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동향·성장예측 소상공인정책연구센터 설립해
서울형 소셜 프랜차이즈 2022년까지 1천개 육성·지원
제로페이·유급병가·1인 소상공인 고용보험 등 3종세트
관광클러스터·진흥기금, MICE산업 종합지원센터 조성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프로젝트 및 스마트시티 구현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서울시가 민생경제를 살리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
홍릉, 양재, G밸리 등 6대 '융합 신산업거점'을 4차 산업혁명 메카로 육성하는 사업이 본격화된다. 동남권과 마곡에는 2025년까지 총 28만㎡ 규모의 글로벌 마이스(MICE)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창동 서울아레나(K-POP), 노들섬 에코뮤직파크(생활음악) 등 서울 전역의 다양한 음악자원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계절별 음악축제를 브랜드화하는 등 아시아 대표 음악도시로 성장시키는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프로젝트도 올해부터 시작한다. '제로페이' 등 자영업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3종세트도 본격화된다.
서울시는 1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민선7기 청사진에 해당하는 '서울시정 4개년(2019~2022년) 계획'을 발표했다.
5대 목표는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서울' ▲쾌적하고 편리한 '안전 서울' ▲민생을 책임지는 '복지 서울' ▲고르게 발전하는 '균형 서울' ▲시민이 주인 되는 '민주 서울'이다.
시는 업종별 동향분석과 성장전망을 예측할 '소상공인정책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구매협동조합 등 '서울형 소셜 프랜차이즈'를 2022년까지 1000개 육성·지원한다. 2022년까지 장기안심상가 300개소 조성 등 안정적인 영업환경 조성도 지원한다.
자영업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3종세트'도 본격화된다. 결제 수수료를 0%대로 낮춰 경제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주는 '제로페이'가 지난 연말부터 본격시행에 들어갔다. 1인 소상공인 고용보험료를 기존 정부지원(30~50%)에 시가 30% 추가 지원해 가입을 활성화한다. 아파도 쉬지 못하는 1인 영세자영업자, 일용직, 특수고용직 노동자를 위한 '서울형 유급병가'는 올해부터 연간 최대 11일까지(건강검진 1일 포함) 지원한다.
6대 융합 신산업거점도 조성된다. 6대 거점은 ▲홍릉(바이오 의료 허브) ▲마곡(R&D 융복합) ▲G밸리(IoT 중심 산업혁신활동공간) ▲DMC(문화콘텐츠+VR/AR 등 신기술 접목 고도화) ▲양재·개포(AI, 빅데이터 등 신산업 R&D 캠퍼스) ▲마포(블록체인·핀테크 등 금융서비스 벤처기업 육성)다. 앵커시설 등 지원기능 집적, 민간투자 유치, 인재양성 등을 통해 2022년까지 가시화된다.
서울 도심에 국내·외 관광 유관기관을 집적한 '서울관광 클러스터'를 조성해 정책의 시너지를 낸다. 시는 2022년까지 500억원 규모의 '서울관광진흥기금'을 조성해 관광산업에 안정적으로 투자한다. MICE 업체를 위한 컨설팅, 인력양성, 기술경쟁력 등을 종합지원할 'MICE산업 종합지원센터'도 올해 새롭게 설치한다.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프로젝트와 스마트시티 서울이 구현된다.
홍릉, 양재, G밸리 등 6대 '융합 신산업거점'을 4차 산업혁명 메카로 육성하는 사업이 본격화된다. 동남권과 마곡에는 2025년까지 총 28만㎡ 규모의 글로벌 마이스(MICE)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창동 서울아레나(K-POP), 노들섬 에코뮤직파크(생활음악) 등 서울 전역의 다양한 음악자원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계절별 음악축제를 브랜드화하는 등 아시아 대표 음악도시로 성장시키는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프로젝트도 올해부터 시작한다. '제로페이' 등 자영업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3종세트도 본격화된다.
서울시는 1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민선7기 청사진에 해당하는 '서울시정 4개년(2019~2022년) 계획'을 발표했다.
5대 목표는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서울' ▲쾌적하고 편리한 '안전 서울' ▲민생을 책임지는 '복지 서울' ▲고르게 발전하는 '균형 서울' ▲시민이 주인 되는 '민주 서울'이다.
시는 업종별 동향분석과 성장전망을 예측할 '소상공인정책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구매협동조합 등 '서울형 소셜 프랜차이즈'를 2022년까지 1000개 육성·지원한다. 2022년까지 장기안심상가 300개소 조성 등 안정적인 영업환경 조성도 지원한다.
