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9일부터 ‘청정 강원 임계사과’ 8980원(4~6입) 판매
강원도 물량 10년새 3배 증가
한라봉은 제주에서 충주, 복숭아는 경산에서 춘천으로
【서울=뉴시스】김종민 기자 = 배추 키우던 고랭지 밭에서 이제 사과가 난다.
배추 농민들도 사과 농민으로 변신하고 있다. 강원도 정선 임계지역 얘기다. 한반도 온난화로 강원도가 사과 대체 산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마트는 오는 9일 용산점을 시작으로 '청정 강원 임계사과' 판매에 돌입한다. 16일부터는 전점으로 판매를 확대한다. 가격은 8980원(4~6입/1.5㎏)이다.
이마트가 계획한 임계 사과 총 물량은 1달치 150~200톤 가량이다. 이 사과는 해발 500m 이상 청정 고랭지 지역인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에서 생산했으며 단단하고 아삭한 식감에 당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마트가 강원도 지역 사과를 전점 판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월 임계 사과를 테스트 판매해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임계 지역 사과 재배 역사는 매우 짧다. 10년 전 1개 농가로 시작해 현재는 130여 농가까지 늘어났다. 판매가 본격 상용화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3~4년 전이다. 그 간 주요 판로는 인근 지역과 시장 등이었다.
기후 변화 요인으로 최근 이 지역은 채소에서 사과로 작목 전환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10년 전 임계면에서 사과 농사를 처음 시작한 배선철 농민은 "원래는 고랭지 배추 농사를 오랫동안 지었지만 온도가 점차 상승하면서 배추 병충해가 자주 발병하고 가격도 널뛰기하는 탓에 배추 농사를 과감히 포기하고 사과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여름에 열대야가 없으면서도 10년 동안 서리가 한번도 내리지 않고 기온이 낮아 병충해가 잘 생기지 않는 등 사과 재배에 최적의 조건"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국내 사과 산지는 점차 북상하는 추세다.
국내 전통적 사과 산지는 평야가 발달한 대구, 예산 등지였다. 그러다 10~15년쯤부터 일교차가 크고 서늘한 고랭지 지역을 찾아 문경, 안동, 장수 등지로 올라왔다. 고랭지 사과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최근 3~5년 사이에는 강원도 평창, 영월, 정선으로까지 사과 재배지가 확대되고 있다.
사과는 낮에는 생장 활동을 하고 서늘한 밤에는 당도를 끌어 올리는 과수 특성상 일교차가 가장 중요한 요건 가운데 하나다. '고랭지 사과'가 과육이 단단하고 당도가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사과는 열대야를 피해 더 북으로 북으로, 산으로 산으로 가고 있다.
아직까지는 생소한 강원도의 사과 재배는 점차 일상화될 전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강원도 사과는 생산량이 10년 사이 3.2배 증가했다. 2006년 1762톤에 불과했던 것이 2016년 5775톤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반면 평야 지대가 많은 경기도와 충청남도는 생산량이 크게 급감했다. 경기도는 5060톤(2006년)에서 2234톤(2016년)으로 반토막이 났다. 충청남도 역시 3만1759톤(2006년)에서 2만6924톤(2016년)으로 15% 가량 감소했다.
급격하게 더워지는 한반도의 날씨 또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기상청의 서울 기준 3년간(2015~2017년) 날씨를 10년전의 3년간(2005~2007년)과 비교해본 결과 폭염일수가 2배 가까이 많아졌다.
2015년~2017년 7~8월 중 서울 기온이 33도 이상을 기록한 날은 총 40일로 나타났다. 2005년~2007년에는 총 22일이었다. 특히 사과 주산지로 꼽혔던 대구는 올 여름 총 44일 동안 한낮 기온이 33도를 넘는 찜통 더위에 시달렸다. 또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기온은 0.032도~0.74도 오른 데 반해 한반도는 두 배인 1.5도나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2020년에는 남부 전체, 2070년에는 한반도 대부분이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편 한반도 기후 변화에 따른 먹거리 지도 변화는 사과뿐만이 아니다. 제주에서 자라던 한라봉은 고흥, 거제, 나주로 올라오더니 이제는 충북 충주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충주 한라봉은 지역 명소인 탄금대에서 따온 '탄금향'이라는 이름으로 팔린다.
경북 경산이 주 산지였던 복숭아는 이제 강원도 춘천에서도 재배한다. 제주도에서만 키우던 패션 프루트는 김천, 구미, 진천에 이어 경기 평택까지 올라왔다. 여수, 통영은 망고와 아보카도를 재배하고 진주에서는 용과를 볼 수 있다.
