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광주교도소 신원미상 유골 40여구 발견, 법무부 미관리 대상
2002년~2017년 수차례 5·18 암매장 발굴·조사에도 끝내 못찾아
공식적으로 인정된 5·18행불자는 84명, 이중 6명만 신원 확인돼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 암매장지로 꼽히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신원 미상의 유골 40여구가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유골이 5·18행불자로 확인될 경우 조만간 출범할 5·18진상조사위원회의 행불자 조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5·18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법무부는 이날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무연고 분묘 개장 작업 중 신원을 알 수 없는 유골 40여구를 찾았다.
당초 법무부 관리대장에는 이곳에 유골 111구가 묻혀 있는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러나 이날 개장 작업 결과 기록에 없던 40여구의 유골이 추가로 발견됐다.
법무부는 관계 기관과 협력해 해당 유골의 유전자 검사를 진행, 정확한 신원을 확인할 방침이다.
5·18단체는 해당 유골이 1980년 5·18 당시 계엄군에게 희생돼 암매장된 행방불명자일 가능성을 열어두고 신원 확인 작업을 지켜볼 방침이다.
지난 39년간 공식적으로 인정된 5·18행불자는 모두 84명이다. 이 중 6명만이 지난 2002년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신원이 확인됐다.
6명 모두 계엄군 총격으로 숨졌고, 이중 2명은 1980년 5월23일 광주 주남마을 앞 버스 총격사건으로 숨져 암매장됐다가 같은 해 6월3일 발굴됐다. 심한 부패와 감식 기술이 없던 탓에 22년만에 감식으로 신원이 밝혀졌다.
광주시는 지난 1997년부터 5·18암매장 제보를 받기 시작했다. 그해부터 2009년까지 모두 6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이 중 9곳에 대해 3차례 발굴 작업이 진행됐으나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중복된 12곳과 신고가 부실한 46곳은 조사하지 않았다.
1차는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광산구 소촌동 공동묘지, 광산구 삼도동, 광주통합병원 담장 밑, 황룡강 제방, 상록회관 옆 도로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당시 광산구 소촌동 공동묘지와 광산구 삼도동에서 유골 등이 발굴됐지만, 일치하는 유가족이 없어 시립공원에 안장됐다. 나머지 3곳에서는 인골로 추정되는 뼛조각 등이 발견돼 유전자 감식을 했지만 동물 뼈였다.
2차 발굴은 2006년 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진행됐다. 문화예술회관 관리동 뒤편 화단과 북구 장등동 야산 등 2곳에 대한 발굴이 진행됐지만 유골 등이 발굴되지 않았다.
3차 발굴은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남구 주월동 아파트 건설현장, 북구 효령동산에 대해 이뤄졌다. 유골 140점 등이 발굴됐지만 유전자 감식 결과 '관련성 없음'으로 결론 났다.
암매장지 발굴 작업은 8년 만인 2017년 11월6일부터 옛 광주교도소에서 재개됐다.
5·18재단은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으로부터 2.5∼5.0m 떨어진 117m 구간을 유력한 암매장지로 추정하고 발굴 조사에 나섰지만 암매장 관련 흔적은 찾지 못했다.
이후 북쪽 담장 울타리 넘은 공터, 서쪽 담장 주변, 감시탑 주변과 화순 너릿재 터널 인근 등 제보자들이 지목한 곳에서도 끝내 발굴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조진태 5·18재단 상임이사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굴된 신원 미상 유골 40여구를 계기로 정부기관과 곧 출범할 5·18진상조사위원회가 암매장 발굴 작업과 실종자 찾기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광주교도소는 5·18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들이 주둔했던 곳이다. 5·18 직후 교도소 관사 뒤에서는 시신 8구, 교도소 앞 야산에서는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발견됐다.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80년 5월31일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이른바 '교도소 습격 사건'으로 민간인 27명(보안대 자료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돼 있다. 단순 계산으로도 16~17명의 신원과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소 52명이 교도소 내에서 사망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