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기준가 제시·수급관리체계 구축
22년 6000원→40년 3000원 낮추기로
공급량도 연 13만t서 526만t까지 확대
'전국 연결' 수소배관, 30년까지 건설
【세종=뉴시스】 김진욱 기자 = 정부는 수소 가격을 1㎏당 3000원까지 낮추고 공급량은 연 526만t까지 늘릴 계획이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또 전국을 연결하는 수소 주배관을 건설해 안정적인 유통체계를 확립하고 관련 법령·안전기준을 고쳐 안전성을 높이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7일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는 수소의 적정 기준가격을 제시하고 수급관리 및 거래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소가격을 안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수소가격을 2022년 1㎏당 6000원(시장화 초기가격)에서 2030년에는 4000원으로, 2040년에는 3000원까지 떨어뜨리는 게 목표다.
한국과 세계 수소경제 주도권을 두고 경쟁 중인 일본은 현재 수소를 1㎏당 1만1308원에 공급한다. 2030년에는 3392원까지 낮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수소 대량공급 기반을 마련해 현재 연 13만t에 불과한 수소 공급량도 526만t까지 확대한다. 전국 한국가스공사 정압관리소 142곳이 생산 후보지다. 올해 중 생산기지 1기를 먼저 구축하고 수요를 살펴 점차 확대하기로 했다. 수요가 많은 도심지 인근에 1일 500㎏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수소추출기도 구축한다. 수소버스 20대·수소차 100대 분량이다.
수전해와 해외 수입 등으로 생산지를 다변화한다. 바이오매스·미생물 등으로 생산방식도 다양화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춰 수소를 저렴하게 생산할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석유화학산업단지가 있는 울산·여수·대산 등지에서는 공장을 돌리며 생성되는 부산물인 부생수소를 활용하는 등의 방법이다.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소저장체계도 확립한다. 2030년부터는 액화·액상 등 수소 저장·운송도 필요하다. 액체수소는 운송비용이 기체수소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고압 저장이 필요한 기체수소와 달리 대기압 저장이 가능해 안전성도 높다.
유통은 수소파이프라인을 이용한다. 주요 수요처에 파이프라인을 우선 설치하고 중장기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등 대규모 공급과 연계하는 배관을 구축한다. 수도권 등 수요가 많은 도시는 민간 주도로 2022년까지 먼저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전국을 연결하는 주배관 건설은 2030년까지 마치기로 했다.
정부는 수소경제의 기술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관련 부처 공동으로 상세 기술 로드맵을 수립한다. 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다. 2030년까지 2조원가량을 투입하는 범(凡)부처 수소기술개발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
이밖에 핵심기술 및 안전관리 인력도 육성하기로 했다. 각종 공공연구원 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해 협력업체의 기술력을 강화하고 '수소안전관리자'(가칭) 등 국가전문자격도 신설한다. 2030년까지 15건 이상의 국제표준도 제안해 시장을 선도하고 국제표준화도 주도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올해 중 수소경제법을 제정해 제도적 기반을 완비한다. 현재 다수의 관련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수소 전문기업 지원 및 안전관리기준·규정 정비 등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