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산=뉴시스】이종일 기자 = 경기 안산 반월열병합발전소가 전국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 시설로는 처음으로 발전 방식을 중유에서 액화석유가스(LPG)로 전환한다. 사진은 안산 초지동 반월열병합발전소 모습이다. 2017.11.15. (사진 = GS E&R 제공) photo@newsis.com


【안산=뉴시스】이종일 기자 = 경기 안산 반월국가산업단지에 증기 열을 공급하는 반월열병합발전소(이하 반월발전소)가 발전 방식을 전국 최초로 중유에서 액화석유가스(LPG)로 전환한다.
하지만 LPG 탱크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주민 반발이 심해 전환 작업이 수개월째 제자리걸음이다.
LPG 저장 탱크 설치 허가권자인 안산시는 정부의 먼지총량제 도입에 따라 LPG로 전환하려는 반월발전소와 안전을 우려하는 주민 사이에서 이렇다 할 방침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안산시 관계자는 "중유 대신 LPG를 활용하면 대기 환경을 크게 개선하겠지만, 주민 반대가 워낙 심해 LPG 탱크 설치 허가를 내주기가 쉽지 않다"며 "서로의 견해차를 어떻게 좁힐지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개선" 전국 첫 중유 → LPG 전환
한국산업단지공단이 1990년 8월 안산 단원구 초지동 반월산단 내 6만2700㎡에 건립한 반월발전소는 56.7㎽ 용량의 주터빈 1기와 6.0㎽ 용량의 보조터빈 1호기, 14.3㎽ 용량의 보조터빈 2호기를 갖추고 연간 67만4170㎽/h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또 2기의 주보일러와 3기의 보조보일러로 연간 500만 t의 증기 열을 생산, 반월산단 입주 공장 230여 곳에 공정용·난방용 증기를 공급한다.
반월발전소는 이제껏 증기 열을 유연탄과 중유, 도시가스(LNG) 등의 연료를 이용해 생산해 왔는데, 정부가 먼지총량제를 도입하면서 생산 방식의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중유 등으로는 먼지총량제에 따른 먼지 총량과 배출 기준을 준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먼지총량제는 환경부가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개정안' 심사를 마치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으로, 환경부는 다음 달까지 법제처 심사를 거친 뒤 개정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반월발전소 방지시설의 먼지 배출 기준농도는 1㎥당 20㎎ 이하에서 7㎎ 이하로 강화되고, 먼지 배출 연간 총량 기준도 내년 17.9t 이하, 2019년 16.3t 이하 등으로 엄격해진다.
하지만 LPG 탱크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주민 반발이 심해 전환 작업이 수개월째 제자리걸음이다.
LPG 저장 탱크 설치 허가권자인 안산시는 정부의 먼지총량제 도입에 따라 LPG로 전환하려는 반월발전소와 안전을 우려하는 주민 사이에서 이렇다 할 방침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안산시 관계자는 "중유 대신 LPG를 활용하면 대기 환경을 크게 개선하겠지만, 주민 반대가 워낙 심해 LPG 탱크 설치 허가를 내주기가 쉽지 않다"며 "서로의 견해차를 어떻게 좁힐지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개선" 전국 첫 중유 → LPG 전환
한국산업단지공단이 1990년 8월 안산 단원구 초지동 반월산단 내 6만2700㎡에 건립한 반월발전소는 56.7㎽ 용량의 주터빈 1기와 6.0㎽ 용량의 보조터빈 1호기, 14.3㎽ 용량의 보조터빈 2호기를 갖추고 연간 67만4170㎽/h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또 2기의 주보일러와 3기의 보조보일러로 연간 500만 t의 증기 열을 생산, 반월산단 입주 공장 230여 곳에 공정용·난방용 증기를 공급한다.
반월발전소는 이제껏 증기 열을 유연탄과 중유, 도시가스(LNG) 등의 연료를 이용해 생산해 왔는데, 정부가 먼지총량제를 도입하면서 생산 방식의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중유 등으로는 먼지총량제에 따른 먼지 총량과 배출 기준을 준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먼지총량제는 환경부가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개정안' 심사를 마치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으로, 환경부는 다음 달까지 법제처 심사를 거친 뒤 개정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반월발전소 방지시설의 먼지 배출 기준농도는 1㎥당 20㎎ 이하에서 7㎎ 이하로 강화되고, 먼지 배출 연간 총량 기준도 내년 17.9t 이하, 2019년 16.3t 이하 등으로 엄격해진다.

【안산=뉴시스】이종일 기자 = 경기 안산 반월열병합발전소가 LPG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9월7일 안산 초지동 행정복지센터 강당에서 주민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2017.11.15. lji22356@newsis.com
반월발전소의 연간 먼지 배출량은 현재 18t으로, 중유 등을 연료로 한 기존 방식으로는 강화되는 이 기준을 맞추기 어렵다.
이에 따라 반월발전소 운영사인 GS E&R(이하 GS)은 지난해 5월 중유 대신 LPG 도입 계획을 세웠다.
