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을 날아 일왕의 궁에 폭탄을 던질거야"
미국인 곡예비행 보고 하늘을 향한 꿈 키워
중국 항공학교 입학 허가까지, 험난한 여정
中공군 선전비행 운명의 날…종착지는 도쿄
【서울=뉴시스】조인우 기자 = 1935년 6월, 권기옥(1901~1988)은 마음을 다진다. 중국 상해를 출발해 싱가포르, 필리핀을 거쳐 일본 도쿄로 향하는 공군의 선전비행 일정이 코앞으로 다가온 때문이다.
"나는 곧 일본을 향해 난다. 목표물은 일왕(日王)의 궁. 지난 10년 간 늘 죽을 각오로 비행기를 탔다. 다친 적도 여러 번, 죽음은 두렵지 않다. 수많은 위기에도 내가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는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라는 하늘의 뜻일 테다."
16살이던 1917년부터 20여년 동안 꿈을 키웠다. 그 해 5월, 권기옥은 서울 여의도 비행장에서 미국인 곡예비행사 스미스가 곡예비행을 하는 것을 보고 하늘에 눈을 떴다. 비행사가 되기로 마음을 굳힌 날이다. 그는 생각했다. "푸른 하늘을 날아 일본으로 폭탄을 몰고 가리라."
권기옥은 환갑이던 1961년, 잡지 '여원’과의 인터뷰에서 당시를 회상했다. "어린 마음이지만 항일투쟁에는 무조건 이었습니다. 감옥이 아니라 죽음도 두렵지 않았지요. 나이가 어리고 여자라는 게 참으로 원통했습니다. 그 때, 하늘을 날며 왜놈들을 쉽게 쳐부술 수 있는 비행사가 되려고 마음을 다졌지요."
이후 조선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경찰의 감시를 피해 1920년 중국으로 망명한 권기옥은 상해에서 홍도여자중학을 졸업한 뒤 꿈꾸던 비행사가 되기 위해 항공학교의 문을 두드렸다.
"나는 곧 일본을 향해 난다. 목표물은 일왕(日王)의 궁. 지난 10년 간 늘 죽을 각오로 비행기를 탔다. 다친 적도 여러 번, 죽음은 두렵지 않다. 수많은 위기에도 내가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는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라는 하늘의 뜻일 테다."
16살이던 1917년부터 20여년 동안 꿈을 키웠다. 그 해 5월, 권기옥은 서울 여의도 비행장에서 미국인 곡예비행사 스미스가 곡예비행을 하는 것을 보고 하늘에 눈을 떴다. 비행사가 되기로 마음을 굳힌 날이다. 그는 생각했다. "푸른 하늘을 날아 일본으로 폭탄을 몰고 가리라."
권기옥은 환갑이던 1961년, 잡지 '여원’과의 인터뷰에서 당시를 회상했다. "어린 마음이지만 항일투쟁에는 무조건 이었습니다. 감옥이 아니라 죽음도 두렵지 않았지요. 나이가 어리고 여자라는 게 참으로 원통했습니다. 그 때, 하늘을 날며 왜놈들을 쉽게 쳐부술 수 있는 비행사가 되려고 마음을 다졌지요."
이후 조선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경찰의 감시를 피해 1920년 중국으로 망명한 권기옥은 상해에서 홍도여자중학을 졸업한 뒤 꿈꾸던 비행사가 되기 위해 항공학교의 문을 두드렸다.
당시 중국 내 항공학교는 운남육군항공학교를 비롯해 4개. 2개 학교에서는 여자라고 거절을 당했고, 다른 한 곳에는 비행기가 없어 가지 않기로 했다. 운남학교는 단 하나의 선택지이자 최후의 보루, 꼭 입학해야만 했다.
또 거절을 당할까 걱정한 권기옥은 직접 학교를 찾아가기로 했다. 상해에서 출발해 학교가 있던 중국 서남단의 쿤밍까지, 중국 대륙을 가로지를 각오를 했다. 독립전쟁을 위해 군관양성을 추진하던 임시정부가 써 준 추천서도 소중히 품에 안았다.
꼬박 3주를 움직여 운남성 군 사령관 당계요와 마주 앉은 권기옥은 이렇게 말했다. "비행사가 돼 조선총독부를 폭파하고 싶습니다." 당시 권기옥의 나이는 22살. 떨리는 마음은 애써 감췄다. 작고 어린 조선 처녀의 기개에 감탄한 당계요는 이렇게 말했다고 전해진다. "하오(好·좋아)." 권기옥의 인생이 바뀌는 순간이었다.
권기옥은 후에 "일단 결심한 일은 하늘이 무너져도 하고야 마는 타고난 (내) 고집을 꺾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운남학교로 향하던 길을 기억했다.
또 거절을 당할까 걱정한 권기옥은 직접 학교를 찾아가기로 했다. 상해에서 출발해 학교가 있던 중국 서남단의 쿤밍까지, 중국 대륙을 가로지를 각오를 했다. 독립전쟁을 위해 군관양성을 추진하던 임시정부가 써 준 추천서도 소중히 품에 안았다.
꼬박 3주를 움직여 운남성 군 사령관 당계요와 마주 앉은 권기옥은 이렇게 말했다. "비행사가 돼 조선총독부를 폭파하고 싶습니다." 당시 권기옥의 나이는 22살. 떨리는 마음은 애써 감췄다. 작고 어린 조선 처녀의 기개에 감탄한 당계요는 이렇게 말했다고 전해진다. "하오(好·좋아)." 권기옥의 인생이 바뀌는 순간이었다.
