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유희연 기자 = 척추 건강을 위한다며 허리를 꼿꼿하게 펴 상체를 일자형으로 유지하는 사람들이 있다.
허리는 구부정하지 않게 바르게 편 것이 올바른 자세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정도가 너무 과하면 몸이 펼쳐지는 범위가 정상치를 벗어나는 '과신전'이 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 세진정형외과는 척추 펴기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척추를 일자로 변형시켜 목과 어깨 등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10일 경고했다.
정상훈 세진정형외과 원장은 "척추가 일자가 되면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상부 흉추의 힘으로만 버티게 돼 목을 앞으로 빼게 되고, 목 주변과 어깨로 이어지는 근육의 긴장을 증가시켜 뻣뻣함과 무거움, 더 나아가 통증을 가져온다"고 설명했다.
병원 측에 따르면 바른자세를 유지하는 기능이 약해지면 일자목, 거북목증후군, 척추후만증, 골반과절증, 휜다리 등의 자세성 질환을 가져올 위험도 크다.
정 원장은 "척추는 정면에서 봤을 때 일자모양이고, 측면에서는 S자 모양이 돼야 정상"이라며 "허리와 목, 어깨 등에 통증이 생겼다면 병원을 찾아 전문의에게 올바른 처방을 받고, 치료와 더불어 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이어 "운동 부족과 바른 자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부족해지면서 척추 모양이 망가져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척추 건강을 위한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ovely_jh@newsis.com
허리는 구부정하지 않게 바르게 편 것이 올바른 자세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정도가 너무 과하면 몸이 펼쳐지는 범위가 정상치를 벗어나는 '과신전'이 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 세진정형외과는 척추 펴기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척추를 일자로 변형시켜 목과 어깨 등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10일 경고했다.
정상훈 세진정형외과 원장은 "척추가 일자가 되면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상부 흉추의 힘으로만 버티게 돼 목을 앞으로 빼게 되고, 목 주변과 어깨로 이어지는 근육의 긴장을 증가시켜 뻣뻣함과 무거움, 더 나아가 통증을 가져온다"고 설명했다.
병원 측에 따르면 바른자세를 유지하는 기능이 약해지면 일자목, 거북목증후군, 척추후만증, 골반과절증, 휜다리 등의 자세성 질환을 가져올 위험도 크다.
정 원장은 "척추는 정면에서 봤을 때 일자모양이고, 측면에서는 S자 모양이 돼야 정상"이라며 "허리와 목, 어깨 등에 통증이 생겼다면 병원을 찾아 전문의에게 올바른 처방을 받고, 치료와 더불어 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이어 "운동 부족과 바른 자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부족해지면서 척추 모양이 망가져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척추 건강을 위한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ovely_jh@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