전국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 시설(다수에게 열을 판매하는 사업장) 38곳 가운데 LPG 도입에 나선 사업장은 반월발전소가 처음이다. 반월발전소는 한국산단공단이 경영 악화 등으로 매각하면서 STX에너지㈜를 거쳐 2014년 3월 소유권이 GS로 넘어갔다.
GS는 내년 먼지총량제 시행에 앞서 올해 안에 LPG 설비를 갖추기로 하고, 3월 50t짜리 LPG 저장 탱크 4기 설치를 허가해 달라고 안산시에 요청하는 등 본격적으로 전환 작업에 착수했다.
GS 관계자는 "정부의 먼지총량제 기준을 지키려면 증기 열 생산 방식을 LPG로 전환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며 "정부의 미세먼지 감소 정책에 부응하고자 수십억 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 "탱크 폭발 우려" 민원에 LPG 전환 제자리
이 같은 반월발전소의 전국 첫 LPG 전환 계획은 안산시의 LPG 저장 탱크 설치 불허로 제동이 걸렸다.
시는 GS가 신청한 LPG 저장 탱크 4기 설치 허가를 둘러싸고 반월발전소와 900m 정도 떨어진 초지동 아파트단지 주민이 반발하자 4월 반려했다. 안전성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초지동 주민은 시에 100여 건에 이르는 'LPG 탱크 설치 반대' 민원을 내고, 발전소 주변에 현수막도 걸었다.
이들은 "LPG 탱크가 자칫 폭발하면 주변 아파트는 공중분해된다"며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시한폭탄을 안고 생활할 수는 없다"고 반대했다.
주민 반발이 커지자, GS는 발전소 지상 360㎡에 설치하려던 LPG 탱크를 6m 아래 지하로 매설하겠다고 설치 방식을 전면 수정했다.
LPG 전환을 더는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 애초 사업비보다 10억 원 늘려 4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그리고는 9월7일 초지동행정복지센터에서 이런 계획을 설명하는 등 '주민 달래기'에 나섰다. 하지만 주민 상당수는 "보완 대책이 부실하다"며 여전히 반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월발전소 운영사인 GS E&R(이하 GS)은 지난해 5월 중유 대신 LPG 도입 계획을 세웠다.
전국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 시설(다수에게 열을 판매하는 사업장) 38곳 가운데 LPG 도입에 나선 사업장은 반월발전소가 처음이다. 반월발전소는 한국산단공단이 경영 악화 등으로 매각하면서 STX에너지㈜를 거쳐 2014년 3월 소유권이 GS로 넘어갔다.
GS는 내년 먼지총량제 시행에 앞서 올해 안에 LPG 설비를 갖추기로 하고, 3월 50t짜리 LPG 저장 탱크 4기 설치를 허가해 달라고 안산시에 요청하는 등 본격적으로 전환 작업에 착수했다.
GS 관계자는 "정부의 먼지총량제 기준을 지키려면 증기 열 생산 방식을 LPG로 전환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며 "정부의 미세먼지 감소 정책에 부응하고자 수십억 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 "탱크 폭발 우려" 민원에 LPG 전환 제자리
이 같은 반월발전소의 전국 첫 LPG 전환 계획은 안산시의 LPG 저장 탱크 설치 불허로 제동이 걸렸다.
시는 GS가 신청한 LPG 저장 탱크 4기 설치 허가를 둘러싸고 반월발전소와 900m 정도 떨어진 초지동 아파트단지 주민이 반발하자 4월 반려했다. 안전성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초지동 주민은 시에 100여 건에 이르는 'LPG 탱크 설치 반대' 민원을 내고, 발전소 주변에 현수막도 걸었다.
이들은 "LPG 탱크가 자칫 폭발하면 주변 아파트는 공중분해된다"며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시한폭탄을 안고 생활할 수는 없다"고 반대했다.
주민 반발이 커지자, GS는 발전소 지상 360㎡에 설치하려던 LPG 탱크를 6m 아래 지하로 매설하겠다고 설치 방식을 전면 수정했다.
LPG 전환을 더는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 애초 사업비보다 10억 원 늘려 4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그리고는 9월7일 초지동행정복지센터에서 이런 계획을 설명하는 등 '주민 달래기'에 나섰다. 하지만 주민 상당수는 "보완 대책이 부실하다"며 여전히 반대하고 있다.

【안산=뉴시스】이종일 기자 = 경기 안산 반월열병합발전소는 LPG 도입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반월열병합발전소 모습이다. 2017.11.15. lji22356@newsis.com
윤태웅 초지동 주민자치위원장은 "GS가 내놓은 지하 매설 계획만으로는 주민 불안이 해소되지 않는다. 좀 더 확실하고 수긍할 만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상에 20t짜리 LPG 탱크가 폭발하면 반경 64m 안에서는 고막 손상 등 인적 피해가 발생하고, 130m 안은 주택 파손, 520m 안은 유리창 파손 등의 피해가 생긴다.
