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자·시민·각계 대표·학생 등 5000명 참석
두 번째 참석 문 대통령 "진상 규명 노력을"
황교안 대표 시민·학생 거센 항의받기도
【광주=뉴시스】구용희 기자 = 광주 민주화운동의 가치와 국민 통합의 메시지가 담긴 5·18 제39주년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렸다.
'오월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주제로 한 이날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비롯한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유족·각 정당 대표·국회의원·시도지사·시도 교육감·시민·학생 등 5000여 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의 참석은 2017년 37주기 기념식에 이은 두 번째다.
여·야 지도부도 총출동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를 비롯해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까지 각 당 지도부가 모두 참석했다.
황 대표는 기념식장으로 향하는 길에 시민과 학생들의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지난해 3월,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특별법이 제정됐다. 핵심은 진상조사규명위원회를 설치해 남겨진 진실을 낱낱이 밝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위원회가 출범조차 못하고 있다. 국회와 정치권이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정부는 특별법에 의한 진상조사규명위원회가 출범하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자료를 제공하고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또 "오월은 더 이상 분노와 슬픔의 오월이 돼서는 안된다. 우리의 오월은 희망의 시작, 통합의 바탕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의 자부심은 역사의 것이고 대한민국의 것이며 국민 모두의 것이다. 광주로부터 뿌려진 민주주의의 씨앗을 함께 가꾸고 키워내는 일은 행복한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39주년 기념식은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와 역사적 사실을 전 국민이 공감하고, 민주화의 역사와 가치 계승을 통한 정의와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했다.
기념식은 오프닝 공연·국민의례·경과보고·기념 공연·기념사·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 등으로 60분간 이어졌다.
오프닝 공연은 5·18의 역사적 현장인 옛 전남도청에서 39년 전 고인이 된 당시 고등학생의 일기를 바탕으로 작곡(블랙홀 주상균 씨)한 '마지막 일기'로 채워졌다.
애국가 제창은 민주화운동 참여 대학인 전남대·조선대 학생 대표 4명과 5·18 희생자 유족 4명이 선도했다.
기념공연에서는 39년 전 5월 도청 앞에서 가두방송을 했던 박영순 씨의 스토리텔링과 고등학교 1학년 신분으로 5월27일 새벽 최후의 항전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고 안종필 군 어머니의 이야기가 펼쳐졌다.
특히 기념식 최초로 5·18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장소인 옛 전남도청과 민주묘지를 이원 생중계하는 등 역사성과 현장감을 동시에 추구했다.
기념식 뒤에는 5·18 희생자 묘역을 참배하며 앞서 간 이들의 숭고한 넋을 기렸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5·18 민주화운동은 더 이상 광주 만의 5·18이 아니다"며 "전 국민이 함께 공유하며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역사로 승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월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주제로 한 이날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비롯한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유족·각 정당 대표·국회의원·시도지사·시도 교육감·시민·학생 등 5000여 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의 참석은 2017년 37주기 기념식에 이은 두 번째다.
여·야 지도부도 총출동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를 비롯해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까지 각 당 지도부가 모두 참석했다.
황 대표는 기념식장으로 향하는 길에 시민과 학생들의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지난해 3월,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특별법이 제정됐다. 핵심은 진상조사규명위원회를 설치해 남겨진 진실을 낱낱이 밝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위원회가 출범조차 못하고 있다. 국회와 정치권이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정부는 특별법에 의한 진상조사규명위원회가 출범하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자료를 제공하고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또 "오월은 더 이상 분노와 슬픔의 오월이 돼서는 안된다. 우리의 오월은 희망의 시작, 통합의 바탕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의 자부심은 역사의 것이고 대한민국의 것이며 국민 모두의 것이다. 광주로부터 뿌려진 민주주의의 씨앗을 함께 가꾸고 키워내는 일은 행복한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39주년 기념식은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와 역사적 사실을 전 국민이 공감하고, 민주화의 역사와 가치 계승을 통한 정의와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했다.
기념식은 오프닝 공연·국민의례·경과보고·기념 공연·기념사·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 등으로 60분간 이어졌다.
오프닝 공연은 5·18의 역사적 현장인 옛 전남도청에서 39년 전 고인이 된 당시 고등학생의 일기를 바탕으로 작곡(블랙홀 주상균 씨)한 '마지막 일기'로 채워졌다.
애국가 제창은 민주화운동 참여 대학인 전남대·조선대 학생 대표 4명과 5·18 희생자 유족 4명이 선도했다.
기념공연에서는 39년 전 5월 도청 앞에서 가두방송을 했던 박영순 씨의 스토리텔링과 고등학교 1학년 신분으로 5월27일 새벽 최후의 항전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고 안종필 군 어머니의 이야기가 펼쳐졌다.
특히 기념식 최초로 5·18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장소인 옛 전남도청과 민주묘지를 이원 생중계하는 등 역사성과 현장감을 동시에 추구했다.
기념식 뒤에는 5·18 희생자 묘역을 참배하며 앞서 간 이들의 숭고한 넋을 기렸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5·18 민주화운동은 더 이상 광주 만의 5·18이 아니다"며 "전 국민이 함께 공유하며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역사로 승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