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원전 오염수 유출에…中 "관련 정보 공개해야"(종합)

기사등록 2024/02/08 19:07:07

최종수정 2024/02/08 19:55:28

[후타바(후쿠시마현)=AP/뉴시스]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명 처리수) 정화장치 배출구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발견했다고 일본 후쿠시마 중앙TV가 7일 보도했다. 사진은 지난해 8월 27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운영 중인 오염수 희석배출시설의 해수운반용 파이프라인 모습. 2024.2.8
[후타바(후쿠시마현)=AP/뉴시스]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명 처리수) 정화장치 배출구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발견했다고 일본 후쿠시마 중앙TV가 7일 보도했다. 사진은 지난해 8월 27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운영 중인 오염수 희석배출시설의 해수운반용 파이프라인 모습. 2024.2.8
[베이징=뉴시스]박정규 특파원 =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오염수(일본명 처리수)가 누출된 데 대해 중국이 "내부 관리의 혼란을 재차 드러냈다"며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국제사회의 감독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누출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왕 대변인은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유출사고는 도쿄전력 내부 관리의 혼란과 무질서 등이 고질적이며 바뀌기 어렵다는 점을 재차 보여준 것"이라면서 "일본은 사고와 관련된 정보를 전면적이고 투명하게 즉시 공표할 책임이 있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일본의 해양 방류 계획은 30년 또는 심지어 더 긴 기간"이라며 "일본이 앞으로 배출 관리를 안전하게 해낸다고 확신할 수 있겠나. 후쿠시마 핵 오염수 정화장치와 방류시설이 장기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겠느나"고 우려했다.

왕 대변인은 "이번 사고는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국제 감시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그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시켰다"면서 "독립적이고 효과적인 장기 국제 감시계획을 전면적으로 수립해 주변 이웃국가 등 이해관계자가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주(駐)일본 중국대사관도 이날 대변인 명의의 입장문을 내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베이징=뉴시스]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누출사고에 대해 비판하면서 관련 정보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지난 2일 정례브리핑을 주재하는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사진=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갈무리) 2024.2.8 photo@newsis.com
[베이징=뉴시스]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누출사고에 대해 비판하면서 관련 정보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지난 2일 정례브리핑을 주재하는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사진=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갈무리) 2024.2.8 [email protected]
대사관은 "도쿄전력의 내부 관리가 혼란스럽고 무질서함을 충분히 드러냈다"며 "국제사회의 감독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고의 후폭풍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일본 측은 관련 정보를 신속히 공개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앞서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정화장치 배출구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발견했다고 일본 후쿠시마 중앙TV가 7일 보도했다.

도쿄전력은 유출된 약 5.5t의 오염수에 세슘과 스트론튬 등 방사성 물질 220억 베크렐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누출된 물 대부분은 토양으로 스며든 것으로 보이며 도쿄전력은 오염수가 유출된 지역을 출입금지 구역으로 제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日 원전 오염수 유출에…中 "관련 정보 공개해야"(종합)

기사등록 2024/02/08 19:07:07 최초수정 2024/02/08 19:55:28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