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부산엑스포 지원 대장정 마쳐 "17개월 동안 지구 6바퀴"

기사등록 2023/11/23 11:22:23

최종수정 2023/11/23 13:01:29

다자 외교 무대 활용해 부산 엑스포 유치 지원 활동

BIE 실사단 국회 방문 당시 초당적 유치결의문 전달

"유치 확정시 즉각 특별법 제정" 실사단 "한국 의지 확인"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김진표 국회의장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파트릭 슈페히트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장 및 실사단에게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 유치 및 개최를 위한 결의문을 전달하고 있다. 2023.04.03.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김진표 국회의장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파트릭 슈페히트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장 및 실사단에게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 유치 및 개최를 위한 결의문을 전달하고 있다. 2023.04.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강주희 기자 = 김진표 국회의장이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지원을 위한 17개월의 대장정을 마쳤다. 지난해 취임 일성으로 '부산 엑스포 유치'를 핵심 과제를 꼽은 김 의장은 75개국을 찾아 부산의 유치 의지를 피력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23일 국회의장실에 따르면 김 의장은 지난 11일부터 멕시코·칠레 등 중남미 국가와 제9차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를 찾아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막판 총력전을 펼쳤다. 2030엑스포 개최지는 오는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182개 국제박람회기구(BIE) 회원국의 익명 투표로 결정된다. 부산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와 경쟁하고 있다.

김 의장은 믹타 국회의장회의에서 튀르키예·호주·인도네시아·멕시코 등 4개국 의회 의장들에게 최종 투표시까지 부산엑스포를 지지해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당초 사우디와 이탈리아 지지를 표명한 국가들에게 1차 투표 이후 부산을 지지해줄 것을 요청하는 등 득표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순방 직후에는 막바지 지지세 확보를 위해 150여개 BIE 회원국 의회 의장들에게 부산엑스포 지지를 요청하는 서한도 발송했다.

김 의장은 그동안 개발도상국과 중진국을 중심으로 ▲부산 엑스포가 한국의 발전 경험 및 경제발전 모델을 공유하고 ▲ODA(공적개발원조) 지원을 확대해 한국 대기업의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그는 아프리카와 동유럽, 중앙아시아 등 고위층 인사를 만날 때마다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나 반세기만에 선진국으로 도약한 한국은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성장한 유일한 사례"라며 "2030 부산엑스포는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을 각국에 공유해 지속가능한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상대국과 협력하는 관계를 활용해 부산엑스포 지지를 요청했다. 김 의장은 지난해 9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초청해 상하이 엑스포(2010년),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년) 등 중국의 국가적 행사에 한국이 적극 참여·지지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튀르키예의 경우 한국전 참전으로 피를 나눈 혈맹이라는 점을, 카타르에게는 국제무대에서 상호 지지하는 입장을 부각하는 등 한국의 외교적 관계를 다각적으로 활용해 부산엑스포 유치를 요청했다.

아울러 다자외교 무대를 활용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폴란드, 루마니아, 스페인, 포르투갈, 르완다, 탄자니아를 찾아 부산 엑스포 지지 의사를 확인하는데 유치 집중 활동을 벌였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김진표 국회의장이 지난 6일 케냐를 방문해 아프리카 주요국 인사들 초청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교식 글로벌투게더 이사장, 정운진 외교특임대사, 김 의장, 홍순영 수출입은행 부행장, 안병윤 부산시 행정부시장. (사진=국회 제공) 2023.10.1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김진표 국회의장이 지난 6일 케냐를 방문해 아프리카 주요국 인사들 초청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교식 글로벌투게더 이사장, 정운진 외교특임대사, 김 의장, 홍순영 수출입은행 부행장, 안병윤 부산시 행정부시장. (사진=국회 제공) 2023.10.1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김 의장은 지난해 7월 취임 기자회견에서 "부산 엑스포 유치 노력은 여야가 따로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첫 출장지로 부산엑스포 예정지인 부산북항재개발홍보관을 방문해 "부산이 싱가포르나 홍콩보다 더 뛰어난 글로벌 허브도시가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1월에는 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김영주·정우택 국회부의장을 공동위원장으로 위촉했다. 국회가 여야를 대표하는 양당 국회부의장을 중심으로 전략적인 '세일즈 외교'를 펼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김 의장은 경제·통상·외교 등 주요 분야 전문성을 갖춘 학계·정계·재계·정부 고위인사 총 32명을 위원으로 구성함으로써 국회·정부·민간이 통합적·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 4월에는 BIE 실사단이 국회를 방문하자 직접 영접하며 환대하기도 했다. 김 의장은 이 자리에서 여야 만장일치로 채택한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 유치 및 개최를 위한 결의문'을 실사단에게 전달하며 "부산엑스포 유치가 확정되면 즉각 특별법을 제정해 법률적·예산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슈페히트 실사단장은 "초당적 지원에 대한 한국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화답했다. 케르켄테즈 BIE 사무총장도 "한국이 국제행사에 대한 역사와 경험이 많다"면서 "이러한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하나 되어 행사 유치를 지원했던 것으로 알고있다. 결과 발표 이후에도 법제적 지원이 적기에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답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김진표, 부산엑스포 지원 대장정 마쳐 "17개월 동안 지구 6바퀴"

기사등록 2023/11/23 11:22:23 최초수정 2023/11/23 13:01:29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