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물질 논란속 2천억 들인 해수담수화시설 부식중

기사등록 2018/11/25 12:00:00

지난 1월 두산중공업 철수로 가동중단

바닷물 이용 탓에 부식화 속도 빨라져

부산시 "대안 찾되 연말까지 방향 잡아야"

【부산=뉴시스】임재희 기자 = 지난 23일 찾은 부산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 가운데 해수를 역삼투압 방식으로 담수화하는 정수처리 시설. 2018.11.25. limj@newsis.com
【부산=뉴시스】임재희 기자 = 지난 23일 찾은 부산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 가운데 해수를 역삼투압 방식으로 담수화하는 정수처리 시설. 2018.11.25. [email protected]
【부산=뉴시스】임재희 기자 =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 물에선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인근 고리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이 나온 바 있다. 나중에 과학기술이 발전하면 그때 검출될 수도 있다.'

정부와 민간이 물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54억원을 투입한 부산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이 방사성 오염물질 논란으로 완공 4년째 가동을 멈추고 있다. 올해는 예산 문제로 최소 운영·관리 인력까지 전원 철수하면서 고비를 맞았다.

해수 담수화 시설은 바닷물 등 소금이 많은 물에서 염분과 불순물을 제거해 염분이 없는 담수로 만드는 시설이다. 기후변화로 가뭄 등이 반복되더라도 바닷물을 통해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전 세계 150개국에서 약 1만7000개의 해수 담수화 시설을 통해 하루 7500만㎥의 물을 공급하고 있다. 중동과 북아프리카가 46.7%로 상당수를 차지하는데 담수화 시설에서 나온 물은 55.2%를 생활용수로 42.5%는 산업용수로 쓰고 있다.

2003년 국제인구행동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은 1인당 이용가능 수자원량이 세계 153개국 중 129위인 1453㎥에 불과해 '물스트레스국(1700㎥ 이하)'으로 분류됐다. 2020년이면 광역급수 65개 지방자치단체가 용수 부족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그중 35%인 23곳이 임해지역이다.

정부는 물공급 안정화 방안으로 해수 담수화 사업을 꼽고 현재 물 공급이 어려운 도서·해안지역 101곳에 생활용수 공급용 담수화 시설을 설치했다.

이 가운데 부산 기장군 시설은 2009년 4월 건설을 시작해 2014년 12월 완공됐다.

이 시설은 염분이나 불순물이 투과하지 않는 역삼투막에 해수를 빠른 속도로 흘려보내 물리적으로 담수를 얻는 'RO공법(역삼투법)'을 사용하고 있다. 단일 시설에서 하루 4만5000t의 담수를 공급할 정도면 시설 규모면에서 세계 최대 수준이라는 게 두산중공업 측 설명이다.

용수의 90%를 낙동강 수계에 의존하는 부산시는 이 시설에서 하루 평균 4만5000t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낙동강 수계는 구미국가산업단지 등 수질오염 취약지역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설에서 불과 11㎞ 떨어진 곳의 고리원자력발전소가 발목을 잡았다.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이 취수구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에 급수지역인 기장군과 주민들이 급수를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부산시와 두산중공업 등은 방사성 물질을 수시 감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가장 우려가 큰 삼중수소는 매일, 요오드와 세슘134·137 등은 주 1회 취수구와 온정마을, 태종대 등에서 감시 중이다.

그런데도 2016년 민간이 주도한 지역주민 찬반투표에선 전체 유권자 4명 중 1명(26.7%)이 참여, 투표자의 89.3%(1만4308명)이 반대할 정도로 불신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올해 유지관리비 35억원 중 국가 부담분이 24억원이 확보되지 않자 올해 1월 두산중공업이 철수를 선언하면서 가동이 전면 중단됐다.

염분이 있는 해수는 담수보다 부식 속도가 빨라 가동중단 이후 시설 부식이 진행되고 있다는 게 문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바닷물 부식 속도가 빠른데다 소금기가 있어 나중에 돌처럼 딱딱해져 억지로 시설을 가동하려면 제품에 손실이 발생한다"며 "내년까지 장기간 방치될 경우 플랜트 시설을 유지하려면 60억원 정도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런 상황에서 주민 설득에 나서야 할 부산시 측은 가동 여부 결정을 더는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송양호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바닷물이 한 번 들어간 장치를 방치한다면 부식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며 "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대안을 먼저 찾되 어렵다면 공론화위원회 등에서 조정하는 방향 등 어떤 형태든 올해 안에 방향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방사성물질 논란속 2천억 들인 해수담수화시설 부식중

기사등록 2018/11/25 12:0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