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김포 말라리아 경보…진단키트 무료 배부
올 여름 더 덥다는데…일본뇌염 모기 기승 우려
'긴 옷' SFTS·쯔쯔가무시 등 예방수칙 철저해야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이른 더위에 말라리아 환자가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발생하면서 파주·김포 등 위험지역에서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을 할 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말라리아 매개 모기 외에도 일본뇌염 모기나 일명 '살인진드기'라 불리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보유한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리면 중증 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만큼 야외활동을 할 때 예방에 철저를 기하는 것이 좋다.
17일 질병관리청의 말라리아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말라리아 환자 수는 173명으로 전년 동기간(53명) 대비 3.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라리아는 열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모기매개감염병으로, 우리나라는 매년 400명 수준으로 환자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 환자의 90% 이상은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4~10월에 발생한다.
국내에 토착화된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리아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돼 사망사례는 거의 없다. 48시간 주기로 오한, 발열, 발한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사람 간 직접 전파는 이뤄지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휴전선 근방, 즉 인천과 경기 북부, 강원도 북부 등 30개 시군구가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올해 말라리아 군집추정사례는 총 10건(경기 9건, 서울 1건)이 나타났다. 3명 이상 군집추정사례가 발생한 파주시 및 김포시에 대해 경기도의 경우 지난 1일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한 상태다.
다만 아프리카 대륙 등 해외에서 유입되는 열대열 말라리아는 감염됐다면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방역 당국은 "신속한 치료가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예방과 치료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염되면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돼 환자의 20~30%가 사망할 수 있는 일본뇌염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3월23일 제주와 부산 지역에서 올해 처음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확인됨에 따라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보다 19일 빨라진 것이다. 지난 4월12일에는 전남, 지난 7일 대구, 지난 8일 울산에서도 매개모기가 발견됐다.
일본뇌염 모기(작은빨간집모기)는 주로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매년 6월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고 7~9월 밀도가 높아지며 10월 말까지도 나타난다.
이처럼 다양한 감염병의 매개체인 모기는 25~32도 사이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32도가 넘는 고온의 날씨에서는 활동이 줄어든다. 당장 이번 주말 올해 첫 폭염특보가 발령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최고온도 30도 안팎의 기온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만큼 올 여름 모기가 더 기승을 부릴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말라리아 등 모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에 야외활동을 가능한 자제해야 한다. 야간에 외출할 경우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기피제를 뿌리면 도움이 된다. 실내에 모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정비하거나 모기장을 사용하고, 살충제를 구비해 적절히 사용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특히 파주·김포 등 말라리아 경보 발령지역 거주자는 관내 보건소에서 무료로 신속진단키트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예방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말라리아 매개 모기 외에도 일본뇌염 모기나 일명 '살인진드기'라 불리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보유한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리면 중증 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만큼 야외활동을 할 때 예방에 철저를 기하는 것이 좋다.
17일 질병관리청의 말라리아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말라리아 환자 수는 173명으로 전년 동기간(53명) 대비 3.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라리아는 열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모기매개감염병으로, 우리나라는 매년 400명 수준으로 환자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 환자의 90% 이상은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4~10월에 발생한다.
국내에 토착화된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리아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돼 사망사례는 거의 없다. 48시간 주기로 오한, 발열, 발한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사람 간 직접 전파는 이뤄지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휴전선 근방, 즉 인천과 경기 북부, 강원도 북부 등 30개 시군구가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올해 말라리아 군집추정사례는 총 10건(경기 9건, 서울 1건)이 나타났다. 3명 이상 군집추정사례가 발생한 파주시 및 김포시에 대해 경기도의 경우 지난 1일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한 상태다.
다만 아프리카 대륙 등 해외에서 유입되는 열대열 말라리아는 감염됐다면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방역 당국은 "신속한 치료가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예방과 치료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염되면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돼 환자의 20~30%가 사망할 수 있는 일본뇌염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3월23일 제주와 부산 지역에서 올해 처음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확인됨에 따라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보다 19일 빨라진 것이다. 지난 4월12일에는 전남, 지난 7일 대구, 지난 8일 울산에서도 매개모기가 발견됐다.
일본뇌염 모기(작은빨간집모기)는 주로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매년 6월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고 7~9월 밀도가 높아지며 10월 말까지도 나타난다.
이처럼 다양한 감염병의 매개체인 모기는 25~32도 사이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32도가 넘는 고온의 날씨에서는 활동이 줄어든다. 당장 이번 주말 올해 첫 폭염특보가 발령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최고온도 30도 안팎의 기온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만큼 올 여름 모기가 더 기승을 부릴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말라리아 등 모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에 야외활동을 가능한 자제해야 한다. 야간에 외출할 경우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기피제를 뿌리면 도움이 된다. 실내에 모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정비하거나 모기장을 사용하고, 살충제를 구비해 적절히 사용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특히 파주·김포 등 말라리아 경보 발령지역 거주자는 관내 보건소에서 무료로 신속진단키트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예방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야외활동이 많아지면서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 의한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
SFTS는 3~11월에 유행한다. 전날 제주시에서도 30대 A씨가 제주시 소재 오름에서 야외활동을 하다가 진드기에 물려 SFTS에 감염됐다.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없고 치사율은 10~30%에 달해 매우 높다. 이 때문에 매개가 되는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이른바 '살인 진드기'라고 불린다. 바이러스를 보유한 이 진드기에게 물리면 6~14일의 잠복기를 거쳐 38~40도의 고열과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인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은 털 진드기 유충에 물리면 잠복기 1~3주 이내 고열, 오한, 근육통, 발진 등의 증상과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완치가 가능하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야외활동 시 긴 옷을 착용해야 한다. 풀밭 위에 바로 앉지 말고 작업용 방석이나 돗자리, 의자 등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약국에서 파는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 외출 후에는 목욕, 작업복 분리 세탁 등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