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미우리 "아베, 韓 소녀상 철거 안하면 평창올림픽 불참해야"

기사등록 2017/12/28 11:13:27

left swipright swip
아사히·마이니치·니혼게이자이 등도 일제히 "합의 이행"촉구
도쿄신문 "日 정부, TF 보고서 내용 겸허히 귀 기울여야"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일본 언론은 28일 한국 외교부 태스크포스(TF)의 '한·일 위안부 합의' 조사 결과에 대해 보도하며, 보수 성향의 매체부터 진보 성향에 이르기까지 일제히 "한국 정부는 위안부 합의를 이행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일본의 대표적인 보수 우익 성향의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사설에서 "한일 합의는 양국이 양보해서 달성한 성과"라며 "문재인 정권에 요구하는 것은 합의의 착실한 이행 밖에 없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향후 합의를 휴지조각으로 만들면 한국의 신용을 떨어뜨릴 뿐이다", "한국 정부는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 철거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취해야 하며, 그런 노력이 안보이면 아베 총리가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 참석을 바라지 말아야 한다"고까지 했다. 

요미우리는 이어 보고서가 "피해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고 합의를 맺었다라고 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설득력 있는 근거는 없으며, 위안부 피해자 지원단체의 정치적으로 편향된 주장에 따르는 것이 분명하다"라고 주장했다.


또 한국 외교부는 보고서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측의 요구를 담은 '비공개 합의'가 있다고 했지만, (외교 관행상) 기밀에 저촉되는 협상은 내밀히 진행해야 하는 것"이라며 "'비공개 합의 부분'이 부담이 됐다는 것은 한국의 문제이며 다시 문제 삼을 일이 아니다"라고도 했다.

진보 성향의 아사히신문도 '한일합의, 준수하는 것이야말로 현명한 외교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한국 정부에 합의 이행을 촉구했다.
 
아사히는 "위안부 합의는 서로 양보한 양국간 약속"이라고 주장하며 "한국 측은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서도 시민단체 등의 설득에 주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사히는 "(합의의) 핵심 정신은 위안부들(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는 데 있다"면서도 "문 정권은 합의 준수를 표명하고 그들의 마음의 상처를 조금이라도 치유하도록 일본 정부와 함께 착실하게 행동해야 한다"라고 했다.

신문은 이어 "일본 정부의 노력도 빼놓을 수 없다"고 했지만 "정부 간 합의가 있다고 해도 역사문제를 둘러싼 이해가 국민의 마음 속에 침투하기에는 시간이 걸린다"라고 했다. 즉 한일 위안부 합의는 국가간 약속으로 준수해야 하며, 한일 정부가 함께 피해자 및 국민 설득에 나서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다.

중도 성향으로 분류되는 마이니치도 마찬가지였다. 마이니치는 사설에서 "보고서의 핵심은 박근혜 전 정부가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의 생각을 충분히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전 정권의 위안부나 지원 단체 설득 노력이 미흡했다면 그것은 후임 정권이 계승해야 할 것"이라며 합의 준수를 촉구했다.

 마이니치는 또 "한국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에 아베 총리의 참석을 요구했기 때문에, 위안부 합의 결정을 올림픽 이후로 연기했다는 관측도 있다"면서 "만일 아베 총리가 방한하지 않으면 문 정부는 재협상을 거론할 것이냐"며 비꼬기도 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어, 한일 관계를 다시 악화시키는 것은 절대적으로 피해야 한다"며 "문 대통령은 한국 내에서 (위안부) 문제가 재연되지 않도록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일본의 대표적 경제지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도 사설에서 보고서 내용에 대해 "국가 간 합의를 깰 수 있는 내용으로, 매우 유감"이라고 평가했다.

닛케이는 "보고서는 '문제는 재연될 수밖에 없다'라고 결론지었지만, 한국 측이 재협상 등을 요구하다면, 재연되는 것은 한국에 대한 불신이라는 점을 문 정권은 명심해야 한다"라고 압박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할 일은 한일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위한 위안부(피해자)와 지원단체의 설득, 그리고 서울 일본대사관 앞과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의 소녀상의 철거를 위한 노력"이라고 주장했다. 닛케이도 대북 대응에 있어서도 양국간 긴밀한 연대는 불가피하다고 했다. 

다만 도쿄신문은 "위안부 합의 검증, 한일 불안정화는 피해야"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문제가 있다고 해도 한일 관계까지 불안정하게 돼서는 안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도쿄신문은 또 "확실히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는 뜻밖이었다"면서 "(한일) 양국 외교장관이 회견해 발표했지만 질문은 받지 않았고, 정식 합의 문서도 배포되지 않았다"라는 점도 지적했다. 또 "물론 피해자의 사전 교섭도 없었다"라고 짚었다.

신문은 이어 경제적, 군사적 영향력을 급속히 확대하는 중국과 대북 대응,평창 동계올림픽, 그리고 2020년 도쿄 올림픽 등 한일간 연대는 불가피하다며 "역사 문제는 중요하지만 모처럼 쌓은 양국 관계를 정체시키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도쿄신문은 "일본 정부도 '피해자의 시점이 결여되어 있다'는 보고서의 지적에 겸허히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묵살하는 것 만으로는 한국의 여론을 자극해 재협상 요구가 높아질지도 모른다"라고 지적하면서도 한일 합의 준수에는 뜻을 같이했다. 

 chkim@newsis.com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요미우리 "아베, 韓 소녀상 철거 안하면 평창올림픽 불참해야"

기사등록 2017/12/28 11:13:27 최초수정

많이 본 기사

newsis_c
newsis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