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중국)=뉴시스】김태규 기자 = 열린경호를 표방하며 호평을 받았던 청와대 경호처의 경호 방식이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순방 과정에서 아쉬움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적은 인력으로 문 대통령의 경호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정작 국내 취재진이 중국 경호원들로부터 무차별 폭행을 당하는 상황에서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경호처의 주목적이 취재진 보호에 있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도 신속한 대응이 있었다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내부적으로도 제기되고 있다.
14일 오전 11시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을 취재하던 한국 사진기자 2명이 중국 사설보안업체 경호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로부터 무차별 폭행을 당하는 초유의 사건이 발생했다.
한국일보 사진기자는 중국 경호원과의 근접 취재와 관련한 시비 끝에 힘으로 밀치는 과정에서 뒤로 넘어지며 허리의 부상을 입었다. 다른 피해자인 매일경제 사진기자는 거친 통제에 항의를 하다가 중국 경호원 10여명으로부터 집단 구타를 당했다.
그는 복도로 끌려나간 뒤 중국 경호원들에게 둘러싸인 채 주먹으로 구타를 당한 것이다. 경호원들은 코피를 흘리며 넘어진 사진기자를 발로 밟는 등 잔인한 폭력을 서슴지 않았다. 이에 피해 기자는 오른쪽 눈 주위가 심하게 붓고 안구에 출혈까지 발생했다.
시비가 있었던 시점부터 취재안내를 담당하던 청와대 관계자 2명이 말렸지만 인원수가 많았던 중국 측 경호원들은 힘으로 제압한 채 폭행을 계속했다.
청와대 관계자가 "우리 경호는 어디갔나, 도와주세요. 한국경호 와주세요"라고 큰 소리로 반복해서 외쳤지만 경호처 인력은 구타상황이 끝날 때까지 현장에 도착하지 못했다.
경호처 관계자는 문제가 불거지자 베이징 현지의 프레스센터를 방문해 당시 상황에 대해 해명했다.
한 경호처 관계자는 "무전으로 밖에서 소란행위가 발생했다고 들었고 제가 직접 나갔었지만 그때는 이미 잡았던 멱살을 잡았다가 떨어진 상황이었다"면서 "하지만 이후 문제 발단을 직접 목격하는데 저희가 늦었다. 그 부분은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외에 오게되면 많은 인원이 올 수 없고, 대통령 외에도 여사 행사도 있어서 인력이 분산된다"고 경호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청와대 경호처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중국 순방은 경호처와 총괄적인 업무협조를 담당하고 있는 중국측 전담대, 행사장 외곽 경계를 담당하는 중국 공안, 행사장 내부를 통제하는 사설보안요원 3가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문제를 일으킨 것은 중국 공안이 아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중국에서 현지 고용한 사설보안요원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중국 공안은 해당 보안업체를 지휘·감독하는 구조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코트라가 현지 보안업체와 190명 정도를 현장에 투입한 것으로 확인했다"며 "폭행을 한 당사자가 코트라와 계약돼 있는 보안업체 소속일 가능성이 높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코트라는 보안요원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경호처가 일정 정도의 가이드 라인만 보안업체에 제시하는 구조다. 경호처는 문 대통령 주변 3m 이내에 접근하는 인원만 통제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처 관계자는 "보안업체 측에 오늘 행사장에 많은 인원이 운집하고, 기자단의 취재활동에 대해서도 얘기를 했다"면서 "문 대통령 중심으로 3m 안에만 들어오지 않으면 취재활동을 보장하라고 지시를 했고, 그쪽도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청와대에서는 우선 폭행의 정확한 책임을 가리기 위한 보안요원의 신원파악에 집중하고 있다. 이후 진상규명을 통해 폭행 사실에 대한 책임과 공안의 지휘감독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열린 경호를 표방한 경호처의 이날 대응이 늦었던 부분에 대한 문제까지 진상조사를 할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경호에서 나름대로 노력을 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email protected]
적은 인력으로 문 대통령의 경호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정작 국내 취재진이 중국 경호원들로부터 무차별 폭행을 당하는 상황에서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경호처의 주목적이 취재진 보호에 있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도 신속한 대응이 있었다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내부적으로도 제기되고 있다.
14일 오전 11시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을 취재하던 한국 사진기자 2명이 중국 사설보안업체 경호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로부터 무차별 폭행을 당하는 초유의 사건이 발생했다.
한국일보 사진기자는 중국 경호원과의 근접 취재와 관련한 시비 끝에 힘으로 밀치는 과정에서 뒤로 넘어지며 허리의 부상을 입었다. 다른 피해자인 매일경제 사진기자는 거친 통제에 항의를 하다가 중국 경호원 10여명으로부터 집단 구타를 당했다.
그는 복도로 끌려나간 뒤 중국 경호원들에게 둘러싸인 채 주먹으로 구타를 당한 것이다. 경호원들은 코피를 흘리며 넘어진 사진기자를 발로 밟는 등 잔인한 폭력을 서슴지 않았다. 이에 피해 기자는 오른쪽 눈 주위가 심하게 붓고 안구에 출혈까지 발생했다.
시비가 있었던 시점부터 취재안내를 담당하던 청와대 관계자 2명이 말렸지만 인원수가 많았던 중국 측 경호원들은 힘으로 제압한 채 폭행을 계속했다.
청와대 관계자가 "우리 경호는 어디갔나, 도와주세요. 한국경호 와주세요"라고 큰 소리로 반복해서 외쳤지만 경호처 인력은 구타상황이 끝날 때까지 현장에 도착하지 못했다.
경호처 관계자는 문제가 불거지자 베이징 현지의 프레스센터를 방문해 당시 상황에 대해 해명했다.
한 경호처 관계자는 "무전으로 밖에서 소란행위가 발생했다고 들었고 제가 직접 나갔었지만 그때는 이미 잡았던 멱살을 잡았다가 떨어진 상황이었다"면서 "하지만 이후 문제 발단을 직접 목격하는데 저희가 늦었다. 그 부분은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외에 오게되면 많은 인원이 올 수 없고, 대통령 외에도 여사 행사도 있어서 인력이 분산된다"고 경호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청와대 경호처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중국 순방은 경호처와 총괄적인 업무협조를 담당하고 있는 중국측 전담대, 행사장 외곽 경계를 담당하는 중국 공안, 행사장 내부를 통제하는 사설보안요원 3가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문제를 일으킨 것은 중국 공안이 아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중국에서 현지 고용한 사설보안요원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중국 공안은 해당 보안업체를 지휘·감독하는 구조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코트라가 현지 보안업체와 190명 정도를 현장에 투입한 것으로 확인했다"며 "폭행을 한 당사자가 코트라와 계약돼 있는 보안업체 소속일 가능성이 높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코트라는 보안요원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경호처가 일정 정도의 가이드 라인만 보안업체에 제시하는 구조다. 경호처는 문 대통령 주변 3m 이내에 접근하는 인원만 통제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처 관계자는 "보안업체 측에 오늘 행사장에 많은 인원이 운집하고, 기자단의 취재활동에 대해서도 얘기를 했다"면서 "문 대통령 중심으로 3m 안에만 들어오지 않으면 취재활동을 보장하라고 지시를 했고, 그쪽도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청와대에서는 우선 폭행의 정확한 책임을 가리기 위한 보안요원의 신원파악에 집중하고 있다. 이후 진상규명을 통해 폭행 사실에 대한 책임과 공안의 지휘감독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열린 경호를 표방한 경호처의 이날 대응이 늦었던 부분에 대한 문제까지 진상조사를 할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경호에서 나름대로 노력을 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