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올댓차이나]중 4대은행, 올 상반기 부실대출 22조원 상각처리

기사등록 2016/08/31 16:34:16

최종수정 2016/12/28 17:35:06

【서울=뉴시스】 박영환 기자 = 중국의 4대 국유은행이 올해 상반기에만 무려 22조원에 가까운 부실 대출금을 장부에서 털어버린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둔화로 회사채나 대출금을 제 떄 갚지 못하는 기업들이 속출하며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실을 선제적으로 상각처리해 하반기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30일(현지시간)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공상은행, 중국농업은행, 중국건설은행, 중국은행을 비롯한 4대 국유 은행이 올해 상반기에만 모두 195억 달러(약 21조7932억원)에 달하는 부실 대출을 대손충당처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44%이상 증가한 규모다.

 대손충당이란 은행이 가계나 기업 등에 빌려준 대출금을 떼일 우려가 있을 때 이를 미리 잠재적 손실로 분류하고 쌓아두는 돈을 뜻한다. 대출금 등 각종 채권의 회수 여부를 미리 저울질해 비용처리하는 것이다.

 중국 4대은행의 이러한 부실대출 상각은 ▲경기 둔화로 올들어 중국 기업들의 부도가 증가하고 ▲지난 2012년 이후 인민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예대 마진이 주는 등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나왔다. 원리금을 제 때 상환하지 못하는 부실 대출이 계속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선제적인 대응에 나섰다는 뜻이다.

 WSJ은 이러한 대규모 대손 처리의 이면에는 은행 시스템의 건전성 악화를 우려하는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은감회) 등 금융당국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은행감독당국은  올들어 은행권이 수익성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수익 자산관리 상품 등에 손을 대자 규제의 강도를 단계적으로 높여왔다.  

 하지만 WSJ은 이번 상각 조치를 부실 해소의 첫단계로 보면서도  부실대출의 실상이 드러난 것에 비해 더 심각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경우 은행 대출금을 부실 채권으로 분류하는 잣대가 국제기준에 비해 느슨하고 자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호한 규정은 중국의 대형 국유 은행이라고 해서 비켜가지는 않는다. 중국 4대 은행의 하나인 중국건설은행은 앞서 지난 2분기 부실 대출이 9.6% 증가했다고 밝혔지만, 같은 기간 특별언급(special-mention) 대출은 12.5% 증가한 것으로 집계했다. '특별언급'과 '부실대출'을 가르는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는 뜻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국제기준을 적용하면 중국 은행권의 부실대출 규모는 15%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중국정부 공식 발표치인 1.75%에 비해 10배 가까이 높은 규모다. 국제 기준은 90일 이상 연체 상태인 대출을 부실대출로 분류하고 있다. 번스타인리서치의 허우웨이는 “이는 수개월안에 중국내 무수익 여신이 다시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금융 당국의 은행 출자전환 계획도 부실을 부추길 또 다른 변수로 꼽혔다. 출자전환은 은행이 부실 채권을 해당 기업의 주식으로 바꾸게 한다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은행권은 이 ‘보유 주식’에 대해 통상 대출금보다 자본금을 더 많이 쌓아야 하며, 비상장 기업의 주식을 평가하는 것도 결코 간단치 않은 작업이라고 WSJ는 지적했다.

 WSJ은 지난 3월 만기가 돌아온 회사채를 갚지 못한 국유기업 동베이특수강의 사례를 적시했다. 중국에서는 은행과 보험사들이 기업들이 발행한 회사채의 3분의 2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채권발행 기업이 원금을 상환하지 못하면, 이 채권을 보유한 은행이나 보험사들이 출자전환 프로그램에 따라  채권을 주식으로 바꿔 보유해야 한다.하지만 여러 금융 기관들이 얽혀 있어 이는 결코 간단한 작업이 아니라는 것이다.

 WSJ은 중국내 부실대출 문제는 서류 상에 노출된 것에 비해 더 심각할 수 있다며 국제통화기금이 중국의 은행감독기구인 은감회를 상대로 국제 기준을 압박하고 있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올댓차이나]중 4대은행, 올 상반기 부실대출 22조원 상각처리

기사등록 2016/08/31 16:34:16 최초수정 2016/12/28 17:35:06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