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공감대 속 '김정은 답방' 연내 실현될까

기사등록 2018/12/03 14:03:58

김정은 비핵화·평화 의지, 은둔국가 이미지 탈피 효과

의전·경호문제 및 김정일 7주기 등 北내부일정도 변수

2차 북미 정상회담 동력 만들 수 있을지가 최대 관건

【평양=뉴시스】평양사진공동취재단 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19일 밤 평양 5.1 경기장에서 열린 '빛나는 조국'을 관람한 뒤 손을 잡고 있다. 2018.09.19.photo@newsis.com
【평양=뉴시스】평양사진공동취재단 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19일 밤 평양 5.1 경기장에서 열린 '빛나는 조국'을 관람한 뒤 손을 잡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지현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한국과 미국의 정상이 공감대를 표하면서, 서울 답방은 김 위원장이 선택할 문제가 됐다.

김 위원장 답방을 두고 당초 연내 성사에 의견을 모은 만큼 이번달 안에 성사될 가능성이 있지만, 경호 문제와 일정 및 의제 조율 문제 등이 남아 있어 아직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계기로 남북 정상이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 전망을 밝힐 수 있을지도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 9월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을 공언했다. 이후 정부는 김 위원장 답방 추진 의지를 지속적으로 표명해왔지만, 2차 북미정상회담 및 비핵화-상응조치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김 위원장 답방도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북미관계가 삐걱거리는 상황에서 남북관계만 속도를 낼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추진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됐다. 문 대통령은 "북미 간 2차 정상회담이나 고위급회담이 이뤄지기 전에 남북 답방이 이뤄지는 데 대한 염려가 없지 않았는데,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통해서 그런 우려는 말끔히 사라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연내 서울 답방할 경우 메시지를 전해달라는 당부를 하기도 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미국도 김 위원장의 방남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넘어 지지한다는 메시지로 해석되기에 충분했다. 따라서 이제 북한의 정치 지도자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서울을 방문하는 역사적인 사건은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있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도 서울 방문은 대외적으로 북한을 정상적 국가라는 이미지를 심어주는 효과가 있는데다, 한반도 평화 및 비핵화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알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비핵화 협상 모멘텀 유지를 시사하는 의미를 넘어 북한이 기존에 가진 은둔국가 이미지도 탈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달도 채 남지 않은 준비기간과 북한 내부의 우려는 넘어야 할 산이다. 북한 내부적으로 12월 말은 내년 1월1일 신년사를 준비하는 총화기간인데다, 오는 17일은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7주기다. 남한 보수진영의 김 위원장 답방 반대여론이 높은 만큼 북측에서는 김 위원장의 신변 안전 문제를 우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촉박한 시한은 의전·경호 준비에 악재가 될 수밖에 없다.

북미 간 비핵화-상응조치 협상 교착 국면에서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에서 얻을 실질적인 성과물이 보이지 않는 점도 부담이다. 북한 입장에서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영변 핵시설 폐기 의지를 시사하며 추가 비핵화 카드를 제시했지만 미국이 대등한 상응조치로 응하지 않아 북미 간 협상이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2일 서울을 방문해도 제재완화를 얻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에 한국 정부의 연내 방남 요청에 북측이 "올해는 어렵다"는 답변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그럼에도 지난 1일 북한 매체를 통해 김 위원장이 공개 행보를 보인 것은 어떤 결정을 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같은 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2차 북미정상회담이 내년 1월1일 이후 얼마 안 돼서 열릴 것"이라고 구체화한 것은 북미가 정상회담으로 비핵화 협상 동력을 이어가겠다는 물밑 교감이 있었다는 관측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에서 북한 비핵화 방법을 구체화하고, 거기에 대해 어떤 상응조치를 요구한다는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한미 정상 공감대 속 '김정은 답방' 연내 실현될까

기사등록 2018/12/03 14:03:58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