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 쓰레기장 논란 집중 조명
【서울=뉴시스】우은식 기자 = 미국 CNN방송이 한국 경북 의성에 위치한 쓰레기더미 문제를 소개하면서 "한국은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이 세계 최대인 나라"라고 보도했다.
CNN은 3일 "한국의 1인당 연가 플라스틱 소비량은 지난 2015년 기준으로 132㎏로 미국(93㎏), 중국(58㎏)을 능가해 세계 최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최근 몇 달 동안 경북 의성 쓰레기 더미를 둘러싼 법적 다툼과 지역사회의 갈등을 조명했다.
'한국의 플라스틱 문제가 문자 그대로 쓰레기 화염이 됐다'는 제목의 이 보도에서 최근 몇달 동안 의성에서는 검게 그을린 쓰레기 산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곳에는 17만t의 쓰레기 더미가 발발굽 형태로 쌓여있는데 최근 자연 발화가 되면서 연기 기둥과 코를 찌르는 매연이 나와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을 태우면서 나오는 연기는 화학적으로 유독가스를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큰 플라스틱 매립장인 의성 쓰레기 매립장은 지난 2008년 재활용회사를 운영하는 김 모씨가 2000t의 쓰레기 매립 허가를 받으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2016년 갑자기 허가 취소가 됐고, 그는 소송을 걸었고 법정 다툼에 나섰다.
이런 와중에 쓰레기에너지 발전소 사업자인 이 모씨는 지난 2017년 김 씨로부터 쓰레기 매립장을 넘겨 받았다. 부산에 사는 이 씨는 법정 다툼 사실을 알지 못했고, 결국 이곳에 쓰레기 더미가 계속 쌓여갔다.
결국 매립 허가량의 80배가 넘는 쓰레기가 쌓였고 이곳에는 건설 폐기물, 가정용 쓰레기, 플라스틱 쓰레기 등이 마구 쏟아져 들어왔다.
시간이 지나면서 쓰레기 더미가 분해되면서 분출되는 유독가스가 표면으로 나오기 시작했고, 지난해 12월부터 자연 발화가 시작됐다. 김 씨의 위법행위를 알았을 때 그는 사라졌고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CNN은 보도했다.
해당 지자체인 의성군청의 한 관계자는 "이 곳에서 쌓여있는 쓰레기는 거의 외부에서 온 것"이라며 "우리가 지역문제로 다루기에는 너무 큰 이슈가 됐다"고 말했다.
지역 경찰에서는 이 쓰레기 더미에 대한 불법 행위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에 따르면 매년 120만t이 이처럼 불법으로 벼려지고 있다고 CNN은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국이 최근 몇년 전부터 미세먼지가 사회 문제화 되면서 쓰레기발전소와 쓰레기 소각장 시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됐다고 전했다.
그 결과 쓰레기 소각장은 지난 2011년 611개에서 지난해 395개로 줄어들었다. 결국 쓰레기 더미는 중국으로 주로 수출해왔는데, 지난 2017년 중국이 24개 종류의 고체형 쓰레기의 수입을 금지시키면서 쓰레기 대란이 심화됐다.
CNN은 중국의 쓰레기 수입 규제 강화이후 한국의 플라스틱 쓰레기 대중 수출량이 90% 감소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대안으로 필리핀, 태국 등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CNN은 보도했다. 한국의 쓰레기 수출은 중국의 규제 강화 이후 필리핀은 10배, 태국은 30% 넘게 증가했다.
환경단체들은 플라스틱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CNN은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CNN은 3일 "한국의 1인당 연가 플라스틱 소비량은 지난 2015년 기준으로 132㎏로 미국(93㎏), 중국(58㎏)을 능가해 세계 최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최근 몇 달 동안 경북 의성 쓰레기 더미를 둘러싼 법적 다툼과 지역사회의 갈등을 조명했다.
'한국의 플라스틱 문제가 문자 그대로 쓰레기 화염이 됐다'는 제목의 이 보도에서 최근 몇달 동안 의성에서는 검게 그을린 쓰레기 산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곳에는 17만t의 쓰레기 더미가 발발굽 형태로 쌓여있는데 최근 자연 발화가 되면서 연기 기둥과 코를 찌르는 매연이 나와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을 태우면서 나오는 연기는 화학적으로 유독가스를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큰 플라스틱 매립장인 의성 쓰레기 매립장은 지난 2008년 재활용회사를 운영하는 김 모씨가 2000t의 쓰레기 매립 허가를 받으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2016년 갑자기 허가 취소가 됐고, 그는 소송을 걸었고 법정 다툼에 나섰다.
이런 와중에 쓰레기에너지 발전소 사업자인 이 모씨는 지난 2017년 김 씨로부터 쓰레기 매립장을 넘겨 받았다. 부산에 사는 이 씨는 법정 다툼 사실을 알지 못했고, 결국 이곳에 쓰레기 더미가 계속 쌓여갔다.
결국 매립 허가량의 80배가 넘는 쓰레기가 쌓였고 이곳에는 건설 폐기물, 가정용 쓰레기, 플라스틱 쓰레기 등이 마구 쏟아져 들어왔다.
시간이 지나면서 쓰레기 더미가 분해되면서 분출되는 유독가스가 표면으로 나오기 시작했고, 지난해 12월부터 자연 발화가 시작됐다. 김 씨의 위법행위를 알았을 때 그는 사라졌고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CNN은 보도했다.
해당 지자체인 의성군청의 한 관계자는 "이 곳에서 쌓여있는 쓰레기는 거의 외부에서 온 것"이라며 "우리가 지역문제로 다루기에는 너무 큰 이슈가 됐다"고 말했다.
지역 경찰에서는 이 쓰레기 더미에 대한 불법 행위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에 따르면 매년 120만t이 이처럼 불법으로 벼려지고 있다고 CNN은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국이 최근 몇년 전부터 미세먼지가 사회 문제화 되면서 쓰레기발전소와 쓰레기 소각장 시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됐다고 전했다.
그 결과 쓰레기 소각장은 지난 2011년 611개에서 지난해 395개로 줄어들었다. 결국 쓰레기 더미는 중국으로 주로 수출해왔는데, 지난 2017년 중국이 24개 종류의 고체형 쓰레기의 수입을 금지시키면서 쓰레기 대란이 심화됐다.
CNN은 중국의 쓰레기 수입 규제 강화이후 한국의 플라스틱 쓰레기 대중 수출량이 90% 감소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대안으로 필리핀, 태국 등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CNN은 보도했다. 한국의 쓰레기 수출은 중국의 규제 강화 이후 필리핀은 10배, 태국은 30% 넘게 증가했다.
환경단체들은 플라스틱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CNN은 덧붙였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