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기준 0.5% 안팎 하락 전망"
부동산정책·금리·입주물량 등 영향
유동성·SOC·남북관계로 국지적 상승 가능성도
【서울=뉴시스】신정원 기자 = 올해 주택가격은 전국적으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도권은 보합, 지방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토연구원은 17일 "올해 주택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0.5% 안팎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며 "수도권은 0.1% 안팎 보합하며 상승폭이 둔화하고, 지방은 1.1% 안팎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경제 불확실성 확대, 국내경제 성장률 둔화, 금리인상 가능성, 입주물량 증가, 9·13대책에 따른 수요 억제, 3기 신도시 공급 등 주택정책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여전히 단기 유동자금이 풍부하고 재개발·재건축, 도시재생 뉴딜사업, GTX 등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남북관계 개선 등으로 국지적으로 주택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
전세가격은 준공 물량 증가, 장기임대사업자 등록 활성화 등에 기인해 전국적으로 1.1% 내려갈 전망이다. 수도권은 0.8%, 지방은 1.3% 정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매수 수요의 전세 전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하락폭은 다소 둔화할 수 있다.
주택거래는 2010년대 초반 수준인 78만호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안정화 정책에 따른 주택 금융 규제와 세부담이 주택 수요를 위축시킬 것이란 분석이다.
인허가 물량은 장기평균 수준인 50만 호 내외로 감소할 전망이다. 미분양 주택은 인허가 물량 감소로 7만호 수준으로 증가세가 크지 않으나 지역별로 편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주택 매매가는 1.10% 상승했으나 9·13대책이 발표된 지난해 10월 이후 상승폭이 둔화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3.31%, 서울은 6.22% 올랐고 지방은 0.86% 내렸다.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 . 전세가격은 준공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 지방 모두 하락했다.
국토연구원은 17일 "올해 주택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0.5% 안팎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며 "수도권은 0.1% 안팎 보합하며 상승폭이 둔화하고, 지방은 1.1% 안팎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경제 불확실성 확대, 국내경제 성장률 둔화, 금리인상 가능성, 입주물량 증가, 9·13대책에 따른 수요 억제, 3기 신도시 공급 등 주택정책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여전히 단기 유동자금이 풍부하고 재개발·재건축, 도시재생 뉴딜사업, GTX 등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남북관계 개선 등으로 국지적으로 주택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
전세가격은 준공 물량 증가, 장기임대사업자 등록 활성화 등에 기인해 전국적으로 1.1% 내려갈 전망이다. 수도권은 0.8%, 지방은 1.3% 정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매수 수요의 전세 전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하락폭은 다소 둔화할 수 있다.
주택거래는 2010년대 초반 수준인 78만호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안정화 정책에 따른 주택 금융 규제와 세부담이 주택 수요를 위축시킬 것이란 분석이다.
인허가 물량은 장기평균 수준인 50만 호 내외로 감소할 전망이다. 미분양 주택은 인허가 물량 감소로 7만호 수준으로 증가세가 크지 않으나 지역별로 편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주택 매매가는 1.10% 상승했으나 9·13대책이 발표된 지난해 10월 이후 상승폭이 둔화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3.31%, 서울은 6.22% 올랐고 지방은 0.86% 내렸다.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 . 전세가격은 준공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 지방 모두 하락했다.
전국적으로 2016년 10월 이후 가격 하락 또는 보합, 거래 감소 등 침체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 수도권과 서울은 2016년 이후 가격 상승, 거래 감소 등 둔화 조짐 국면과 가격 상승, 거래 증가 등 경기 호조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는데 9·13대책 영향을 고려할 때 가격 보합, 거래 감소 등 침체가시화 국면으로 진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매매 거래량은 양도세 중과가 시행된 4월 이후와 9·13대책을 전후해 변동성이 확대됐다. 지난해 11월 누계 기준으로 전국 80만1000호로 전년 같은 기간 87만5000호에 비해 8.6% 감소했다. 지난해 11월 누계 기준 주택 인허가 실적은 45만6000호로 전년 같은 기간 53만2000호보다 17.5% 줄었고, 전국 미분양주택은 6만호 수준으로 지방을 중심으로 3000호 증가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주택시장 안정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유동성과 토지보상금이 주택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고 내년 총선을 앞두고 하반기 규제 완화 요구 및 지역개발 공약 등으로 국지적으로 가격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 지방은 공급 과잉으로 매매가격 하락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집값 급락 방지를 위해 공공 주도 매입임대주택 확대 등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mail protected]
매매 거래량은 양도세 중과가 시행된 4월 이후와 9·13대책을 전후해 변동성이 확대됐다. 지난해 11월 누계 기준으로 전국 80만1000호로 전년 같은 기간 87만5000호에 비해 8.6% 감소했다. 지난해 11월 누계 기준 주택 인허가 실적은 45만6000호로 전년 같은 기간 53만2000호보다 17.5% 줄었고, 전국 미분양주택은 6만호 수준으로 지방을 중심으로 3000호 증가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주택시장 안정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유동성과 토지보상금이 주택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고 내년 총선을 앞두고 하반기 규제 완화 요구 및 지역개발 공약 등으로 국지적으로 가격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 지방은 공급 과잉으로 매매가격 하락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집값 급락 방지를 위해 공공 주도 매입임대주택 확대 등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