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인구 향후 10년간 218만명 준다…내년부터 감소

기사등록 2017/12/19 11:00:00

고용부 '2016~2026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및 시사점'
 신규취업 수요, 공급초과 부족 심화...중장년 늘고 청년 줄어
 기술발전 등에 직업구조 변화...보건업>전문과학>제조업
 고용부 "비경제활동인구 노동시장 진입 위한 대책 필요"


【서울=뉴시스】강세훈 기자 = 향후 10년간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218만명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청년인구가 줄어들며 졸업생이 감소하고 있어 신규인력(신규취업)의 부족현상이 심각해질 전망이다.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에 참여시키기 위한 대책이 중요하다고 정부는 설명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19일 국무회의에서 보고한 '2016~2026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및 시사점'을 통해 이같이 나타났다.

 공급측면 전망에서 이 기간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18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분화해서 보면 2016~2021년 46만명 감소하고 2021~2026년 172만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서고 감소폭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15세이상 생산가능인구는 오히려 207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로 인해 65세이상 인구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실제 이 기간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인구가 533만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대도 10만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왔다. 반면 40대(-87만명), 30대(-53만명), 15~29세(-193만명)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 보면 이 기간 고졸이하 저학력 인구는 125만명 감소하는 반면 전문대졸이상 고학력인구는 332만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취업자) 측면 전망에서는 이 기간 15세이상 취업자가 190만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발전과 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산업과 직업 구조가 크게 변화할 것으로 고용노동부는 내다봤다. 

 업종별로 보면 보건업(55만9000명), 전문과학(21만8000명), 제조업(21만7000명)의 취업자가 크게 증가하는 반면 농림어업(-18만7000명)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간 신규인력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부족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고용노동부는 전망했다. 중장년 인구가 증가하는 반면 청년인구가 줄어들어 졸업생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세분화해서 보면 고졸자 구인인력 수요는 30만명인 반면 신규인력 공급은 18만8000명으로 초과수요가 11만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졸자도 10만명 정도 초과수요가 예상되는 반면, 전문대(55만명), 대학원(30만명) 초과공급이 예상되고 있다.

 다만 고용노동부는 신규 인력이 부족한 상황은 비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참여 등으로 해소될 수 있어 전체 노동시장 인력부족으로 해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좋은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청년·여성·고령자 등에 대한 맞춤형 고용정책과 함께 비경제활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대책 등을 통해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어느때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생산가능인구 향후 10년간 218만명 준다…내년부터 감소

기사등록 2017/12/19 11:0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