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공방….한동훈 "이재명, 제주 아픔만 이용" 이 "국힘, 4.3 학살 후예 한, 사과해야”

기사등록 2024/04/03 22:00:00

최종수정 2024/04/03 22:07:29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오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6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 참석을 위해 제주지역 총선 후보들과 입장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사진기자회) 2024.04.03. woo1223@newsis.com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오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6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 참석을 위해 제주지역 총선 후보들과 입장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사진기자회) 2024.04.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여야는 3일 제주 4·3사건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주의 아품만 이용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민주당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4·3추념식 불참을 부각하면서 국민의힘은 4·3 학살의 후예라고 날을 세웠다.

한동훈 위원장은 이날 오후 강원 춘천 지원 유세 현장에서 "오늘 이재명 대표가 제주 4·3의 책임이 우리 당에 있다고 얘기했다"며 "이 대표 같은 분이야말로 제주 역사의 아픔을 정치적으로 이용만 해왔지, 실제 그 아픔을 보듬기 위해 행동한 것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민들이 정말 원하는 건 4·3과 관련한 직권 재심을 군사법원이 아니라 일반법원까지 확대하는 것이었다"며 "문재인 정권은 그걸 해주지 않았다. 제가 법무부 장관이 된 다음에 그걸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베 출신 이재명 대표한테 질문한다"며 "말로만 4·3을 이용하는 것과, 실제로 직권 재심을 확대해서 실천하는 것 중에 어떤 게 역사를 제대로 보는 건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제가 장관이 되고 보니 왜 문재인 정권이 (직권 재심 확대를) 안 해줬는지 알겠더라"라며 "모든 기록을 손으로 하나하나 샅샅이 뒤져야 했다. 귀찮고 손이 많이 가서 해주지 않은 것"이라고 꼬집었다.

반면 이재명 대표는 같은날 오전 제주에서 열린 추념식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나 "제주 4·3 학살의 후예라고 할 수 있는 정치집단이 바로 국민의힘"이라며 " "국민의힘은 여전히 (제주) 4·3 사건을 폄훼하고 있다"고  쏘아붙였다.

이 대표는 "제대로 된 인식을 갖고 있다면 말로만 할 게 아니라 4·3 사건을 폄훼하는 인사들에 대해 불이익을 줘야 마땅하다"며 "이번 총선에서도 공천장을 줘서 국회의원이 될 상을 주고 있다. 공천 취소가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동훈 위원장 등이 추념식에 불참한 것에 대해서도 "국민의힘이 지금이라도 이 행사에 참여하지 않는 것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 제주 후보들이 제주 4·3을 왜곡하면 처벌하는 내용의 법안을 총선 공약으로 내놓은 것에 대해서는 "역사에 대한 평가는 자유로울 수 있지만 악의를 갖고 역사를 왜곡하고 사실을 조작하고 또 유족과 피해자들을 고통 속으로 밀어 넣는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춘천=뉴시스] 조성봉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후 강원 춘천시 춘천신협 앞에서 열린 한기호 춘천철원화천양구을, 김혜란 춘천철원화천양구갑 후보의 선거 지원 유세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2024.04.03. photo@newsis.com
[춘천=뉴시스] 조성봉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후 강원 춘천시 춘천신협 앞에서 열린 한기호 춘천철원화천양구을, 김혜란 춘천철원화천양구갑 후보의 선거 지원 유세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2024.04.03.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4·3 공방….한동훈 "이재명, 제주 아픔만 이용" 이 "국힘, 4.3 학살 후예 한, 사과해야”

기사등록 2024/04/03 22:00:00 최초수정 2024/04/03 22:07:29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