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휴진' 의사들, 여의도 집결…"의료농단 저지" 집회

기사등록 2024/06/18 11:30:37

최종수정 2024/06/18 12:34:51

의협, 오후2시 전국의사총궐기대회 개최

개원의·봉직의·의대교수·전공의 등 참여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대한의사협회가 의대 증원등 의료개혁을 규탄하는 집단 휴진에 나선 18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소아청소년과를 찾은 엄마와 아이가 발길을 돌리고 있다. 2024.06.18.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대한의사협회가 의대 증원등 의료개혁을 규탄하는 집단 휴진에 나선 18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소아청소년과를 찾은 엄마와 아이가 발길을 돌리고 있다. 2024.06.1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8일 정부의 의대 증원 등 의료개혁을 규탄하기 위한 집단 휴진(총파업)과 집회에 나선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이날 집단 휴진과 함께 오후 2시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동네 병의원 의사(개원의), 봉직의, 의대교수, 전공의, 의대생 등이 참여하는 '전국 의사 총궐기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집회는 '정부가 죽인 한국의료, 의사들이 살려낸다'라는 부제로 임현택 의협 회장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김교웅 의협 대의원회 의장의 격려사, 의료계 관계자들의 연대사 등이 이어질 예정이다. 의협은 이날 향후 의료 정상화 방안도 발표할 계획이다.

의협은 정부가 의대 증원 재논의를 포함한 의료계의 3대 대정부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예정대로 이날 집단 휴진에 들어가기로 했다.

의협은 지난 17일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18일 범 의료계 집단휴진을 하고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면서 "불가피하게 국민들께 불편을 드리는 소식을 전하게 돼 참으로 안타깝고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료계는 집단행동만큼은 피하기 위해 지난 16일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수정·보완,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소급 취소 등 3대 대정부 요구안을 제시했지만 정부는 끝내 의료계의 진심을 외면하고 무참히 거부했다"고 말했다.

또 "의협을 비롯한 범의료계는 불가피하게 18일 집단휴진을 하고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개최해 정부의 잘못된 의료정책 추진이 국민 생명과 건강에 엄청난 위협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리기로 했다"면서 "이번 휴진과 궐기대회는 의사들만의 밥그릇을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부의 잘못된 의료정책으로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붕괴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료계의 처절한 몸부림"이라고 했다.

이날 의협 차원에서 동네 병의원의 휴진 참여율을 공개할 지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사전에 파악한 휴진 신고율은 4% 정도다.

다만 휴진 신고를 하지 않은 동네 병의원 규모와 지방에서 버스로 서울로 올라오는 인원 등도 고려해야 해 실제 휴진 참여율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의협 총파업 투표 결과 90.6%가 의협의 투쟁에 찬성했고, 73.5%는 휴진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성균관대 의대 소속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교수들은 이날 전국의사총궐기대회와 집단 휴진에 전국의대교수협의회와 함께 참여하기로 했다. 세브란스병원·서울성모병원·서울아산병원도 이날 휴진에 동참키로 했다.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학교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들이 전날 무기한 휴진(응급·중환자 진료 및 중증·희귀질환·신장투석·분만 등 제외)에 들어간 가운데 이날 동네병원과 대학병원 등이 휴진에 동참하면 의료 현장에서 혼란이 빚어질 우려가 있다.

이날 휴진을 앞두고 의대 교수들과 동네 병의원 의사들은 외래 진료를 축소·휴진하거나 정규 수술·시술·검사 등의 일정을 연기했지만 외래 진료나 수술 등이 미뤄지는 환자들은 다소 불편을 겪을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집단 휴진' 의사들, 여의도 집결…"의료농단 저지" 집회

기사등록 2024/06/18 11:30:37 최초수정 2024/06/18 12:34:51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