권기옥은 후에 "일단 결심한 일은 하늘이 무너져도 하고야 마는 타고난 (내) 고집을 꺾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운남학교로 향하던 길을 기억했다.
1924년에는 맹훈련 끝에 첫 단독 비행에 성공했다. 이 때 권기옥은 독립운동의 스승인 도산 안창호에게 사진과 함께 편지를 보내 설레는 마음을 전하기도 했다.
"도산선생 앞에. 20여년 구속받든 앞은 마음과 쓰린 가슴 상제주께 호소하고 공중여왕 면류관을 빼앗스려가나이다. 길이 사랑하여 주심 바라 삼가 이꼴을 눈앞에 올리나이다. 사랑하시는 기옥 올림."
1925년 3월 권기옥은 운남학교 제1기 졸업생으로 학교를 마쳤다. 그러나 바로 임시정부에서 일하지 못하고 임시정부의 추천을 받아 중국 공군의 비행사가 됐다. 가난한 식민지 조선의 임시정부가 당시 비행기는 꿈도 못 꿀 정도로 열악했던 탓이다.
일본으로 폭탄을 몰고 가겠다는 꿈을 실현할 기회는 1935년에야 왔다. 그 해 초 장제스의 부인인 송미령 중국항공위원회 부위원장이 중국 청년들에게 공군의 멋짐을 알리겠다며 권기옥을 앞세운 선전비행을 제안하면서다. 선전비행은 상해에서 베이징을 오가는 화북선으로 시작해 화남선과 남양선 등 3차로 기획됐다.
"도산선생 앞에. 20여년 구속받든 앞은 마음과 쓰린 가슴 상제주께 호소하고 공중여왕 면류관을 빼앗스려가나이다. 길이 사랑하여 주심 바라 삼가 이꼴을 눈앞에 올리나이다. 사랑하시는 기옥 올림."
1925년 3월 권기옥은 운남학교 제1기 졸업생으로 학교를 마쳤다. 그러나 바로 임시정부에서 일하지 못하고 임시정부의 추천을 받아 중국 공군의 비행사가 됐다. 가난한 식민지 조선의 임시정부가 당시 비행기는 꿈도 못 꿀 정도로 열악했던 탓이다.
일본으로 폭탄을 몰고 가겠다는 꿈을 실현할 기회는 1935년에야 왔다. 그 해 초 장제스의 부인인 송미령 중국항공위원회 부위원장이 중국 청년들에게 공군의 멋짐을 알리겠다며 권기옥을 앞세운 선전비행을 제안하면서다. 선전비행은 상해에서 베이징을 오가는 화북선으로 시작해 화남선과 남양선 등 3차로 기획됐다.
마지막인 남양선의 종착지는 일본 도쿄, 권기옥의 눈이 빛났다. "일왕의 궁전에 폭탄을 쏟아부을 날이 왔다."
실무준비는 상해에서 진행됐다. 공군은 새 장거리 비행기를 샀고, 이탈리아인 전문 교관도 초빙했다. 미국인 비행사의 시험비행 중 프로펠러가 부러지는 바람에 다소 연기되기도 했지만, 준비는 착착 마무리 되고 있었다. 일정은 6월 말로 잡혔다.
그렇게 다시 1935년 6월, 권기옥은 하늘과 비행기를 차례로 보며 되뇌인다. "드디어, 그날이 온다."
권기옥의 꿈은 그러나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선전비행을 이틀 앞두고 일본군이 베이징에 인접한 펑타이를 점령하면서다. 베이징에서는 대학생들의 대대적인 항일 시위가 이어졌다. 프로펠러를 수리하느라 지연된 일정이 결정적이었다.
항공위원회로 복귀한 권기옥은 공군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고 결국 비행사복을 벗게 됐다. 1300시간, 권기옥이 20여년 간 조국의 독립을 마음 속에 품고 일본을 내리치기 위해 하늘에 머문 시간이다.
▲참고자료: 정혜주 '날개옷을 찾아서'(2015), 윤선자 '한국독립운동과 권기옥의 비상'(2014), 김영주 '한국최초의 여류비행사 권기옥'(2007)
[email protected]
실무준비는 상해에서 진행됐다. 공군은 새 장거리 비행기를 샀고, 이탈리아인 전문 교관도 초빙했다. 미국인 비행사의 시험비행 중 프로펠러가 부러지는 바람에 다소 연기되기도 했지만, 준비는 착착 마무리 되고 있었다. 일정은 6월 말로 잡혔다.
그렇게 다시 1935년 6월, 권기옥은 하늘과 비행기를 차례로 보며 되뇌인다. "드디어, 그날이 온다."
권기옥의 꿈은 그러나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선전비행을 이틀 앞두고 일본군이 베이징에 인접한 펑타이를 점령하면서다. 베이징에서는 대학생들의 대대적인 항일 시위가 이어졌다. 프로펠러를 수리하느라 지연된 일정이 결정적이었다.
항공위원회로 복귀한 권기옥은 공군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고 결국 비행사복을 벗게 됐다. 1300시간, 권기옥이 20여년 간 조국의 독립을 마음 속에 품고 일본을 내리치기 위해 하늘에 머문 시간이다.
▲참고자료: 정혜주 '날개옷을 찾아서'(2015), 윤선자 '한국독립운동과 권기옥의 비상'(2014), 김영주 '한국최초의 여류비행사 권기옥'(2007)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