현재 GS가 설치하려는 LPG 탱크는 50t짜리 4기이며, 반월발전소 520m 안에는 중소기업과 공장 수십 개가 들어서 있고 아파트 등 주거 단지는 900m 정도 떨어져 있다.
GS 관계자는 "에너지공단 자료는 지상의 탱크가 터졌을 경우"라며 "지하 6m에 탱크를 설치하면 이런 피해는 거의 없다. 탱크를 매설할 지하를 콘크리트로 설비하고 아예 공기도 차단해 폭발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말했다.
GS는 이같은 내용의 안전대책을 보완해 다음 달 설명회를 다시 열어 주민을 설득할 예정이다.
◇ 환경단체 'LPG 전환' 환영…주민 설득 주문
안산지역 환경단체는 반월발전소의 LPG 전환을 반겼다. 다만 주민이 안심할 수 있게 안전대책을 보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산환경운동연합은 "중유보다 LPG 방식이 온실가스, 대기오염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미 검증됐다"면서도 "주민이 수용할 만한 안전대책 수립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월발전소 LPG 전환을 위한 GS, 주민, 환경단체의 논의 구조를 제안했다.
안산경실련도 LPG 전환을 반기면서 민원과 관련해 "LPG 탱크 설치 장소를 주거지와 떨어진 시화호 쪽으로 옮기면 민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시 또한 주민 민원을 고려해 GS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주민과의 협의 구조 안에서 안전성이 담보된 대책으로 주민을 먼저 설득해야 한다는 견해다.
시 관계자는 "안전대책을 보완하고 주민 동의가 전제된다면 LPG 탱크 설치를 반려할 이유가 없다"며 "GS의 적극적인 대처가 관건"이라고 했다.
GS는 추가로 비용을 들여서라도 안전대책을 보완, 다음 달 설명회에서 기필코 주민 동의를 얻어내겠다는 방침이다. 먼지총량제 시행이 닥쳐 더는 늦출 수 없기 때문이다.
LPG 탱크 설치에만 4개월이 걸리고, 2개월 정도 시범 운행한 뒤에나 본격적으로 설비를 가동할 수 있는데 내년 말 먼지 총량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으려면 아무리 늦어도 내년 하반기에는 가동해야 한다.
GS 관계자는 "주민 설득에 사활을 걸고 있다. 안전하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lji22356@newsis.com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상에 20t짜리 LPG 탱크가 폭발하면 반경 64m 안에서는 고막 손상 등 인적 피해가 발생하고, 130m 안은 주택 파손, 520m 안은 유리창 파손 등의 피해가 생긴다.
현재 GS가 설치하려는 LPG 탱크는 50t짜리 4기이며, 반월발전소 520m 안에는 중소기업과 공장 수십 개가 들어서 있고 아파트 등 주거 단지는 900m 정도 떨어져 있다.
GS 관계자는 "에너지공단 자료는 지상의 탱크가 터졌을 경우"라며 "지하 6m에 탱크를 설치하면 이런 피해는 거의 없다. 탱크를 매설할 지하를 콘크리트로 설비하고 아예 공기도 차단해 폭발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말했다.
GS는 이같은 내용의 안전대책을 보완해 다음 달 설명회를 다시 열어 주민을 설득할 예정이다.
◇ 환경단체 'LPG 전환' 환영…주민 설득 주문
안산지역 환경단체는 반월발전소의 LPG 전환을 반겼다. 다만 주민이 안심할 수 있게 안전대책을 보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산환경운동연합은 "중유보다 LPG 방식이 온실가스, 대기오염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미 검증됐다"면서도 "주민이 수용할 만한 안전대책 수립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월발전소 LPG 전환을 위한 GS, 주민, 환경단체의 논의 구조를 제안했다.
안산경실련도 LPG 전환을 반기면서 민원과 관련해 "LPG 탱크 설치 장소를 주거지와 떨어진 시화호 쪽으로 옮기면 민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시 또한 주민 민원을 고려해 GS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주민과의 협의 구조 안에서 안전성이 담보된 대책으로 주민을 먼저 설득해야 한다는 견해다.
시 관계자는 "안전대책을 보완하고 주민 동의가 전제된다면 LPG 탱크 설치를 반려할 이유가 없다"며 "GS의 적극적인 대처가 관건"이라고 했다.
GS는 추가로 비용을 들여서라도 안전대책을 보완, 다음 달 설명회에서 기필코 주민 동의를 얻어내겠다는 방침이다. 먼지총량제 시행이 닥쳐 더는 늦출 수 없기 때문이다.
LPG 탱크 설치에만 4개월이 걸리고, 2개월 정도 시범 운행한 뒤에나 본격적으로 설비를 가동할 수 있는데 내년 말 먼지 총량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으려면 아무리 늦어도 내년 하반기에는 가동해야 한다.
이시간 핫뉴스
GS 관계자는 "주민 설득에 사활을 걸고 있다. 안전하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lji22356@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