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시민사회단체서 '부당 노동' 문제 제기 잇따라
해고 위협 속 활동가들 소송 당하거나 집단 사퇴도
소규모 조직 "좋은 일 하니 참자"며 쉬쉬하는 경향
속으로만 앓다 그만두는 경우 다수…근속연수 짧아
"시민들 한풀이 다 듣지만 우린 하소연할 데 없어"
"일부 단체 대표들, 활동가가 동료라는 인식 부족"
"활동가도 노동자라는 정체성 인정받는 것이 중요"
【서울=뉴시스】안채원 기자 = 최근 국내 손꼽히는 동물권단체에서 대표가 조직 사유화 시도를 하고 부당한 인사조치를 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노동권 문제가 연달아 터져나오고 있다. 이들에 대한 '노동자성' 인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단법인 동물자유연대 전·현직 활동가들과 노동사회단체로 이뤄진 '동물자유연대 바로세우기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7일 조희경 현 대표이사의 조직 사유화와 부당징계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조 대표가 측근들로 이사회를 꾸리기 위해 일방적으로 정관을 개정했으며,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일부 활동가에게 문책성 인사징계를 내렸다고 주장했다.
또 현재 인사위원회에 회부된 활동가가 맡은 업무의 담당 직원 채용공고를 내 인사위 결과가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해고하려고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조 대표는 모두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시민단체 임원들에 대한 '갑질'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8월 사단법인 유엔인권정책센터(KOCUN) 사태가 대표적이다. KOCUN 활동가 4명은 대표단과 이사진의 지속적인 해고 위협과 비민주적이고 독단적인 운영구조가 있다는 이유로 전원 단체를 떠났다.
지난 2016년에는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활동가들이 이사진의 독선을 이유로 집단 퇴사했다.
'손잡고', '푸른사람들'과 같은 시민단체도 유사한 문제를 겪었다.
노동자들의 손해배상, 가압류 문제에 대응하는 단체 '손잡고'에서는 2016년 한 활동가의 부당해고 문제와 이와 관련된 보고서를 작성한 이들이 명예훼손과 손해배상 소송을 당한 사건이 있었다.
이주노동자 사업 등을 해온 '푸른사람들'에서는 지난해 해직 활동가 3명이 "휴대전화 단체 대화방에서 불만을 토로했다는 이유로 해고당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난해 9월 열린 '인권단체 조직 내 민주주의를 위한 간담회'에서는 중·소규모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겪는 부당한 대우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시민단체 내부에서 불거진 문제는 수면 위로 드러나기 쉽지 않다.
소규모 시민단체에서 활동하는 한 활동가는 "소수 단체를 제외하고 규모가 매우 작기 때문에 문제를 제기하기 어렵고 '좋은 일하니 이 정도는 참아야 한다'는 의식도 있다"며 "속으로 앓다가 그만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저연차 활동가가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사단법인 동물자유연대 전·현직 활동가들과 노동사회단체로 이뤄진 '동물자유연대 바로세우기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7일 조희경 현 대표이사의 조직 사유화와 부당징계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조 대표가 측근들로 이사회를 꾸리기 위해 일방적으로 정관을 개정했으며,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일부 활동가에게 문책성 인사징계를 내렸다고 주장했다.
또 현재 인사위원회에 회부된 활동가가 맡은 업무의 담당 직원 채용공고를 내 인사위 결과가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해고하려고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조 대표는 모두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시민단체 임원들에 대한 '갑질'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8월 사단법인 유엔인권정책센터(KOCUN) 사태가 대표적이다. KOCUN 활동가 4명은 대표단과 이사진의 지속적인 해고 위협과 비민주적이고 독단적인 운영구조가 있다는 이유로 전원 단체를 떠났다.
지난 2016년에는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활동가들이 이사진의 독선을 이유로 집단 퇴사했다.
'손잡고', '푸른사람들'과 같은 시민단체도 유사한 문제를 겪었다.
