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에 3271억 투입
첫 해 사업 성과미달 대학 사업비 삭감
2회연속 미달되면 정부지원대상서 '아웃'
【세종=뉴시스】백영미 기자 = 정부가 산학협력 대학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낸다.
올해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에 총 3271억원을 투입한다. 연차평가 결과 사업관리위원회가 정하는 일정 기준 미만인 성과미달 대학에 대해서는 첫 해 다음년도 사업비를 삭감하고 2회 연속 미달되면 사업단 계약을 해지하는 동시에 재진입 경쟁 대상(사업참가자격)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12년부터 5년간 추진해온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 후속으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LINC+는 올해 3271억원이 투입되는 최대 규모의 대학재정지원 사업이다.
정부는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등 4가지 유형을 통해 사업 참여 대학을 선정해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난 1월3일 LINC+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선발을 공고하고 접수를 받은 결과 총 104개 대학이 신청했다. 신청 대학은 권역별로 수도권 34곳, 충청권 21곳, 호남제주권 14곳, 대구경북강원권 18곳, 부산울산경남권 17곳이다. 이 중 총 55개 안팎의 대학이 지원대상이다. 해당 대학은 국가·지역산업과 연계해 신산업 분야를 창출하고 우수 인력 양성을 통한 청년 취·창업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대학의 기본 역량 평가(정량 평가)를 통과한 대학을 대상으로 다음달 24일까지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이 담긴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사업계획의 적정성, 타당성 등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80개교 내외(권역별 16교 내외)를 대면평가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면평가 이후 5개 권역별 10개교 내외, 전국 5개교 내외를 최종 지원대상 대학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평가지표는 대학별로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했다"며 "사업단 내 3개 단과대학 이상 참여, 기술혁신형 대학 외 대학원 참여 제한, 대학 간 연합모델 제한 등 기존 LINC사업상 제시된 사항이 폐지되고 핵심성과지표 배점 중 40%를 대학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전문대학의 특성과 기업의 수요에 맞춘 원스톱 기업지원, 예술 및 콘텐츠 등 산학협력 분야 확산, 실용기술 중심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한 산학협력 선순환에 초점을 맞췄다. 지원대상은 총 15개교 안팎이다. 교육부는 수도권·충청권+강원권·호남권+제주권·대경권·동남권 등 5개 권역별로 2개교 안팎을 선정하고, 전국단위 경쟁을 통해 5개교 안팎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방식은 일반대와 달리 1월20일까지 사업신청서, 2월28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해 정량 평가(20%)와 정성 평가(80%)를 동시에 진행한다. 정량 평가는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확보율 등 산학협력 기반 역량, 정성 평가는 대학이 자율적으로 수립한 사업계획의 타당성·적정성·실현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된다.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대학의 특성·여건과 기업의 수요에 맞춘 원스톱 기업지원 센터인 기업신속대응센터(URI) 설치·운영과 전문대형 R&D모델 개발이 사업의 핵심이 될 예정이다. 대학의 강점분야를 기반으로 기업 애로기술 지원, 핵심 아이디어 제공, 기술 이전 등 기업 지원의 창구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학생의 취업난과 기업의 구인난 해결에 초점을 맞췄다. 지원대상은 5개 권역 총 10개교 안팎의 대학과 전국단위에서 선정한 10개교 안팎의 대학을 합해 총 20개교 내외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해 장애인을 바이오산업에 채용하는 방안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제출한 대학 1곳을 우선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평가는 정량 평가(30%)와 사업계획서 평가(70%)로 이뤄진다. 정량 평가는 대학 및 사업단 단위의 사회맞춤형학과를 운영할 수 있는 추진여건과 역량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사회맞춤 교육역량, 취업·진로지도 역량, 산학협력 역량, 산업체 친화역량 등 4개 영역에서 평가지표 10개가 활용된다. 사업계획 평가의 경우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를 위한 비전, 교육과정 운영방안 및 성과관리 방안이 포함된다. 사업계획서 접수 기간은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참여 대학이 최종 선발되는 시점까지다.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전문대학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교육부는 5개 권역별로 7개교 내외를 선정한 후 전국단위로 9개교 내외를 선정해 총 44개교 안팎의 대학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해 장애인 채용 연계과정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제출한 대학 1곳을 우선 선정한다. 일반대와 달리 정량 평가(20%)보다 수행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추진계획평가(70%)에 비중을 두고 평가한다. 사업계획서 접수기간은 2월28일까지다.
LINC+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성과평가를 통해 사업계획 이행여부를 점검받게 된다. 한국연구재단이 LINC+ 사업성과와 사업관리를 전담한다. 1,3,4차년도 사업종료 후 실시되는 연차 평가 결과 성과미달 대학은 행·재정적 제재조치를 받게 된다. 처음으로 성과미달 판정을 받으면 다음년도 사업비가 삭감되고, 2회 연속 성과미달로 판정될 경우 사업단 계약이 해지되는 동시에 이후 사업참가 신청 자격이 박탈된다.
교육부는 연차평가 이후 하위 20% 안팎의 대학의 경우 신규 진입 희망 대학과 비교 평가해 결과가 좋지 않으면 사업 에 더 이상 참여하지 못하게 하고, 평가 결과가 좋은 진입 희망 대학을 사업에 참여하도록 했다.