임계 농협측은 "내년부터는 임계 자두도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마트 김교진 과일 바이어는 "이제 막 생산을 시작한 신진 산지로 아직 물량이 많지 않지만, 품질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도 있어 물량이 닿는 대로 가능한 많이 공급하고 싶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강원도 물량 10년새 3배 증가
한라봉은 제주에서 충주, 복숭아는 경산에서 춘천으로
【서울=뉴시스】김종민 기자 = 배추 키우던 고랭지 밭에서 이제 사과가 난다.
배추 농민들도 사과 농민으로 변신하고 있다. 강원도 정선 임계지역 얘기다. 한반도 온난화로 강원도가 사과 대체 산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마트는 오는 9일 용산점을 시작으로 '청정 강원 임계사과' 판매에 돌입한다. 16일부터는 전점으로 판매를 확대한다. 가격은 8980원(4~6입/1.5㎏)이다.
이마트가 계획한 임계 사과 총 물량은 1달치 150~200톤 가량이다. 이 사과는 해발 500m 이상 청정 고랭지 지역인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에서 생산했으며 단단하고 아삭한 식감에 당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마트가 강원도 지역 사과를 전점 판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월 임계 사과를 테스트 판매해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임계 지역 사과 재배 역사는 매우 짧다. 10년 전 1개 농가로 시작해 현재는 130여 농가까지 늘어났다. 판매가 본격 상용화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3~4년 전이다. 그 간 주요 판로는 인근 지역과 시장 등이었다.
기후 변화 요인으로 최근 이 지역은 채소에서 사과로 작목 전환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10년 전 임계면에서 사과 농사를 처음 시작한 배선철 농민은 "원래는 고랭지 배추 농사를 오랫동안 지었지만 온도가 점차 상승하면서 배추 병충해가 자주 발병하고 가격도 널뛰기하는 탓에 배추 농사를 과감히 포기하고 사과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여름에 열대야가 없으면서도 10년 동안 서리가 한번도 내리지 않고 기온이 낮아 병충해가 잘 생기지 않는 등 사과 재배에 최적의 조건"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국내 사과 산지는 점차 북상하는 추세다.
국내 전통적 사과 산지는 평야가 발달한 대구, 예산 등지였다. 그러다 10~15년쯤부터 일교차가 크고 서늘한 고랭지 지역을 찾아 문경, 안동, 장수 등지로 올라왔다. 고랭지 사과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최근 3~5년 사이에는 강원도 평창, 영월, 정선으로까지 사과 재배지가 확대되고 있다.
사과는 낮에는 생장 활동을 하고 서늘한 밤에는 당도를 끌어 올리는 과수 특성상 일교차가 가장 중요한 요건 가운데 하나다. '고랭지 사과'가 과육이 단단하고 당도가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사과는 열대야를 피해 더 북으로 북으로, 산으로 산으로 가고 있다.
아직까지는 생소한 강원도의 사과 재배는 점차 일상화될 전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강원도 사과는 생산량이 10년 사이 3.2배 증가했다. 2006년 1762톤에 불과했던 것이 2016년 5775톤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반면 평야 지대가 많은 경기도와 충청남도는 생산량이 크게 급감했다. 경기도는 5060톤(2006년)에서 2234톤(2016년)으로 반토막이 났다. 충청남도 역시 3만1759톤(2006년)에서 2만6924톤(2016년)으로 15% 가량 감소했다.
급격하게 더워지는 한반도의 날씨 또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기상청의 서울 기준 3년간(2015~2017년) 날씨를 10년전의 3년간(2005~2007년)과 비교해본 결과 폭염일수가 2배 가까이 많아졌다.
2015년~2017년 7~8월 중 서울 기온이 33도 이상을 기록한 날은 총 40일로 나타났다. 2005년~2007년에는 총 22일이었다. 특히 사과 주산지로 꼽혔던 대구는 올 여름 총 44일 동안 한낮 기온이 33도를 넘는 찜통 더위에 시달렸다. 또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기온은 0.032도~0.74도 오른 데 반해 한반도는 두 배인 1.5도나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2020년에는 남부 전체, 2070년에는 한반도 대부분이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편 한반도 기후 변화에 따른 먹거리 지도 변화는 사과뿐만이 아니다. 제주에서 자라던 한라봉은 고흥, 거제, 나주로 올라오더니 이제는 충북 충주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충주 한라봉은 지역 명소인 탄금대에서 따온 '탄금향'이라는 이름으로 팔린다.
경북 경산이 주 산지였던 복숭아는 이제 강원도 춘천에서도 재배한다. 제주도에서만 키우던 패션 프루트는 김천, 구미, 진천에 이어 경기 평택까지 올라왔다. 여수, 통영은 망고와 아보카도를 재배하고 진주에서는 용과를 볼 수 있다.
임계 농협측은 "내년부터는 임계 자두도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마트 김교진 과일 바이어는 "이제 막 생산을 시작한 신진 산지로 아직 물량이 많지 않지만, 품질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도 있어 물량이 닿는 대로 가능한 많이 공급하고 싶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