노동자들의 손해배상, 가압류 문제에 대응하는 단체 '손잡고'에서는 2016년 한 활동가의 부당해고 문제와 이와 관련된 보고서를 작성한 이들이 명예훼손과 손해배상 소송을 당한 사건이 있었다.
이주노동자 사업 등을 해온 '푸른사람들'에서는 지난해 해직 활동가 3명이 "휴대전화 단체 대화방에서 불만을 토로했다는 이유로 해고당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난해 9월 열린 '인권단체 조직 내 민주주의를 위한 간담회'에서는 중·소규모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겪는 부당한 대우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시민단체 내부에서 불거진 문제는 수면 위로 드러나기 쉽지 않다.
소규모 시민단체에서 활동하는 한 활동가는 "소수 단체를 제외하고 규모가 매우 작기 때문에 문제를 제기하기 어렵고 '좋은 일하니 이 정도는 참아야 한다'는 의식도 있다"며 "속으로 앓다가 그만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저연차 활동가가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최근 문제가 불거진 동물자유연대 또한 지난해 조직 컨설팅 결과 서울본부 활동가 근속연수가 대부분 2~3년차였다.
익명으로 제보하는 페이스북 페이지 '시민사회활동가 대나무숲'에는 조직에서 겪는 부당한 일들에 대한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
어떤 이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란 직업은 감정의 하수구, 최종 쓰레기장인 것 같다"며 "사람들의 한풀이를 다 들어주는 시민사회단체의 활동가들은 하소연할 데가 없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이는 "직장 갑질이니 인권이니 하면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본인이 갑질하는 건 모른다"면서 "이런 사람들한테 갑질을 당하니 더 심장이 두근두근하고 우울해진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활동가들이 겪는 노동 문제와 비민주적 조직 운영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활동가의 '노동자 정체성'이 확립돼야 한다는 게 관련 종사자들의 전언이다.
동물자유연대 전현직 활동가들과 비대위 활동을 하고 있는 신희철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 희망연대노조 사무국장은 "그 어느 때보다 노동자 권리를 중시하는 시대지만 일부 단체 대표자들은 자세가 변하지 않았다"라며 "활동가가 자신들과 함께 일하는 동료라는 인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활동가가 부당한 일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에 대해 여전한 반감을 보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이조은 노조위원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단체 활동가의 노동자성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참여연대에선 지난해 11월 국내 시민단체로는 사실상 처음 노조가 출범했다. 시민단체 전반에 '활동가는 노동자'라는 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선언적 의미가 컸다.
이 위원장은 "동물자유연대 사태는 기존 시민사회 문제의 반복"이라며 "활동가의 노동자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언제든 관련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익명으로 제보하는 페이스북 페이지 '시민사회활동가 대나무숲'에는 조직에서 겪는 부당한 일들에 대한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
어떤 이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란 직업은 감정의 하수구, 최종 쓰레기장인 것 같다"며 "사람들의 한풀이를 다 들어주는 시민사회단체의 활동가들은 하소연할 데가 없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이는 "직장 갑질이니 인권이니 하면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본인이 갑질하는 건 모른다"면서 "이런 사람들한테 갑질을 당하니 더 심장이 두근두근하고 우울해진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활동가들이 겪는 노동 문제와 비민주적 조직 운영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활동가의 '노동자 정체성'이 확립돼야 한다는 게 관련 종사자들의 전언이다.
동물자유연대 전현직 활동가들과 비대위 활동을 하고 있는 신희철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 희망연대노조 사무국장은 "그 어느 때보다 노동자 권리를 중시하는 시대지만 일부 단체 대표자들은 자세가 변하지 않았다"라며 "활동가가 자신들과 함께 일하는 동료라는 인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활동가가 부당한 일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에 대해 여전한 반감을 보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이조은 노조위원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단체 활동가의 노동자성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참여연대에선 지난해 11월 국내 시민단체로는 사실상 처음 노조가 출범했다. 시민단체 전반에 '활동가는 노동자'라는 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선언적 의미가 컸다.
이 위원장은 "동물자유연대 사태는 기존 시민사회 문제의 반복"이라며 "활동가의 노동자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언제든 관련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