사업 참여 대학 명단은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및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모두 4월 중 발표된다. 접수시기가 늦은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의 경우 6월 중 발표될 예정이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은 "대학의 여건과 특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이 지역산업을 혁신하고, 사회수요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첫 해 사업 성과미달 대학 사업비 삭감
2회연속 미달되면 정부지원대상서 '아웃'
【세종=뉴시스】백영미 기자 = 정부가 산학협력 대학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낸다.
올해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에 총 3271억원을 투입한다. 연차평가 결과 사업관리위원회가 정하는 일정 기준 미만인 성과미달 대학에 대해서는 첫 해 다음년도 사업비를 삭감하고 2회 연속 미달되면 사업단 계약을 해지하는 동시에 재진입 경쟁 대상(사업참가자격)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12년부터 5년간 추진해온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 후속으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LINC+는 올해 3271억원이 투입되는 최대 규모의 대학재정지원 사업이다.
정부는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등 4가지 유형을 통해 사업 참여 대학을 선정해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난 1월3일 LINC+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선발을 공고하고 접수를 받은 결과 총 104개 대학이 신청했다. 신청 대학은 권역별로 수도권 34곳, 충청권 21곳, 호남제주권 14곳, 대구경북강원권 18곳, 부산울산경남권 17곳이다. 이 중 총 55개 안팎의 대학이 지원대상이다. 해당 대학은 국가·지역산업과 연계해 신산업 분야를 창출하고 우수 인력 양성을 통한 청년 취·창업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대학의 기본 역량 평가(정량 평가)를 통과한 대학을 대상으로 다음달 24일까지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이 담긴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사업계획의 적정성, 타당성 등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80개교 내외(권역별 16교 내외)를 대면평가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면평가 이후 5개 권역별 10개교 내외, 전국 5개교 내외를 최종 지원대상 대학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평가지표는 대학별로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했다"며 "사업단 내 3개 단과대학 이상 참여, 기술혁신형 대학 외 대학원 참여 제한, 대학 간 연합모델 제한 등 기존 LINC사업상 제시된 사항이 폐지되고 핵심성과지표 배점 중 40%를 대학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전문대학의 특성과 기업의 수요에 맞춘 원스톱 기업지원, 예술 및 콘텐츠 등 산학협력 분야 확산, 실용기술 중심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한 산학협력 선순환에 초점을 맞췄다. 지원대상은 총 15개교 안팎이다. 교육부는 수도권·충청권+강원권·호남권+제주권·대경권·동남권 등 5개 권역별로 2개교 안팎을 선정하고, 전국단위 경쟁을 통해 5개교 안팎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방식은 일반대와 달리 1월20일까지 사업신청서, 2월28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해 정량 평가(20%)와 정성 평가(80%)를 동시에 진행한다. 정량 평가는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확보율 등 산학협력 기반 역량, 정성 평가는 대학이 자율적으로 수립한 사업계획의 타당성·적정성·실현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된다.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대학의 특성·여건과 기업의 수요에 맞춘 원스톱 기업지원 센터인 기업신속대응센터(URI) 설치·운영과 전문대형 R&D모델 개발이 사업의 핵심이 될 예정이다. 대학의 강점분야를 기반으로 기업 애로기술 지원, 핵심 아이디어 제공, 기술 이전 등 기업 지원의 창구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학생의 취업난과 기업의 구인난 해결에 초점을 맞췄다. 지원대상은 5개 권역 총 10개교 안팎의 대학과 전국단위에서 선정한 10개교 안팎의 대학을 합해 총 20개교 내외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해 장애인을 바이오산업에 채용하는 방안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제출한 대학 1곳을 우선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평가는 정량 평가(30%)와 사업계획서 평가(70%)로 이뤄진다. 정량 평가는 대학 및 사업단 단위의 사회맞춤형학과를 운영할 수 있는 추진여건과 역량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사회맞춤 교육역량, 취업·진로지도 역량, 산학협력 역량, 산업체 친화역량 등 4개 영역에서 평가지표 10개가 활용된다. 사업계획 평가의 경우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를 위한 비전, 교육과정 운영방안 및 성과관리 방안이 포함된다. 사업계획서 접수 기간은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참여 대학이 최종 선발되는 시점까지다.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전문대학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교육부는 5개 권역별로 7개교 내외를 선정한 후 전국단위로 9개교 내외를 선정해 총 44개교 안팎의 대학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해 장애인 채용 연계과정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제출한 대학 1곳을 우선 선정한다. 일반대와 달리 정량 평가(20%)보다 수행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추진계획평가(70%)에 비중을 두고 평가한다. 사업계획서 접수기간은 2월28일까지다.
LINC+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성과평가를 통해 사업계획 이행여부를 점검받게 된다. 한국연구재단이 LINC+ 사업성과와 사업관리를 전담한다. 1,3,4차년도 사업종료 후 실시되는 연차 평가 결과 성과미달 대학은 행·재정적 제재조치를 받게 된다. 처음으로 성과미달 판정을 받으면 다음년도 사업비가 삭감되고, 2회 연속 성과미달로 판정될 경우 사업단 계약이 해지되는 동시에 이후 사업참가 신청 자격이 박탈된다.
교육부는 연차평가 이후 하위 20% 안팎의 대학의 경우 신규 진입 희망 대학과 비교 평가해 결과가 좋지 않으면 사업 에 더 이상 참여하지 못하게 하고, 평가 결과가 좋은 진입 희망 대학을 사업에 참여하도록 했다.
사업 참여 대학 명단은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및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모두 4월 중 발표된다. 접수시기가 늦은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의 경우 6월 중 발표될 예정이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은 "대학의 여건과 특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이 지역산업을 혁신하고, 사회수요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