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국민연금·고용보험·복지로…22개 개선
주민등록등본·토지대장 등 21종 서류발급 편의↑
클라우드 인증서 접속 가능…내년까지 확대키로

【세종=뉴시스】행정안전부가 정부24등 22개 공공 웹사이트에서 액티스엑스 등 플러그인을 제거했다고 13일 밝혔다. 앞으로는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저장소에 보관한 공인인증서로 접속할 수 있고, 키보드 보안 등은 이용자가 원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2019.08.13. (자료=행안부 제공)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앞으로는 액티브엑스, EXE실행파일 등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아도 주민등록등본 등 민원서류 발급 전자정부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정부24(gov.kr)를 비롯해 22개 주요 공공 웹사이트의 불필요한 플러그인을 제거했다고 13일 밝혔다.
플러그인이 제거된 22개 웹사이트는 월 평균 약 1470만명이 이용하는 정부24 외에 ▲국민건강보험(nhis.or.kr) ▲국민연금(nps.ork.kr) ▲고용보험(ei.go.kr) ▲경찰민원(minwon.police.go.kr) ▲전자통관(unipass.customs.go.kr) ▲복지로(bokjiro.go.kr) ▲운전면허자동검증(dlv.koroad.or.kr) ▲나이스(neis.go.kr) 등이 있다.
'정부24'는 전체 발급부수 93%를 차지하는 주민등록등·초본과 토지(임야)대장, 자동차 등록원부등·초본, 건축물대장 등·초본 등 21종의 민원에 대한 플러그인을 우선 제거했다.
이번 조치로 플러그인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될 뿐더러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 크롬, 파이어폭스 등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최신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한다.
공인인증서 접속방식을 없애지는 않았다. 대신 브라우저 인증 방식으로도 접속 가능하도록 했다. 이용자가 브라우저 인증을 선택할 경우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저장소에 인증서를 보관할 수 있다.
키보드보안이나 백신, 개인 방화벽 등 대체기술이 없는 일부 보안 플러그인의 경우 사용자가 원할 때 설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행안부가 일반 국민 275명을 대상으로 이번 플러그인 제거 웹사이트를 체험하도록 한 결과 237명(86.2%)가 서비스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리 시범운영해온 기관에서는 서비스 이용 관련 민원도 감소했다.
행안부는 내년까지 다른 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를 추진할 계획이다. 행안부 최장혁 전자정부국장은 "2020년까지 대부분 공공 웹사이트에서 플러그인이 제거될 수 있게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dyhlee@newsis.com
행정안전부는 정부24(gov.kr)를 비롯해 22개 주요 공공 웹사이트의 불필요한 플러그인을 제거했다고 13일 밝혔다.
플러그인이 제거된 22개 웹사이트는 월 평균 약 1470만명이 이용하는 정부24 외에 ▲국민건강보험(nhis.or.kr) ▲국민연금(nps.ork.kr) ▲고용보험(ei.go.kr) ▲경찰민원(minwon.police.go.kr) ▲전자통관(unipass.customs.go.kr) ▲복지로(bokjiro.go.kr) ▲운전면허자동검증(dlv.koroad.or.kr) ▲나이스(neis.go.kr) 등이 있다.
'정부24'는 전체 발급부수 93%를 차지하는 주민등록등·초본과 토지(임야)대장, 자동차 등록원부등·초본, 건축물대장 등·초본 등 21종의 민원에 대한 플러그인을 우선 제거했다.
이번 조치로 플러그인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될 뿐더러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 크롬, 파이어폭스 등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최신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한다.
공인인증서 접속방식을 없애지는 않았다. 대신 브라우저 인증 방식으로도 접속 가능하도록 했다. 이용자가 브라우저 인증을 선택할 경우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저장소에 인증서를 보관할 수 있다.
키보드보안이나 백신, 개인 방화벽 등 대체기술이 없는 일부 보안 플러그인의 경우 사용자가 원할 때 설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행안부가 일반 국민 275명을 대상으로 이번 플러그인 제거 웹사이트를 체험하도록 한 결과 237명(86.2%)가 서비스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리 시범운영해온 기관에서는 서비스 이용 관련 민원도 감소했다.
이시간 핫뉴스
행안부는 내년까지 다른 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를 추진할 계획이다. 행안부 최장혁 전자정부국장은 "2020년까지 대부분 공공 웹사이트에서 플러그인이 제거될 수 있게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dyhle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