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조작 해결책...전문가들 "아웃링크 도입" 한 목소리
이상진 교수 "네이버, 광고 수익 때문에 쉽게 못 받아들일 것"
최진봉 교수 "아웃링크로 바꾸지 않으면 댓글 조작 문제 반복"
신율 교수 "네이버, 댓글 서비스 집착 이유 묻고 싶다"
네이버 "아웃링크 포함해 여러 방안 계속 검토할 것"
【서울=뉴시스】오동현 최선윤 기자 = 네이버가 댓글 조작을 막겠다며 내놓은 댓글 서비스 개편안에 '아웃링크' 도입 검토는 배제된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고 있다.
뉴스를 해당 사이트로 직접 유도하는 아웃링크 대신 네이버 가두리 양식장에 가둬두면서 '댓글은 줄이돼 댓글 장사는 계속하겠다'는 것이어서 개편안이 실효성이 없을 뿐더러 본질을 놓쳤다는 비판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네이버는 '댓글정책이용자패널'에서 협의한 네 가지 뉴스 댓글 서비스 정책을 25일부터 적용한다고 밝혔다.
개편안에는 ▲24시간 동안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 50개로 제한 ▲하나의 계정으로 한 기사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 3개 제한 ▲여러 댓글 작성 시 시차 60초로 확대 ▲여러 '공감/비공감' 클릭 시 10초의 시차 설정 등의 내용이 담겼다.
기존에는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다. 아울러 동일한 기사에 댓글을 하루 최대 20개까지 작성할 수 있었으며, 하나의 댓글을 작성하고 10초 후면 또 댓글을 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개편안에는 정치권과 전문가들이 포털 댓글의 여론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적인 대책으로 제시한 '아웃링크' 도입에 대한 검토 내용은 담기지 않았다.
최근 정치권에서는 포털 댓글의 여론 조작 방지를 위해 ‘아웃링크’ 도입 법안을 논의 중이다.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은 포털의 인링크(포털 내에서 뉴스를 보는 방식) 뉴스 공급을 원천 차단하는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는 포털이 직접 뉴스를 제공하지 않고 아웃링크를 통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연결해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번 개편안에서 '아웃링크'에 대한 검토나 언급은 없었다.
일각에서 포털에 뉴스 댓글 서비스를 없애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지만, 네이버는 이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 댓글 서비스가 직접적인 수익에 영향은 미미하지만, 이용자들이 뉴스 댓글에 참여함으로써 포털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이는 다른 콘텐츠로의 유입과 광고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아웃링크제 도입이 댓글 조작 등 일련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도 "네이버 입장에서는 아웃링크제 도입으로 광고 수익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 때문에 사람들이 댓글을 안보겠다고 하면 댓글을 보지 않도록 하는 옵션 같은 것을 주는 건 어떨까 생각한다"며 "댓글조작이 의심될 경우 네이버가 기술개발을 통해 이것을 막아내는 것이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를 해당 사이트로 직접 유도하는 아웃링크 대신 네이버 가두리 양식장에 가둬두면서 '댓글은 줄이돼 댓글 장사는 계속하겠다'는 것이어서 개편안이 실효성이 없을 뿐더러 본질을 놓쳤다는 비판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네이버는 '댓글정책이용자패널'에서 협의한 네 가지 뉴스 댓글 서비스 정책을 25일부터 적용한다고 밝혔다.
개편안에는 ▲24시간 동안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 50개로 제한 ▲하나의 계정으로 한 기사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 3개 제한 ▲여러 댓글 작성 시 시차 60초로 확대 ▲여러 '공감/비공감' 클릭 시 10초의 시차 설정 등의 내용이 담겼다.
기존에는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다. 아울러 동일한 기사에 댓글을 하루 최대 20개까지 작성할 수 있었으며, 하나의 댓글을 작성하고 10초 후면 또 댓글을 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개편안에는 정치권과 전문가들이 포털 댓글의 여론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적인 대책으로 제시한 '아웃링크' 도입에 대한 검토 내용은 담기지 않았다.
