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홍범도 흉상 논란에 "어떤 게 옳은지 생각해봤으면 해"(종합)

기사등록 2023/08/30 20:48:45

최종수정 2023/08/30 21:05:24

대통령실 참모들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 출석

조태용 "공산당 삶 생도들 롤모델 될수 있나"

"대통령실은 결정 안할것…국방장관에 일임"

남로당 박정희-홍범도 비교엔 "동의 못해"

김대기 "박정희는 국군 전향...홍과는 달라"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3.08.30.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3.08.3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미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과 관련해 "어떤 것이 옳은 일인지 생각해봤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30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윤 대통령의 해당 논란과 관련한 입장을 전했다.

조 실장은 "(홍범도 장군에 대한)문제제기는 아주 좁혀서 봐야한다. 장군 전체 삶이 아니라 그 후반부의 삶, 즉 소련 공산당 당원으로서의 삶과 육사라고 하는 특수한 기관에서  생도들이 롤모델로 삼아야 될 분을 찾는 기준으로 봤을때 이 둘이 잘 맞겠느냐 하는 문제의식을 갖고 검토하고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국방부에서 그런 점들을 고려해 판단을 하고 있고, 국방부 장관이 주도해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안보실로서는, 대통령실로서는 어떤 방침을 가지고 있지 않고 국방부 장관에 위임할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또 "홍범도 장군 뿐 아니라 독립영웅에 대해 육사 생도의 사표가 될수 있는지 기준은 대통령실은 어떤 결정도, 방향도 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명히 말씀드린다. 국방부 장관이 판단하는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조 실장은 '홍범도 장군 논란으로 국민들이 정권이 바뀔때마다 아주 혼란을 겪고 있다'는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2018년(문재인 정부 당시)에 흉상을 (육사에)세우기 전에 이런 부분들이 다 걸러져서 의견 수렴이 됐으면 참 좋았었겠다하는 생각을 가진다"고 말했다.

임종득 안보실 2차장도 "홍범도 장군의 독립투쟁 과정에서의 공적은 인정한다. 모든 전투에서"라면서도 "자유시 참변 이후 보였던 행적을 고려하면 육사 생도들이 있는 곳에 (흉상이) 있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했다.

또 '공산당 경력을 문제삼아 흉상을 이전해야 한다는 문제제기와, 이에 동조하는 정부의 판단이 올바른가"라는 유정주 의원의 질문에도 "그렇다"고 했다.

이날 대통령실 참모들은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과 관련해 소련 공산당에 가입했던 홍 장군과 남로당에 가입한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 같은 잣대로 판단해야 한다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했다.

김대기 비서실장은 '홍범도 장군 공산당 경력을 문제삼아 흉상을 이전해야 한다면, 남로당 가입과 반란 기도를 한 박정희 전 대통령 친필 휘호가 육사에 있는건 응당한가'라는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박정희 대통령하고 비교하면 좀 그렇다. 나중에 우리 국군으로 오신 분하고(어떻게 비교를 할수 있나)"고 답했다.

유 의원이 '남로당과 소련 공산당이 뭐가 다른가'라고 재차 묻자 김 실장은 "전향을 하신 것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또 "전향하신 분은 공산당으로 볼수 없다"고도 했다.

조태용 안보실장도 "박정희 전 대통령이 공산당원이었던건 맞다"면서 "하지만 국가발전을 위해 20년 이상 노력했고 우리나라를 빈곤의 수렁에서 커다란 나라로 발전하는데 가장 큰 공이 있지 않나. 이걸 종합적으로 판단하는게 맞지 않겠나"고 반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윤, 홍범도 흉상 논란에 "어떤 게 옳은지 생각해봤으면 해"(종합)

기사등록 2023/08/30 20:48:45 최초수정 2023/08/30 21:05: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