자영업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3종세트'도 본격화된다. 결제 수수료를 0%대로 낮춰 경제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주는 '제로페이'가 지난 연말부터 본격시행에 들어갔다. 1인 소상공인 고용보험료를 기존 정부지원(30~50%)에 시가 30% 추가 지원해 가입을 활성화한다. 아파도 쉬지 못하는 1인 영세자영업자, 일용직, 특수고용직 노동자를 위한 '서울형 유급병가'는 올해부터 연간 최대 11일까지(건강검진 1일 포함) 지원한다.
6대 융합 신산업거점도 조성된다. 6대 거점은 ▲홍릉(바이오 의료 허브) ▲마곡(R&D 융복합) ▲G밸리(IoT 중심 산업혁신활동공간) ▲DMC(문화콘텐츠+VR/AR 등 신기술 접목 고도화) ▲양재·개포(AI, 빅데이터 등 신산업 R&D 캠퍼스) ▲마포(블록체인·핀테크 등 금융서비스 벤처기업 육성)다. 앵커시설 등 지원기능 집적, 민간투자 유치, 인재양성 등을 통해 2022년까지 가시화된다.
서울 도심에 국내·외 관광 유관기관을 집적한 '서울관광 클러스터'를 조성해 정책의 시너지를 낸다. 시는 2022년까지 500억원 규모의 '서울관광진흥기금'을 조성해 관광산업에 안정적으로 투자한다. MICE 업체를 위한 컨설팅, 인력양성, 기술경쟁력 등을 종합지원할 'MICE산업 종합지원센터'도 올해 새롭게 설치한다.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프로젝트와 스마트시티 서울이 구현된다.
시는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장르별 음악거점을 조성한다. 창동 서울아레나, 노들섬 에코뮤직파크-생활음악, 홍대 인디음악 활성화, 도심권 클래식 전용 콘서트홀, (가칭)서울국악센터 등이다. 또 케이팝(K-POP)과 관광을 연계한 '케이팝 그랜드 엑스포(가칭)' 개최 추진하고(2020년 목표), 계절별 음악축제를 브랜드화해 연중 음악축제가 열리는 도시로 만들어간다는 목표다.
시 전역에 도시데이터 센서 5만여개를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맞춤형 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스마트 도시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올해부터 시작한다.
사람 투자도 계속된다. 세대 간 소득격차 확대로 사회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위한 대책으로 기초자산 형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청년 미래투자기금'이 4년간 총 10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청년의 참여와 권환을 확대하는 '청년자치정부'도 추진된다. 2021년까지 1자치구 1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체계를 구축해 상담부터 법적구제 등 권익보호를 강화한다.
청년 미래투자기금도 조성된다. 청년 미래투자기금은 대학생을 제외한 중위소득 150% 이하 서울 거주 청년에게 생계·미래자금(취·창업활동 등), 임차보증금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1인당 최대 3000만원의 금융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시는 청년의 시정 참여 범위를 시정 전반으로 확대하기 위해 서울시 청년 정책 담당조직인 '청년청'을 시장 직속으로 신설했다. 서울청년의회를 상설적 거버넌스로 제도화하고 청년자율예산도 편성한다.
시는 노동자 상담과 법률지원 등을 하는 '노동복지센터'(현재 8개 자치구 운영 중)를 확대·강화해 1자치구–1센터 체계를 구축하고 '노동자 종합지원센터'로 명칭을 일원화한다.
[email protected]
시 전역에 도시데이터 센서 5만여개를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맞춤형 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스마트 도시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올해부터 시작한다.
사람 투자도 계속된다. 세대 간 소득격차 확대로 사회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위한 대책으로 기초자산 형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청년 미래투자기금'이 4년간 총 10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청년의 참여와 권환을 확대하는 '청년자치정부'도 추진된다. 2021년까지 1자치구 1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체계를 구축해 상담부터 법적구제 등 권익보호를 강화한다.
청년 미래투자기금도 조성된다. 청년 미래투자기금은 대학생을 제외한 중위소득 150% 이하 서울 거주 청년에게 생계·미래자금(취·창업활동 등), 임차보증금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1인당 최대 3000만원의 금융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시는 청년의 시정 참여 범위를 시정 전반으로 확대하기 위해 서울시 청년 정책 담당조직인 '청년청'을 시장 직속으로 신설했다. 서울청년의회를 상설적 거버넌스로 제도화하고 청년자율예산도 편성한다.
시는 노동자 상담과 법률지원 등을 하는 '노동복지센터'(현재 8개 자치구 운영 중)를 확대·강화해 1자치구–1센터 체계를 구축하고 '노동자 종합지원센터'로 명칭을 일원화한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