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조선대학교 민주화운동연구원이 5·18민주화운동 최후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 복원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조선대학교 민주화운동연구원은 19일 아시아문화원이 발주한 옛 전남도청 등 6개 동 복원을 위한 기본계획수립 용역 수행기관으로 선정돼 본격 용역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1980년 5월 항쟁 기간에 최후 항전지인 전남도청본관과 도청별관·도청회의실·경찰청 본관·경찰청 민원실·상무관 등 내외부와 연결통로가 당시 모습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된다.
기간은 6개월이며 사업비는 총 2억 원이 투입된다.
또 이번 용역에는 민주화연구원장과 역사학자 2명, 사적지 복원 건축학자 2명, 연구보조원 10명 등이 참여하며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 조언도 받는다.
연구원은 각종 언론자료와 5·18민주화운동기록관·국가기록원 등 소장자료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분석해 5월 당시 건축현황을 최대한 과학적으로 추정해낼 계획이다.
복원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옛 전남도청 등에서 근무한 공무원이나 항쟁에 참여한 시민을 상대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구술채록도 진행한다.
국내 서대문형무소·남영동대공분실, 국외 아우슈비츠 수용소·히로시마 원폭돔 등 국내외 복원사례 등도 참고자료로 연구할 계획이다.
조선대학교 민주화운동연구원은 19일 아시아문화원이 발주한 옛 전남도청 등 6개 동 복원을 위한 기본계획수립 용역 수행기관으로 선정돼 본격 용역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1980년 5월 항쟁 기간에 최후 항전지인 전남도청본관과 도청별관·도청회의실·경찰청 본관·경찰청 민원실·상무관 등 내외부와 연결통로가 당시 모습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된다.
기간은 6개월이며 사업비는 총 2억 원이 투입된다.
또 이번 용역에는 민주화연구원장과 역사학자 2명, 사적지 복원 건축학자 2명, 연구보조원 10명 등이 참여하며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 조언도 받는다.
연구원은 각종 언론자료와 5·18민주화운동기록관·국가기록원 등 소장자료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분석해 5월 당시 건축현황을 최대한 과학적으로 추정해낼 계획이다.
복원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옛 전남도청 등에서 근무한 공무원이나 항쟁에 참여한 시민을 상대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구술채록도 진행한다.
국내 서대문형무소·남영동대공분실, 국외 아우슈비츠 수용소·히로시마 원폭돔 등 국내외 복원사례 등도 참고자료로 연구할 계획이다.
최종보고서 작성 때는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 6개 건물 내·외부를 3차원으로 재구성해 제공할 예정이다.
민주화운동연구원 관계자는 "옛 전남도청이 원형 복원될 수 있도록 모든 자료를 찾을 계획이다"며 "민주주의 역사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5·18민주화운동 최후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은 리모델링을 거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5·18월 단체는 '5·18의 상징성을 간직한 역사적 건물'이라는 이유로 원형 보존을 주장했지만, 건립 과정에서 방송실이 철거되고 시민군 상황실 자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면서 반발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민주화운동연구원 관계자는 "옛 전남도청이 원형 복원될 수 있도록 모든 자료를 찾을 계획이다"며 "민주주의 역사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5·18민주화운동 최후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은 리모델링을 거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5·18월 단체는 '5·18의 상징성을 간직한 역사적 건물'이라는 이유로 원형 보존을 주장했지만, 건립 과정에서 방송실이 철거되고 시민군 상황실 자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면서 반발하고 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