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김민기 기자 = 최근 2년간 포항지열발전소의 물 주입과 배출작업 등으로 인해 포항주변에 63차례 걸쳐 소규모 지진이 발생했으며 이 중 10차례(15.8%)가 규모 2.0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윤영일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월 29일부터 올해 11월 15일까지 총 443회에 걸쳐 물 주입(73회)과 배출(370회)이 이뤄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16년 41회(규모 2.0 이상 8회), 2017년 22회(규모 2.0 이상 2회) 등 총 63차례(규모 2.0이상 10회) 소규모 지진이 발생하였다.
물을 넣고 뺄 때 진동이 발생하고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발전소 측은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지진발생여부를 측정하고 있다.
기상청이 공식 발표한 포항 내륙 지진발생의 경우 모두가 발전소 물주입 이후 발생된 것으로 밝혀졌다.
2016년 12월 15일에서 22일 사이 3681톤의 물을 주입한 직후 다음날인 12월 23일 규모 2.2의 지진이 나타났다.
이후 12월 26일부터 28일까지 226톤의 물주입 후 다음날인 29일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7년 3월 25일부터 4월 14일 사이 2793톤의 물주입 후 다음날인 15일 규모 3.1, 규모 2.0의 지진이 잇따라 일어났다.
이후에도 물주입이 계속되면서 진동이 감지됐고 발전소 측은 2017년 9월 18일에야 주입작업을 멈추었다. 하지만 11월 1일까지 물 배출 작업은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7년 4월 15일 관측된 규모 2.0 이상의 지진 2건의 경우,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의 발생위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관측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진 주무부처인 기상청은 이런 내용을 전혀 모르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포항지열발전소가 2014년 작성한 '미소진동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소규모 지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나 국내에는 명확한 관리방안이 없어 포항 인근의 지진 이력과 단층 분포 등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현장조사 결과서는 없는 실정이다.
윤 의원은 "63차례의 지진 발생은 대규모 지진발생에 대한 충분한 사전경고였을 수 있다" 면서 "주무부처인 기상청이 이런 사실을 몰랐다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열발전소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면서 "지금이라도 사업을 당장 중단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안전성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윤영일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월 29일부터 올해 11월 15일까지 총 443회에 걸쳐 물 주입(73회)과 배출(370회)이 이뤄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16년 41회(규모 2.0 이상 8회), 2017년 22회(규모 2.0 이상 2회) 등 총 63차례(규모 2.0이상 10회) 소규모 지진이 발생하였다.
물을 넣고 뺄 때 진동이 발생하고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발전소 측은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지진발생여부를 측정하고 있다.
기상청이 공식 발표한 포항 내륙 지진발생의 경우 모두가 발전소 물주입 이후 발생된 것으로 밝혀졌다.
2016년 12월 15일에서 22일 사이 3681톤의 물을 주입한 직후 다음날인 12월 23일 규모 2.2의 지진이 나타났다.
이후 12월 26일부터 28일까지 226톤의 물주입 후 다음날인 29일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7년 3월 25일부터 4월 14일 사이 2793톤의 물주입 후 다음날인 15일 규모 3.1, 규모 2.0의 지진이 잇따라 일어났다.
이후에도 물주입이 계속되면서 진동이 감지됐고 발전소 측은 2017년 9월 18일에야 주입작업을 멈추었다. 하지만 11월 1일까지 물 배출 작업은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7년 4월 15일 관측된 규모 2.0 이상의 지진 2건의 경우,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의 발생위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관측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진 주무부처인 기상청은 이런 내용을 전혀 모르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포항지열발전소가 2014년 작성한 '미소진동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소규모 지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나 국내에는 명확한 관리방안이 없어 포항 인근의 지진 이력과 단층 분포 등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현장조사 결과서는 없는 실정이다.
윤 의원은 "63차례의 지진 발생은 대규모 지진발생에 대한 충분한 사전경고였을 수 있다" 면서 "주무부처인 기상청이 이런 사실을 몰랐다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열발전소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면서 "지금이라도 사업을 당장 중단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안전성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