최근 정치권에서는 포털 댓글의 여론 조작 방지를 위해 ‘아웃링크’ 도입 법안을 논의 중이다.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은 포털의 인링크(포털 내에서 뉴스를 보는 방식) 뉴스 공급을 원천 차단하는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는 포털이 직접 뉴스를 제공하지 않고 아웃링크를 통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연결해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번 개편안에서 '아웃링크'에 대한 검토나 언급은 없었다.
일각에서 포털에 뉴스 댓글 서비스를 없애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이지만, 네이버는 이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 댓글 서비스가 직접적인 수익에 영향은 미미하지만, 이용자들이 뉴스 댓글에 참여함으로써 포털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이는 다른 콘텐츠로의 유입과 광고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아웃링크제 도입이 댓글 조작 등 일련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도 "네이버 입장에서는 아웃링크제 도입으로 광고 수익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 때문에 사람들이 댓글을 안보겠다고 하면 댓글을 보지 않도록 하는 옵션 같은 것을 주는 건 어떨까 생각한다"며 "댓글조작이 의심될 경우 네이버가 기술개발을 통해 이것을 막아내는 것이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댓글 조작을 해결하려면 아웃링크로 바꿔야 한다"며 "네이버가 쉽게 포기할 수 없겠지만, 뉴스로 돈 벌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댓글 조작) 문제가 반복될 수 밖에 없다"고 조언했다.
이어 "뉴스 서비스를 아웃링크로 바꿔 이용자들이 언론사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고 싶은 뉴스를 선택해서 볼 수 있게 하고 댓글도 작성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그러면 네이버의 댓글과 추천 기능이 분산될 수 있다. 그게 당장 어려우면 댓글 추천란이라도 당장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역시"네이버가 댓글에 왜 이렇게 집착하는지 물어보고 싶다"며 "오히려 표현의 자유를 왜곡할 수 있는 댓글 서비스를 아예 없애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이번 개편안은 '댓글정책이용자패널'과 함께 협의한 내용이 담긴 것"이라며 "아웃링크 도입을 포함한 여러 방안을 계속 논의하고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네이버가 지난 십수년 간 운영해온 뉴스서비스 정책을 하루 아침에 바꿀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댓글 정렬 방식'에 대해서도 개선안을 논의 중이며 이르면 5월 중순께 적용할 예정이다. 이 밖에 댓글 작성자의 정체성 강화 및 개인별 블라인드 기능 신설, 소셜(SNS) 계정에 대한 댓글 작성, '공감/비공감' 제한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궁극적으로는 뉴스 댓글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사용자가 똑같은 정보를 보는 구조에서 사용자마다 다양한 정보를 보는 구조,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보를 구성하는 구조로 바꿔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이어 "뉴스 서비스를 아웃링크로 바꿔 이용자들이 언론사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고 싶은 뉴스를 선택해서 볼 수 있게 하고 댓글도 작성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그러면 네이버의 댓글과 추천 기능이 분산될 수 있다. 그게 당장 어려우면 댓글 추천란이라도 당장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역시"네이버가 댓글에 왜 이렇게 집착하는지 물어보고 싶다"며 "오히려 표현의 자유를 왜곡할 수 있는 댓글 서비스를 아예 없애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이번 개편안은 '댓글정책이용자패널'과 함께 협의한 내용이 담긴 것"이라며 "아웃링크 도입을 포함한 여러 방안을 계속 논의하고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네이버가 지난 십수년 간 운영해온 뉴스서비스 정책을 하루 아침에 바꿀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댓글 정렬 방식'에 대해서도 개선안을 논의 중이며 이르면 5월 중순께 적용할 예정이다. 이 밖에 댓글 작성자의 정체성 강화 및 개인별 블라인드 기능 신설, 소셜(SNS) 계정에 대한 댓글 작성, '공감/비공감' 제한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궁극적으로는 뉴스 댓글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사용자가 똑같은 정보를 보는 구조에서 사용자마다 다양한 정보를 보는 구조,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보를 구성하는 구조로 바꿔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