫뉴스
결국 김 지사 측은 공모 여부에 초점을 맞춰 적극 방어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 측은 현재 항소심에서 공모가 없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킹크랩 시연회 당시의 로그기록, 전 수행비서의 이동 경로가 담긴 구글 타임라인을 제출하는 등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castlenin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