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평균 초혼연령 남 33.7세·여 31.3세…2.5세 차이
육아휴직자 10년 전보다 85% 증가…남 21%p↑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지난해 한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40%가량인 0.52명 감소한 수치다.
통계청은 11일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 일·가정양립과 외국인 현황 중심으로 조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평균 초혼연령 남 33.7세·여 31.3세…2.5세 차이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33.7세, 여자 31.3세로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1.6세, 여자는 1.9세 상승했다. 남녀 평균 초혼연령 차이는 2.5세로 10년 전에 비해 0.3세 감소했다.
2020년 25~49세 인구 중 혼인 경험의 비율을 보면 남자는 52.9%, 여자는 67.1%로 나타났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9000명으로,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39.9%(0.52명) 감소한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1년 평균 합계출산율은 1.58명이다.
2020년 기준 15~49세 기혼여성 중 추가 자녀계획이 있는 여성은 12.5%로 나타났다. 기존 자녀와 추가계획 자녀 수까지 합한 기대자녀 수는 1.68명으로 10년 전(1.96명)보다 0.28명 감소했다.
8촌 이내 친족이 아닌 남남으로 구성된 5인 이하 가구를 뜻하는 비친족 가구는 2021년 47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2%를 차지했다. 친족가구는 64.4%, 1인 가구는 33.4%이다. 1인 가구와 비친족 가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세다.
법적인 혼인상태가 아닌 혼인 외의 자 출생은 2021년 7682명으로 전체 출생아 수의 2.9%를 차지했다.
세계인구는 올해 80억5000만명에서 2070년 103억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되는데, 우리나라는 올해 5200만명에서 2070년 3800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육아휴직자 10년 전보다 85% 증가…남 21%p↑
15~64세 고용률은 남자 76.9%, 여자 60.0%로, 남녀
고용률 차이는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경력단절 여성은 139만7000명으로 15세~54세 기혼여성의 17.2%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비율은 30세~39세(42.9%), 40세~49세(42.1%) 순으로 높았다.
2021년 기준 육아휴직자 수는 17만4000명이며, 비율은 남자가 24.1%, 여자가 75.9%를 차지했다. 육아휴직자는 8세에서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대상으로 육아휴직한 경우를 말한다.
10년 전인 2011년(9만4000명)에 비해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84.9% 증가했고, 특히 남자 비율은 20.9%포인트(p) 늘었다.
여자는 자녀가 0세일 때, 남자는 자녀가 7세일 때 육아휴직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
가사를 남녀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생각은 지난해 64.7%로 높았지만 실제로 공평하게 분담하는 비율은 20% 수준으로 낮았다. 실제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편 21.3%, 아내 20.5%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성인의 평균 가사노동시간을 보면 남자는 56분, 여자는 3시간13분으로 나타났다. 맞벌이와 외벌이 가구 모두 아내가 남편보다 가사노동시간이 많았다.
다문화가구 1.7%…우리 국민으로 수용은 10점에 5.3점
우리나라의 외국인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5세 이상 외국인 규모는 130만2000명으로, 10년 전보다 35.1%(33만8000명) 늘었다. 체류자격별로 보면 재외동포(28.8%)와 비전문 취업자(16.1%), 유학생(12.5%) 순으로 비율이 컸다.
지난해 외국인 고용률은 전체 64.8%로, 산업별로 보면 광업·제조업 43.9%, 도소매·음식·숙박업 18.7%, 사업·개인·공공서비스 16.7%, 건설업 12.2%, 농림어업 5.4%,
전기·운수·통신·금융업 3.1%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다문화가구는 전체 중 1.7%를 차지했고, 다문화 가구원은 전체 가구원 중 2.2%로 규모와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을 우리나라 국민으로 수용하는 정도는 10점 기준 5.3점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에 대한 수용 정도는 직장동료(42.3%), 이웃(29.8%), 친구(16.6%) 순이었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인구구조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자 저출산과 관련한 다양한 통계지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저출산 통계지표 체계 구축해 2024년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