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세종·공주·백제보 10월 보름간 완전개방
습지·웅덩이·모래톱 등 생태공간 늘어나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10월 보름 남짓 4대강 금강 수계 모든 보를 완전히 개방한 결과 물이 흐르는 구간이 회복되면서 조류 농도가 예년보다 최대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금강 수계 보를 처음으로 모두 개방하면서 이 기간 수질, 경관, 생태계 등 14개 분야를 집중 관찰한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보 개방 이후 물 체류시간은 40.0~76.5%로 감소하고 유속은 72~222%로 증가하면서 물흐름이 대폭 개선됐다.
완전개방 이후로 수계 전 구간에서 유수성 구간이 회복되면서 수질과 생태계, 경관 변화 등에 영향을 줬을 거란 분석이다. 세종보와 공주보는 전 구간에서 물이 흐르기 시작했고 백제보는 금강하구언 수위 영향으로 전체 23.4m 중 상류 13.4m(57%) 구간이 유수성을 회복했다.
조류(클로로필a)는 3개 보 완전 개방 이후 예년 같은 기간 대비 57~86% 감소했다. 10월 이후에는 조류 및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인(T-P) 모두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다.
유속이 바뀌면서 생태계에도 변화가 있었다.
몰개, 참몰개, 붕어, 잉어, 배스, 블루길 등 물흐름이 느린 곳에 주로 사는 정수성 어종은 줄고 피라미, 돌마자, 흰수마자 등 물이 빠르게 흐르는 곳에 사는 유수성 어종이 증가했다. 특히 세종보에선 피라미가 우세한 것으로 관찰됐다. 물새류 비율도 미개방 보에 비해 2배 이상 높다는 게 환경부 관찰 결과다.
물이 흐르면서 발생한 수위 저하에 따라 모래톱은 세종보에서 4.6배 등 전체적으로 증가했으며 수변 생태 공간도 구간별로 9~89% 늘어났다.
습지와 웅덩이 등이 생기면서 물새류와 표범장지뱀, 맹꽁이, 삵, 수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환경을 갖추게 됐다. 보 개방으로 노출된 수변부를 중심으론 식생이 빠르게 정착하는 모습이다.
환경부는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금강 수계 보를 처음으로 모두 개방하면서 이 기간 수질, 경관, 생태계 등 14개 분야를 집중 관찰한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보 개방 이후 물 체류시간은 40.0~76.5%로 감소하고 유속은 72~222%로 증가하면서 물흐름이 대폭 개선됐다.
완전개방 이후로 수계 전 구간에서 유수성 구간이 회복되면서 수질과 생태계, 경관 변화 등에 영향을 줬을 거란 분석이다. 세종보와 공주보는 전 구간에서 물이 흐르기 시작했고 백제보는 금강하구언 수위 영향으로 전체 23.4m 중 상류 13.4m(57%) 구간이 유수성을 회복했다.
조류(클로로필a)는 3개 보 완전 개방 이후 예년 같은 기간 대비 57~86% 감소했다. 10월 이후에는 조류 및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인(T-P) 모두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다.
유속이 바뀌면서 생태계에도 변화가 있었다.
몰개, 참몰개, 붕어, 잉어, 배스, 블루길 등 물흐름이 느린 곳에 주로 사는 정수성 어종은 줄고 피라미, 돌마자, 흰수마자 등 물이 빠르게 흐르는 곳에 사는 유수성 어종이 증가했다. 특히 세종보에선 피라미가 우세한 것으로 관찰됐다. 물새류 비율도 미개방 보에 비해 2배 이상 높다는 게 환경부 관찰 결과다.
물이 흐르면서 발생한 수위 저하에 따라 모래톱은 세종보에서 4.6배 등 전체적으로 증가했으며 수변 생태 공간도 구간별로 9~89% 늘어났다.
습지와 웅덩이 등이 생기면서 물새류와 표범장지뱀, 맹꽁이, 삵, 수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환경을 갖추게 됐다. 보 개방으로 노출된 수변부를 중심으론 식생이 빠르게 정착하는 모습이다.
우려했던 취수장애는 금강 2개 취수장 모두에서 없었다는 보고다. 양수장은 농업용수 공급 완료로 가동을 마쳤다.
다만 지하수 사용량이 많은 백제보에선 지난달 30일 기준 개방수준(2.70m)보다 지하수위 변동폭(3.00m)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9일 현재는 관리수위를 회복해 자하수위가 상승한 상태다.
보 본체 구조물에 대한 침하계, 경사계, 간극수압계 등 계측결과도 큰 변동 없이 기준치 이내를 유지했다.
[email protected]
다만 지하수 사용량이 많은 백제보에선 지난달 30일 기준 개방수준(2.70m)보다 지하수위 변동폭(3.00m)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9일 현재는 관리수위를 회복해 자하수위가 상승한 상태다.
보 본체 구조물에 대한 침하계, 경사계, 간극수압계 등 계측결과도 큰 변동 없이 기준치 이내를 유지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